현덕마음공부, DanyeSophia

공(空)으로 보는 금강경 제12장 法 그대로 거두어 놓아 버리라

Buddhastudy 2022. 11. 16. 20:01

 

 

 

如法受放分

-그대로 거두어 놓아 버리라-

 

 

이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마땅히 이 경전을 어떻게 이름하며, 우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하겠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경전은 이름하여 금강반야바라밀이나니

너희는 이 이름이 뜻하는 바를(무명을 녹이는 무상의 진리)를 받들어 지녀야 하리라.

수보리야, 왜 그런가 하면

내가 지금 반야바라밀이라고 말은 하지만

이것은 사실 반야바라밀이 아닌 그저 이름뿐인 반야바라밀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너는 이 이치를 정녕 알겠는가?

과연 여래가 설한 법이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을 설한 바가 없나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한가?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티끌의 수가 많지 않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심히 많나이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여래가 설하지 않았는가.

그 모든 티끌은 사실 티끌이 아니며

그 이름이 티끌일 뿐이라고..

여래가 말하는 세상 모든 것은

사실은 이름만 그렇게 부르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지녔다는 남다른 32상으로써 여래의 진면목을 볼 수 있겠느냐?”

 

불가하나이다, 세존이시여.

32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없나이다.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설하진 32상은 사실상 상이 아닌 이름뿐인 상이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만일 선남자 선녀인이

항하의 모래 수처럼 많은 목숨을 바쳐 보시하여도

이 경에서 사구게 정도만 간직하고 있다가

남을 위해 일러주는 복덕에 비할 바가 아니니라.”

 

 

-解義-

 

여래가 법을 설했는데 왜 설한 법이 없다고 하는가?

여래의 법은 분별의 상대를 벗어나

절대의 피안에 이르는 가르침이다.

그런데 법이 남아 있게 되면 그 자체로 상대가 된다.

그렇기에 여래의 법은 듣고 소화를 시켜 그 자취가 없어야 한다.

 

물론 소화를 시키는 동안에도 열심히 법을 받아먹어야 하지만

아무튼 소화가 되는 즉시 놓아야 한다.

이것이 여법수방이다.

뗏목을 이용해 강을 건너는 즉시 그것을 버리고 피안에 오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래서 불교의 수행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첫째, 법에 따라 일심으로 용왕매진하는 것이요

둘째, 법을 버려 그 어떤 것에도 걸림이 없게 하는 것이다.

 

전자는 초월의 법이고

후자는 해탈의 법이다.

 

초월의 법은 제행무상의 의식이 자라나 무소유의 경지로 이어지고 응무소주

해탈의 법은 그런 무소유의 경지마저 뛰어넘어 평범의 상태로 되돌아오게 한다 이생기심

 

그래서 초월의 법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해탈의 법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게 된다.

 

초월의 법은 그 구조상 아라한의 경지 이상으론 도달할 수 없다.

불법을 버림으로써 수행자와 속인의 구분이 없는 해탈의 경지에 이를 때

비로소 아라한의 한계를 넘어 여래가 될 수 있다.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