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정토회)

즉문즉설_법륜스님***제47편 정토회의 자원봉사에 대해

Buddhastudy 2011. 9. 27. 22:32

  방송 보기: 정토TV

 

, 첫째, 절에 와서 오늘 같이 법문 죽~ 들었다고 생각해보세요. 이렇게 법문을 듣고, 나의 고집을 내려놓고, 뭔가 이렇게 자기 변화를 시도를 하는게 남편이 생각할 때 자기 마누라가 잘 되가는 거요? 잘못 되가는 거요? 잘 되가는 거지. 잘 되가면 누구한테 이익이다? 자기한테 이익이지? 이 세상 남자들은 이 나한테 돈을 좀 많이 내야 되. 그 뻣뻣한 여자, 내가 이렇게 고분고분하게 해 주는데 절에 가지 말라고 하니까, 머리가 좀 나쁜 사람이오.

 

그런데 우리는 뭔가 행위를 하면 대가를 바라는 마음이 있어요. 그래서 여러분들 부부지간에도 여러분들은 늘 대가를 바래. 내가 너희 집에 시집와서 얼마나 고생했는데, 니는 나한테 해주는게 뭐 있노? 애도 놔줬다. 빨래도 해 줬다. 밥도 해 줬다. 시어머니도 돌봐줬다. 그런데 나한테 돌아온 대가는 너무 적다. 부부지간에도 이렇게 되요. 그런데 이 자연은 대가를 바라는 마음이 없어. 나무는 산소를 생산하지만은 대가를 바라지 않고, 동물들은 탄산가스를 내 놓지만은 대가를 바라지 않아. 햇볕은 그냥 쪼이고. 공기는 그냥 우리가 쓰게 하고, 필요에 의해서 그냥 쓰는 거요.

 

이 대가를 바라지 않는 마음. 이게 무위의 행, 함이 없는 행, 무주상 보시 이런 거요. 이것이 우리가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이오. 그런데 우리는 이 세상에 살면서 이 대가를 바라는 데 너무 익숙해 있어. 뭘 줘도 대가를 바라고. 사랑을 해도, 내가 한 만큼 니도 내 놔라. 난 니를 이렇게 사랑했는데 니는 왜 나를 사랑안하노? 나는 니를 이렇게 돌봐줬는데 니는 왜 나를 안돌봐주노. 나는 니한테 도움을 줬는데 니는 왜 안주노. 매사가 이렇게 때문에 우리 인간관계가 이렇게 갈등이 있는 거요. 사람을 미워하는 거요. 이 바라는 마음 때문에.

 

그래서 이 바라는 마음을 버릴 때 우리가 해탈 할 수가 있다. 그래서 사람은 누구나 뭔가 도움을 자꾸 받으려고 그러죠. 남편한테든, 부모한테든, 자식한테든, 부처님한테든. 자꾸 뭐 달라는 거요. 그래서 우리가 달라는 마음을 버리고 주는 마음을 내자. 그래서 뭐한다? 보시. 보시를 중요시 해. 베풀자. 그래서 우리가 저 인도에 가난한 아이들, 우리보다 못살지 않냐. 베풀자. 지구 저쪽에 있는 아이들 까지 생각해서 베풀자.

 

그러니까 아까도 법문할 때 시어머니에게도 어때요? 베푸는 마음. 은혜를 입을 걸 갚는 마음으로 베풀자. 이 베푸는 마음을 내는 거요. 그래서 보시를 하는 거요. 큰돈이든 작은 돈이든, 하루에 매일 100원씩, 1000원씩 보시한단 말이오. 그 보시하는 마음이 바로 바라는 마음을 없애는 거고, 그 보시하는 마음이 공덕을 짓는 거고, 그 보시하는 마음이 바로 보살로 가는 길이다. 두 번째는 우리는 뭔가 행위를 하면 그 대가를 바라죠. 그런데 대가 없이 우리가 일을 한다. 세수하듯이. 자리를 위하는 일은 이렇게 대가를 바라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여기 방청소를 하든, 길거리에서 화장실 청소를 하든, 골목을 쓸든. 이걸 봉사라 그래. 대가 없는 행위를 한다. 이게 무위의 행이란 말이오. 그걸 연습하는 거요. 지금. 그럼 그거를 가르치는 집단에서 그럴 연습시키고 가르치고, 저 길거리가서 공중변소도 치워주고, 저 인도까지 가서 봉사를 하고, 하는 거를 가르치면서 내가 주인으로 살아가는 거를 여기서 가르치고 연습하는 거다.

 

그러니까 여기서 공부를 하게 되면 남편한테도 부모한테도 자식한테도 바른 마음을 자꾸 버리지 않습니까? 그래서 가정이 화목해지고 좋아진다 이거야. 그런데 우리가 그렇게 살기 때문에 우리가 자기의 수입 중에 조금을 여기 보시하고, 자기의 그 시간 중에 조금을 내서 여기 와서 봉사한다. 기술 있는 사람은 기술을, 시간 있는 사람은 시간을, 노동력 있는 사람은 노동을, 내가지고 여기서 한다 이 말이오. 그런 취지로 이것이 형성이 되 있는 거요.

 

여기서 월급을 주고 이런 걸 유지하려면 굳이 이런 걸 할 필요가 없죠. 그래서 이 정토회는 모든 구성이 바로 세 가지 목표 아니오. 수행, 보시, 봉사. 그래서 하는 거요. 그래 만약에 도저히 집에서 바빠서 다른 일로 인해서 못하면, 시간을 조금 줄이고, 또 딴 사람이 시간을 조금 늘리고, 그렇게 하면 되. 그런데 이제 우리는 오랫동안 대가를 받아야 되는 삶에 익숙해있기 때문에, 거기 습관이 되 있기 때문에, 그렇게 일하고 돈도 안 받을 바에야, 그 돈이 얼만데. 이렇게 생각이 들죠.

 

저도 이런 법문을 이 안에서 안하고, 저 바깥에 가서 해 주면 주로 얼마 줍니까? 최소 50만원. 보통 100만원 줘요. 가서 한 2시간 해주면. 그런데 스님은 어디 가서 법문해도 일체 돈을 안 받아요. ? 이 좋은 법을 사람들이 들어주는 것만 해도 어때요? 너무너무 고마운 거요. 내가 시간이 없어서 못하는 거는 할 수 없지만은. 내가 이 법문을 하고 돈을 받는 것은 내가 종속적인 존재가 되는 거요. 그래서 일체 돈을 안 받잖아요. 돈을 안 받으니까 내 마음에 많이 줄까? 적게 줄까?’ 이런 생각도 안하고, 거기 많이 오든 적게 오든 이런 생각도 안하죠.

 

시간이 나면 해 주지만은 시간이 안 나면 못해줍니다. 시간문제지. 이런 것이 다 이루어져. 우리 인도나 어디 봉사, 파견된 사람들 다 마찬가지요. 우리 절에 와서 10년 일하다가 나가도 아무것도 없습니다. 집안이 어려우면 나가서 좀 벌어가지고 보태주고 다시 들어오면 되요. 그걸 준다든지 이런 거 없어요. 그렇게 살기 때문에 별 갈등이 없는 거요. 여기 들어와서 일하는 젊은 사람들도 다 자기가 좋아서 하니까, 아무런 갈등이 없지.

 

만약에 월급 때문에 들어왔다 .그러면 월급이 많니? 적니? 누구는 많이 주고? 누구는 적게 주고? 뭐 사회 보장이 됐니? 안됐니? 노조가 만들어 지고 난리가 나겠죠. 위험수당 줘야 되고. 해외 파견되면, 그죠? 그런데 여기서는 국내에 있으면 그래도 무슨 혜택이 조금 있죠. 밖에 나가면 혜택도 없어. 죽어도 일절 없어. 밖에 나가고 싶으면 자기가 나가겠다 하면 나가서 죽어도 우리하고는 아무것도 없다. 각서 써야 나가. 그래도 자기 나가야겠다고 나가니까.

 

그러니까 나 같은 사람이 모두가 다 자기가 주최로 일하죠. 그러니까 감독할 필요가 있나? 없나? 아무도 우리는 누가 이래라 안 해. 감독은 주로 뭐하냐? 못하도록 말리는 감독을 주로 합니다. ? 밤에 너무 늦게 까지 일해서 몸이 안 좋아지니까. 그래서 10시 이상은 사무실에 못있게 한다. 그래도 안 되가지고 12시까지 있게 한다. 10시 넘어서 할 때는 반드시 의장한테 보고하고 허락받아서 한다. 마치 놀러가는 거 허락받아서 가듯이, 일하는 거 허락받아서. 이렇게 제제를 가해야 된다, 이 말이오. 자기가 좋아서 하는 거니까.

 

그러니까 여기도 여러분들이 있지. 여기서 만약에 월급을 받고 누가 총무를 한다. 이러면 여러분들 총무한테 불평이 많을 꺼요. 월급 받고 청소도 제대로 안해놨다, 월급 받고 뭐도 제대로 안해놨다. 부려먹으려 그럴 거 아니오. 그죠? 월급 줬다고. 그런데 다 자기가 그냥 봉사를 하니까, 아무도 여기 누구보고 책임을 묻지 않지 않습니까? 다 봉사를 하니까. 그래서 저희 정토회에서는 그 유급은 한명도 없습니다. 전체적으로. 그런데 전적으로 절에 와서 일하는 사람들은 집안에 누가 돈을 주는 것도 아니고, 애들은 없는데, 나이가 들고 4050이 되면 안되잖아요.

 

그래서 지금 얼마냐 하면 출퇴근하는 사람은 전적으로 일하는 우리 직장을 여기처럼 다니는 그런 사람들에게 절에서 한 사람에 5만원씩 나가죠. 용돈이. 전에는 없었어요. 전에는 내놓고 일해야 됐어. 그런데 절에서 20년씩 일했는데도 아직도 집에서 받아올 수는 없잖아. 부모도 늙고, 나이도 50이 되고 그러니까. 그래서 우리는 어디 가서 편해요. 아예 돈이 없으니까 어디 가서 찻값을 내가 내야 된다, 이런 생각을 하나? 안하나? 안 해. ‘실례다.’ ‘아이고, 내야 되는데. 내가 못 낸다.’ 이런 생각이 아예 없어. 아예 가지를 않아. ‘가자. 밥 사줄게 가자하면, 가주는 것만 해도 고맙다. 이러고 따라가지. 안가. 가도 낼 생각도 없고.

 

왜냐하면 낼 생각이 있냐없냐는 있어야 낼 생각을 하지, 없기 때문에 낼 생각도 안해. 뻔뻔스러운게 아니오. 없기 때문에. 다 알아 사람들이. 없는 줄. 그러니까 편하게 살죠. 그런 시스템으로 현재 돼 있어. 그래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서 여러분들이 낸 돈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다 돌아가야 된다. 이게 저희 주장이오.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서 낸 돈이 유니세프나 국제기구는 70%가 그 기관을 유지시키는 인건비하고 사무실비로 나가고, 30%만 돌아갑니다. 보통 단체도 다 30%까지 쓸 수 있어요. 그런데 우리는 5%도 안 들어요.

 

여러분들이 낸 돈은 다 거기가요. 아무도 그 중간에서 쓰는 게 없어요. 그런데 이 사람 일하려면 교통비는 줘야 되잖아 그죠? 공금으로 교통비는 써야 될 거 아니오. 그런 것만 좀 나가고, 사무실도 뭐 밥도 절에서 먹죠. 그러니까 그런 것만 전화세 전기세 이런 것만 좀 나가지, 나머지는 중간에 나가는 게 없어요. 그래서 외국에, 내가 만약에 인도에 봉사하러 가겠다. 일 년 봉사하러간다. 그래도 비행기값 지가 내가 가야 되요. 내일 이라크를 가겠다. 그래도 자기 비행기값 가져와야 보내주지, 우리는 그냥은 안돼요.

 

? 우리가 비행기 값을 대줘서 3일 있다 아파 돌아와 버리면, 그 비행기값이라는 그 돈은 인도 노동자의 3년 월급에 해당됩니다. 그러니 첫 번째는 반드시 자기 돈으로 가야 되요. 누구든지. 그 다음에 두 번째 그 사람이 필요로 해서 갈 때는 어때요? 그거는 단체에서 경비로서 지출을 합니다. 그렇게 시스템이 되 있어요. 그래서 사실은 돈은 알뜰히 써요. 그러니까 여러분들이 이렇게 봉사로 우리가 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가정에 소홀하게 되는 점을 못마땅하게 한다 하니까 가정에 소홀 안해야죠.

 

그 다음에 가정에 일을 하다보면 가정에 소홀할 때가 있다면 이 남자분이 어떻게 해야 된다? 자기가 집안일을 좀 대신 맡아서 해야지. 그 봉사요. 아내가 밖에 나가서 일하니까 내가 일요일 날 골프치러 가지 말고 집에서 좀 부인하는 일을 좀 해준다. 이렇게 지금 부부들 그렇게 된 사람들 굉장히 많습니다. 그런데 이 남자 분 생각이 내가 돈 벌어 주면, 니는 집에서 충분히 일해야 되지 않느냐? 이것도 종업원 부리는 심리하고 심리는 같은 거요. 아시겠어요? 인간관계가 이렇게 되면 안 돼요. 인간 관계가. ‘내가 돈을 줬으니, 니는?’ 이렇게 생각하면 안 돼.

 

그래서 부인이 좋은 일을 하면 내가 그 일을 좀 거들어 줘야 된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생각을 하는게 좋은데. 부인이 남편에게 이걸 요구해서는 안돼요. 남편은 직장에 가서 일한다고 바쁜데, 집안일도 안하고 자기한테 떠맡기면 얼마나 기분 나쁘겠어요? 그죠? 그러니까 절에 와서 봉사하더라도 어떻게 해야 된다? 집안일을 탁탁탁 해 놓고 와서 해야 되. 그러니까 전에처럼 매일 쓸고 닦던 거를 이틀에 한 번 쓸고 닦고, 아시겠어요? 두 시간 청소하던 거를 기계나 조금 도움을 받아 어떻게 한다? 30분 만에 째까닥 해 버리고, 남은 시간 가지고 탁탁하고 집에 돌아와.

 

그렇게 해서 집안일을 대부분 더 잘해요. 생기가 있어야 되. 사는 게. 그리고 여자들이 허리아프네, 뭐아프네, 뭐아프네, 하면서 찜질방이나 돌아다니고, 그렇게 하는게 남자들도 생각해 봐요? 좋을까? 이런데 와서 봉사는 게 좋을까? 절에 들어와서 이런 좋은 법문 듣고, 남에게 봉사하면 삶이 있잖아. 그래서 바가지도 덜 긁고. 이 갱년기 장애라는 건 뭐냐 하면 나이가 40이 넘어가면서 육체에서 오는 병이 아니에요. 심리적인 허전감에서 오는 병이거든.

 

그런데 이런데 와가지고 보람을 느끼게 되면 그런 거 없어져요. 40대가 제일 생기발랄하고 잘살 때요. 그러니까 이것이 사회교육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은 유급직원이 없습니다. 이런 절에만 없는 게 아니고, 서울같이 그렇게 큰 데서도, 문경의 거기 그런 수련장 운영하는데도 유급직원은 없습니다. 다 여러분들이 유급 직원처럼 24시간 일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아무도 봉급 받는 사람은 없어요. 정토회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