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지그라운드(2018)

이것만 기억한다면 우리는 소통의 달인이 될 수 있다.

Buddhastudy 2018. 8. 8. 19:19


보고서는 이렇게 쓰는 거라고 몇 번을 말해야 알아들어?

우리 땐 안 그랬는데, 요즘 애들은...”

깜박이 켰어? 오른쪽! 브레이크, 브레이크! ..그것도 못 들어 가냐?”

 

이런 말 들어보신 분 있을 겁니다.

듣다보면 이런 생각 들지 않으셨나요?

 

진짜 상대하고 싶지도 않아.

뭐 자기들은 처음부터 잘했나?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

 

이 속담이 생각나신 분도 있을 거예요.

도대체 우리는 왜 그런 걸까요?

바로 지식의 저주때문입니다.

 

지식의 저주란,

상대가 나와 같은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을 거라고 미리 넘겨짚는 인지적 오류인데요,

쉽게 말해 일단 무언가를 알고 나면

알지 못한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상상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이러한 저주에 걸리게 되면, 우리가 아는 지식을 타인에게 쉽게 전달하는 게 어려워지죠.

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실험이 1990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에서 이뤄졌습니다.

엘리자베스 뉴턴은 이 간단한 놀이 실험을 통해 심리학 박사학위를 땄습니다.

 

실험 참가자들을 두 팀으로 나누어 각각 두드리는 사람듣는 사람의 역할을 맡게 합니다.

한 팀에게 유명한 노래를 알려준 후 리듬에 맞춰 손으로 테이블을 두드리게 했고, 다른 한 팀에겐 아무런 정보도 없이 두드리는 소리만 듣고 그 노래 제목을 맞추게 했습니다.

 

실험 전 두드리는 역할을 맡은 팀에게

상대방이 정답을 맞힐 확률이 얼마나 될 것 같냐고 물어보았더니 그 확률을 50% 정도로 예측했습니다.

 

과연 실제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요?

놀라지 마세요. 겨우 2.5%만이 노래 제목을 맞췄습니다.

120개의 노래를 가지고 실험을 했는데, 3곡밖에 맞추지 못한 거죠.

 

그렇다면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요?

우리는 노래의 멜로디를 머리로 연상하면서 그 리듬에 맞춰 책상을 두드리지만, 듣는 사람에게는 아무런 의미도 없는 딱딱거리는 소리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뚜뚜뚜뚜 뚜뚜뚜 뚜뚜뚜뚜뚜

뚜뚜뚜뚜 뚜뚜뚜 뚜뚜뚜뚜뚜

 

혹시 어떤 노래인지 아시는 분 있나요?

바로학교종이 땡땡땡입니다.

 

이렇듯 우리는 주변에서 정보의 차이 대문에 발생하는 소통의 어려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선생님과 학생, 마케터와 고객, 작가와 독자, 정치가와 유권자 사이에서 이런 경우를 많이 볼 수 있겠네요.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는 지식의 저주에서 벗어날 수 있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첫 번째

쉬운 단어를 사용하라.

 

쉬운 단어를 사용하면 상대방이 머릿속에 그림을 쉽게 그려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학술용어나 애매한 은유는 삼가는 게 좋아요.”

 

2010년 테슬라 CEO는 전 직원에게 이렇게 메일을 보냈습니다.

전문용어나 축약어의 지나친 사용은 소통을 해치는 장애물입니다.

한두 명이면 몰라도 천 명의 직원들이 이런 단어를 쓴다면 신입 직원들의 기분이 어떨까요?”

 

 

두 번째

미리 평가를 받아라.

 

청중과 가장 유사한 사람을 찾아 솔직한 평가를 받아보세요.

명확하다고 생각했던 표현이 다른 사람에겐 얼마나 불문명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세 번째

스스로 독자가 되어 읽어보라.

 

모든 문장마다 이렇게 되물어 보세요.

상대가 이걸 읽었을 때 어떻게 받아들일까?

상대가 문장의 뜻을 물어보면 뭐라고 대답하지?

스스로 이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 반드시 문장을 고쳐야 합니다.

 

똑똑한 교수라고 해서

학생들에게 사랑받는 교수일 수 없고,

과거에 훌륭한 선수였더라도

누구나 유능한 감독이 될 수 없습니다.

 

그러니 우리 모두 지식의 저주에서 벗어나

우리의 머릿속에서만 들렸던 멜로디를

상대방 머릿속에서도 또렷하게 들릴 수 있게

노력해보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