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과학·북툰·SOD

[1분과학] 우주에서 바라본 지구 (꼭 보세요!!)

Buddhastudy 2019. 6. 7. 20:00


끔찍했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이어진 길고 긴 냉전 속에서, 미국과 소련은 서로의 힘을 과시하기 위해 전례 없는 커다란 계획을 세운다.

 

최첨단 기술을 이용해 우주에 사람을 보내자!”

 

어마어마한 자본을 투입해 우주 산업에 뛰어든 두 나라는 급속도로 우주 기술을 개발해나갔고, 1961412! 27세 소비에트 연방의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전 세계 최초로 우주선에 몸을 싣는다.

 

발사된 우주선은 단 몇 초 만에 하늘 높이 떠올랐고,

두 이념으로 갈라져 치열하게 싸우던 200여 개의 나라들은 경계선도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작아졌다.

 

그렇게 유리 가가린은 인류 최초로 우주를 여행하게 된다.

우주 상공 327km에 도달한 그는 처음으로 지구 밖에서 지구를 바라보는아주 특별한 경험을 하게 되는데,

그가 목격한 지구의 모습은 현재 지구 궤도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촬영한 이 영상 속 지구의 모습과 비슷했을 것이다.

 

우주선을 타고 인류 최초로 지구 밖으로 나온 가가린은 다시 돌아갈 수 없을지도 모르는 지구를 바라보며 이렇게 말한다.

 

지구는... 푸른빛이다.

얼마나 놀라운가. 경이롭다!”

 

한 시간 반이라는 짧은 우주여행을 무사히 마치고, 한순간에 소련의 영웅으로 탄생한 그는 인터뷰에서 이렇게 소감을 밝힌다.

 

멀리서 지구를 바라보니 우리가 서로 다투기에는 지구가 너무 작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소비에트 연방의 성공적인 우주 탐사 이후 발등에 불이 떨어져 버린 미국은 세계 최초로 달에 사람을 보내겠다는 더욱 커다란 계획을 세운다.

그리고 8년 후인 1969! 미국의 우주 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디디는 영광을 누린다.

 

한 명의 인간에게 이것은 작은 발걸음이다.

하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

 

이 순간이 지금까지도 인류 역사에서 최고의 순간으로 꼽히는 이유는 달과 지구 사이의 엄청난 거리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공기가 좋은 밤이면 달의 거뭇거뭇한 표면까지 적나라하게 볼 수 있고, 달과 지구를 묘사할 때 이런 이미지가 자주 사용되어 달이 지구와 가깝게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 달과 지구의 현실적인 거리를 나타내자면 이런 모습이 된다.

 

38만 킬로미터, 지구의 지름이 127백 킬로미터이니, 지구의 지름을 30번 더한 것과 같다. (384400/12742=30.17)

30개의 지구가 들어갈 수 있다는 말이다.

 

이렇게 이번에는 미국의 영웅이 된 암스트롱은 우주 항해를 마치고 이렇게 말한다.

저 예쁘고 푸른 아주 조그마한 콩이 지구였다는 사실이 갑자기 떠올랐습니다.

엄지손가락을 치켜 올려 한쪽 눈을 감으면 지구는 완전히 엄지손가락에 가려졌죠.

그런데 저는 거인이 된 것처럼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엄청나게 작은 존재로 느껴졌죠.”

 

과연 그렇다.

38만 킬로미터 떨어진 달에서 본 지구는 하나의 푸른 콩처럼 작아 보인다.

그런데 아쉽게도 여기까지가 인간이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떠나 온 거리다.

 

. 그렇다면, 사람 없이 여행 중인 탐사선 중 지구에서 가장 멀리 있는 탐사선은 어디에 있으며, 그곳에서 본 지구의 모습은 어떨까?

1977년 나사에서는 태양계를 탐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인 탐사선 보이저 1, 2호를 발사한다.

 

태양계의 행성들이 최적의 위치에 놓이는, 175년에 한 번 돌아오는 시기에 맞추어 발사된 보이저호는 그네 타듯 행성들의 중력을 타고 아주 빠르게 우주를 여행한다.

현재 이들이 위치해 있는 곳은 지구에서 각각 138AU, 114AU 떨어져 있는 곳이다.

 

AU라는 거리 단위는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보이저 1호는 현재 지구와 태양 사이를 138배 한 거리에 있으며, 40년째 쉬지 않고 여행 중인 이 탐사선은 인간이 만든 물체 중 지구에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물체다.

이 탐사선에서, 지구를 바라보면 지구는 어떻게 보일까?

 

전설의 과학 다큐멘터리, 코스모스의 제작자이자, 자연과학을 대중화시키는데 일생을 바친 칼 세이건은, 1980년 나사 보이저 팀에 원래 계획에 없었던 제안을 한다.

보이저 1호가 태양계를 벗어나기 전에, 카메라의 방향을 뒤로 돌려 지구를 찍어보자는 제안이었다.

 

이 제안은 당시 굉장히 무모한 것이었다.

원래 계획에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무의미한 짓이었고, 카메라 렌즈를 지구 쪽 방향으로 돌리다가 태양이라도 바라보게 되면, 카메라 렌즈에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나사 전문가들은 이 제안을 거절한다.

그 당시 돈으로 9천억 원이 들어간 보이저 프로젝트에 모험은 하지 않는 것이 옳은 것 같았다.

 

하지만, 세이건과 나사의 몇몇 전문가들은 카메라를 돌려 지구를 한 번 바라보는 것이 과학적 의미를 넘어 인류에게 얼마나 큰 의미를 줄 수 있을지 잘 알고 있었다.

 

그로부터 9년이 더 지난 1989, 해왕성 탐사까지 마치고 본래의 임무를 다한 보이저 1호는, 세이건의 제안에 호의적이었던 우주비행사, 리처드 트룰리가 나사 국장으로 자리하게 되면서 드디어 카메라를 지구 방향으로 돌릴 수 있게 된다.

 

1990214, 발렌타인데이에 일어난 일이다.

보이저호는 처음으로 카메라를 돌려 지구를 촬영한다.

 

...04:33...

이 사진이 바로, 40AU에서 바라본 지구의 모습이다.

 

저 파란색 점. 스마트폰 스크린에 묻은 먼지만큼 작아 보이는 이 작은 점이 우리들의 집, 지구다.

이 사진을 받아 본 칼 세이건은 사진의 제목을 창백한 푸른 점으로 지었고, 그의 저서에서 이렇게 얘기한다.

 

보이저호의 임무는 토성탐사까지였습니다.

저는 보이저호가 토성탐사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카메라를 돌려 지구를 봤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죠.

토성에서부터는 지구를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지구가 작아 보일 테니까요.

지구는 그저 한 점의 빛, 하나의 픽셀에 불과하겠죠.

주변에 있는 다른 불빛과도 구분이 안 될 거였어요.

지구 주변 행성이나 멀리 떨어진 태양과도요.

하지만 바로 그렇게 드러나는 지구의 모호함 때문에 그 사진을 찍는 것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구가 구형이고 지구의 중력으로 인해 우리가 딱 달라붙어 있는 것이라고 배우기는 하지만, 우리가 사는 세상의 현실적인 그림은 아폴로호에서 보내온 그 유명한 사진을 보기 전까지 제대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아폴로호에서 보내온 그 유명한 사진을 보기 전까지 제대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사람이 탄 달 탐사로는 마지막 탐사였던 아폴로 17호에 탄 우주비행사가 찍은

프레임에 지구가 다 들어오는 그 사진 말입니다.

 

그리고 이보다 백배 천배 더 떨어진 곳에서 찍은 지구의 다른 사진 하나가 우리가 사는 세상의 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고대에서부터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은 지구가 광활한 우주에 놓여진 하나의 점에 불과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죠.

그러나 그 점을 실제로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저 점을 다시 보세요.

 

저기가 우리가 사는 곳이고, 저기가 우리의 집이며, 저것이 바로 우리입니다.

저기에는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 우리가 아는 모든 사람들, 우리가 들어보았을 모든 사람들

지금까지 존재해 온 모든 사람들이 바로 저곳에 살았습니다.

 

모든 기쁨과 슬픔, 확신에 찬 수 천개의 종교와 이념, 경제 체제, 모든 사냥꾼과 약탈자, 모든 영웅과 겁쟁이, 모든 문명의 창시자와 파괴자, 모든 왕과 농부, 사랑에 빠진 모든 젊은 연인들, 모든 어머니와 아버지, 희망 가득한 아이들, 모든 발명가와 탐험가 모든 스승과 모든 부패한 정치인, 모든 슈퍼스타, 모든 지도자, 모든 성인과 죄인이 바로 저 곳 햇빛에 떠다니는 먼지의 티끌 위에 살았던 것입니다.

 

지구는 우주라는 거대한 극장의 아주 조그마한 무대입니다.

그 모든 군인과 황제들이 승리와 영광 속에서 흘렸던 피의 강들을 생각해보세요.

저 작은 점의 한 부분을 아주 잠시 동안 지배하기 위해 흘렸던 피의 강들을...

 

저 픽셀의 한 귀퉁이에 살던 사람들이 구별하기도 어려운 또 다른 귀퉁이에 사는 사람들을 침략해 저지른 악랄한 행위들을 생각해보세요.

 

그들이 얼마나 서로를 오해하는지.

그들이 얼마나 서로를 죽이고 싶어 하는지.

그들이 얼마나 서로를 증오하는지.

 

우리의 허세, 우리의 자만심, 우리가 우주 속의 특별한 존재라는 망상에 대해 이 창백한 푸른 점이 이의를 제기합니다.

 

우리 행성은 사방을 뒤덮은 우주의 암흑 속에서 외롭게 떠 있는 하나의 알갱이입니다.

우리의 모호함과 우주의 광활함 속에서 우리를 우리 자신으로부터 일깨워줄 이들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지구가 생명을 품은 유일한 곳입니다.

가까운 미래에 우리 인류가 이주할 수 있는 곳은 없습니다.

방문은 가능하겠지만 정착은 아직 불가능합니다.

좋든 싫든 현재로서는 지구가 우리가 있는 곳입니다.

 

천문학은 겸손함과 인격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인간의 자만심이 어리석다는 것을 아주 잘 보여주는 것은

멀리서 찍은 이 사진만 한 게 없을 것입니다.

 

저에게 이것은 우리 서로를 친절하게 대하고,

우리가 사는 창백한 푸른 점을 보존하고 아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게 해줍니다.

우리가 아는 유일한 집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