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법문/서광스님_치유하는불교읽기

서광스님_ 치유하는 불교읽기// 제6회 육도윤회2

Buddhastudy 2013. 4. 28. 18:12

출처: 불교TV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지난 시간에 육도윤회를 공부하셨죠? 오늘은 육도윤회에서 어떻게 하면 그런 육도윤회에서부터 우리는 벗어날 수 있을까? 이 부분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잠깐 지난 시간에 육도윤회 공부한 거 잠깐 복습을 해볼까요? 육도 기억하시죠? . 육도가 맨 처음에 뭐에요?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이렇게 있는데 제가 이거 천국 하니까 조금 익숙지는 않죠? 그런데 이것도 하나의 공부에요. 영어는 이거로 쓰던 저거로 쓰던 간에 의미를 우리는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번에 육도를 공부했는데 각 특징을 한번 볼까요? 육도가 어떻게 한다고? 윤회를 한다고 그랬어요. 윤회 한번 그려볼게요. 이렇게. 윤회의 수레바퀴.

 

또 지금 육도를 전통적으로는 전생현생내생 이러면서 우리가 다시 탄생할 때 축생계에서 인간계에서 쭉~ 돈다고 했는데 언제까지요? 깨달음을 이루기 전까지. 그런데 치유하는 불교읽기에서는 어떻게 본다고요? 심리상태를 보자면 하루에도 우리는 이 육도를 다 돌 수도 있다. 그런데 지난번에 그런데 자세히 개인적인 입장에서 보면은 특별히 이 육도 가운데서도 어느 특정한 심리상태에 더 많이 머물고 있죠. 그걸 초감 투룽파 링포체(Chogyam Trungpa Rinpoche)는 그걸 개인적인 특성 스타일이라고 그랬어요. 그래서 이걸 도는데. 특별히 제가 왜 인간을 중간에 넣는가? 요거는 육도윤회 벗어 하는걸 죽 하면서 설명 드릴께요. 잠깐 기억을 상기시키기 위해서 육도의 특징부터 한번 보겠습니다.

 

지옥의 특징은 뭐라고 그랬나요? 생각 안 나시죠? . 공격성입니다. . 화가 분노. 화가 많이 나는 경우에 지옥의 특성은 화. 공격성이다. 그래서 이 공격성은 특히 상대가 있어야지 누구를 향해서 대상을 향해서 공격하는 거잖아요. 그럼 대상을 향해서 공격을 하면 어때요? 당연히 내가 공격하면 다시 역으로 반격을 받게 되는 거 있죠. 그러니까 공격성. 대상을 향한 화도 있지만, 무의식 속에 뭐도 있을까요? 상대가 다시 나를 반격해서 공격할 수 있으니까 여기는 불안 공포도 있어요. 심리상태입니다. ~ 지옥의 심리상태의 특징은 공격성 화 분노인데 그러니까 내가 공격하니까 다시 반격을 받게 되는 의미의 불안공포도 있다.

 

요거는 주로 마크 엡스타인(Mark Epstein) 심리학 정신과 의사 얘기한 거고요. 아귀 같은 경우는 특징이 뭐라고요? 특징이 지칠 줄을 모르는 욕망이야. 그냥 평범하게 우리가 누구나 욕망은 다 있죠. 그런데 그 욕망이 어떤 욕망이냐 하니까 지칠 줄 모르는 욕망이에요. 그러니까 지칠 줄 모르는 끊임없는 욕망이라는 얘기는 만족을 못한다는 거죠. 만족하지 못하고 끊임없이 원하기만 한다. 이거야. 우리가 막상 그것이 오면 그것에 대해서 즐기거나 그걸 만족하거나 그것을 잘 내가 활용하는 게 아니라. 돈에 대한 아귀처럼 욕망이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돈을 잘 활용하거나 쓰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돈을 긁어모으는 데만 집중할 것이고 또 만약에 뭐에 대한 사랑의 욕망이라면 어떻게 할까요?

 

계속 사랑을 갈구할 줄만 알지 그 사랑을 내가 나누거나 사랑이 막상 왔을 때에 그 사랑에 감사하거나 그럴 줄 모른다 이거에요. 계속 해서 계속 갈망하기만 해요. 그러니까 그림에 보면 아귀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어요? 배는 아주 태산만한데 목구멍은 어때요? 완전히 바늘구멍만큼 적어서 그 태산만큼의 배를 채우려고 하기는 하는데 어때요? 들어가는 거는 바늘구멍만하니까 그건 하나의 상징적으로 설명해 놓은 거죠. ~ 축생의 특징은 뭐라고 그랬어요? 축생은 무지라고 그랬죠. 무지. 그런데 이 무지가 어떤 무지라고? 자기가 남에게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서 아이디어가 없어요.

 

그러니까 남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 거기에 대한 아무런 그게 없다니까. 그러니까 근본적인 무지. 근본 무지야 인간이든 뭐든 다 있죠. 어느 심리상태든. 그런데 특별히 축생의 무지는 상대방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지 내가 남의 눈에 어떻게 비추어지는지를 몰라요. 그러니까 어때요? 굉장히 자기중심적이죠. 자기중심적이고 또 축생은 마크 엡스타인(Mark Epstein) 정신과 의사는 여기 특징을 뭐라고 했냐 하면은 성욕과 식욕을 얘기했어요. 특징으로. 성욕과 식욕이 특징이다. 이렇게 얘기를 하고. 축생 같은 경우는 그러니까 내가 뭔가 하나 욕망이 있으면요. 그 축생의 특징은 앞뒤 좌우를 안 살펴. 그냥 그 욕망자체를 어떻게 하면 충족시키느냐? 거기에만 몰입하는 거죠.

 

그러니까 앞에 어떤 장애물이 있으면 그냥 넘고 또 너무나 내가 못 넘으면 잠깐 있다가 또다시 넘고, 오로지 그 욕망을 채우려는, 남이 나를 어떻게 볼까? 아니 면은 어떻게 생각할까? 그런 자기이미지가 없는 거에요. 그리고 이 축생의 특징은 그건 또 제가 생각할 때 쭈욱~ 관찰하면서 느끼는 거는 이런 심리상태에 있을 때는 굉장히 고민이 없어. 갈등이 없어. 내가 누군지 정체감에 대한 아무 아이디어가 없기 때문에 어때요? 언뜻 보면 굉장히 카리스마가 있어 보이지. 속된말로 포스가 있어 보인다. 그러니까 굉장히 의외로 굉장히 매력을 느낄 수도 있어요. ~ 갈등이 없어 보이고 굉장히 결단력이 있고 그런데 이 특징은 어떻죠?

 

그래서 많은 대중이 그런 축생 마인드에 따라가면 어떻게 될까?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그거를 걷어차고 넘고 하면서 그 안에서 어떤 가치가 말살되든, 아니면 어떤 누가 상처를 어떻게 입든 그거는 아무런 안중에 없어요. 축생은. 누가 어떻게 나로 인해서 상처받는지 아니면 내가 그걸 성취할 때 누가 어떻게 다치는지. ? 좌우도 안보고 그리고 오로지 뭐에요? 내 욕망을 충족시키는 일에 집중하기 때문에. 그런 거지 축생마인드의 특징입니다. 우리는 가끔은 뭐에요? 너무나 어떤 내가 욕망에 한 순간에 완전히 사로잡히면 그래서 많은 사건을 일으킬 수도 있죠. 요즘 같을 때 특히 이거하고 관련된 뭐 떠오르는 거 있어요? .

 

어떤, 아무튼 우리 요즘 말하는 어떤 성추행이라든지 아니면 성 강간, 또는 이런 부분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우리가 한 순간에 이런 마인드에 들어갈 때 가능하지 않겠냐? 만일 육도윤회를 설명한다면. 다음 아수라입니다. 아수라 같은 경우에 특징은 질투. 질투의 신이에요. 질투의 신이고 그러니까 굉장히 뭐에요? 아상이 굉장히 높은 거죠. 그냥 높은 정도가 아니라 거의 그냥 뭐 이 질투심 같은 거는 인간경우도 있어요. 그런데 차이점을 굳이 구분한다면 인간마인드에서의 질투심은 오히려 약간 경쟁하면서 굉장히 성장하는 쪽으로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동이 되지만, 여기는 완전히 몰입된 상태라서 이 질투와 경쟁 비교하는 그런 심리상태가 극도로 나 중심적으로 몰입되어 있어가지고, 이 경우에는 거의 뭐라고 그래야 될까? 편집증. 망상증. 이런 걸 유발하는 정신적 상태다. 이 말이죠. 편집증. 망상증.

 

제가 예를 들어줬었죠? 이 정도 되면은 예를 들어서 지난 번 생각납니까? 내가 무거운 짐을 들고 가는 데 이 아수라상태에 계속 세상을 두 갈래고 보는 거에요. 나와 나의 경쟁대상자. 세상을 보고 사람을 대할 때 굉장히 극단적으로 나와 나머진 다 뭐에요? 나의 경쟁상대로 보기 때문에 누가 와서 내가 무거운 짐을 들고 가면 만약에 예를 들어서 그걸 들어준다면 뭐야? 뭔 의도가 있을까?” 이런다 그랬죠? “고맙다가 아니라. 안 들어주면 어떻게 한다고요? “저렇게 내가 무거운 걸 들고 가는데도 인정머리 없이 안 들어주고 참 나쁘다.” 또 들어줬다 안 들어줬다 하면 이번엔 뭐야, 나하고 게임 하는 거야?” 이런 식으로. 이런 경우가 연애를 한다면 어떻게 될까?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죠. 이 경우에는 상대가 돌겠죠. 상대가 굉장히 돌아요. 같이.

 

그런데 만약 이(지옥) 경우 연애를 하면 어떻게 될까? 화가 많은 사람이 사랑을 하면 어때요? 내가 사랑 받아서 행복한 게 아니라 사랑을 받으면 불안한 거에요. 왜냐 하면은 언제 자기 뜻대로 안되면 화를 낼지 모르니까. 그래서 이런 경우도 굉장히 우리가 어느 상태에서 주로 지배적인 나의 어떤 핵심 감정이라도 해도 좋습니다. 나의 심리상태인가에 따라서 우리는 어떻게 치유할건가? 이런 걸 우리가 생각해볼 수 있어요. 그래서 근본 원인을 이렇게 생각하면서 보죠. 다음 천국 같은 경우에는 아주 쾌락. 심리적이고 아주 환희심이 나고 아주 즐겁고 여기에서는 고통이 없다 그랬어요.

 

그런데 초감 투룽파 링포체(Chogyam Trungpa Rinpoche)같은 경우는 어때요? 참 재미있어요. 언제 천국의 심리상태가 되냐? 우리가 살면서 특히 이분은 이제 수행과 비교해서 이야기를 했는데 열심히 성공하는 거에 대한 살면서 우리가 굉장히 인생을 참 예측하기 어렵죠. 그러니까 성공에 대한 희망도 있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도 있어요. 그런데 그 성공에 대한 희망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너무 극단적으로 오갈 때 그러면 어때요? 긴장도 굉장히 높아지죠. 그럼 그 긴장이 높아진 상태에서 어느 한 순간에 갑자기 희망하고 두려움이 갑자기 하나가 되면서 천국의 문이 열린다. 이거죠. 초감 투룽파 링포체(Chogyam Trungpa Rinpoche).

 

그래서 이분은 뭐라고 했냐 하면 책에 제가 몇 페이지인가 소개해놨는데 아~ 영적인 몰입? 그러니까 굉장히 열심히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거라고 그랬어요. 영적인 몰입이라고 했고 아~ 명상적인 몰입이라고 했고 또 영적인 원자폭탄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재미있는 표현이죠. 또 플라스틱 꽃에 비유했다. 그러니까 뭔 얘기냐? 고통이 없기는 해도 정말로 우리가 어떤 경지에 도달해서 얻게 되는 어떤 즐거움이나 기쁨이 아니라는 거죠. ? 앞에 어떤 원인 뭐라고요? 굉장히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성공에 대한 희망에 이것이 극단적으로 오락가락하면서 그 긴장상태에서 어느 한 순간에 희망과 두려움이 괘도이탈을 하면서 만나진 상태다.

 

갑자기 일어난 상태라 그랬는데 저는 이 상태는 조금 우리가 일반인한테는 그렇게 그런 정도까지 어떤 수행에 경지가 열심히 해서 몰입해서 일어나지는 않으니까. 고통은 풀 타임으로 아예 수행을 한다면 몰라도. 보통은 일상의 생활을 하면서 하는 분들이니까 그거는 좀 어렵고. 저는 여기다 개인적으로 사랑을 비유해놨습니다. 우리가 인생을 살다가 너무너무 힘겹고 또 뭔가 내가 도피적으로 갈망하다가 무의식적으로 어느 한 순간에 누군가를 문득 만났는데, 아니면 또 무의식에 굉장히 갈망을 하든가. 그래서 만났는데 완전히 이상형을 한 순간에 그냥 탁 보고 그냥 몰입이 됐다. 하나가 됐다. 그런 순간에 어떻게 되겠어요?

 

모든 것이 다 아름다워 보이고 세상이 굉장히 다르게 보이는 거죠. 그래서 굉장히 행복해지는 순간이 있는데 그렇지만 그것이 완전한 깨달음에서 그래서 열반의 상태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기는 뭐에요? 한계가 있는 거죠. 그때를 뭐라고 하냐 하면 잠시 동안에 에고의 작동이 멈춘 상태다. 이랬어요. 잠시 잠깐 에고가 나 아상이라고 하는 것이 잠시 작동을 멈춘 상태에서 이 천국을 맛보게 되는 거지만, 그러나 뭐에요? 현실은 반드시 내가 어떤 수행으로 어떤 지혜를 얻어서 깨달아진 연기법을 얻고 그래서 깨달아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우리가 소위 말하는 상락아정이 아니에요. 항상 하지가 않다는 거죠.

 

때가 되면 반드시 어떤 단점이 보이기 시작하고 회의가 들기 시작하면서 허물이 보이기 시작하죠. 사랑이 그렇지 않나요? 뭐 이제 생리적으로 사랑이 6개월 간다. 3개월 간다. 2년 간다. 이렇게 얘기하지만 육도 윤회상으로 보면 그렇습니다. 그래서 이런 이치에 의해서 반드시 보여 지죠. 내 수행의 결과로 내 인격의 완성으로 인해서 세상을 이해하고 진리를 이해해서 깨달아서 이런 기쁨이 온 게 아니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지나면 반드시 상대의 허물이 보이고 또 세상이 뭐가 다시 틈새가 보이면서 원망이 되죠. 원망하면서 어디로 떨어질까요? 지옥으로 떨어지죠. 지옥으로. 완전히 그야말로 행복의 극치에서 갑작스럽게 지옥을 만나. 왜요?

 

너 때문에 내가 불행해졌다. 그렇게 행복했는데 갑자기 배신을 당하고 보니까 아니다. 이렇게 되니까 정말로 뭐에요? 원망하기 시작하고 공격성이 생기면서 지옥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이 말이에요. 이래서 그러면 마지막으로 인간은 어떤 상태냐? 인간은 뭐라고 그랬어요? 인간은 유일하게 굉장히 노력하고 애쓰지만 뭐에요? 내가 누군지 끝내는 굉장히 정체감에 어떤 확고함이 없다. 그랬어요. 유일하게 인간도에서만은 내가 누구인지? 내가 어디서 왔는지? 또 어떻게 사는 게 잘 사는 건지? 이런 실존적 고민을 한다고 그랬어요. 굉장히 실존적 고민. 다른 거는 어떤 여기는 완전히 공격, 화의 그 자체가 되어 있고, 여기에 아귀는 욕망 그 자체고, 축생은 뭐에요?

 

무지 성욕 이런 자기중심적이고, 질투 그 자체에 있고. 천국은 그야말로 완전히 도취상태에 있으니까 근원적이고 존재적인 고민은 별로 없죠. 그래서 별로 방황 없어요. 그 순간만큼은. 그런데 인간도의 심리상태에 머무를 때만이 왜 사는지? 또 어떻게 사는 게 잘 사는 건지? 또 어떤 궁극에 어떤 존재에 대해서 의미에 대해서 고민하기 때문에. 사실은 여기에서 진짜는 뭐에요? 고통의 느낌을 갖는 거죠. 제대로 자각을 하는 거에요. 그래서 왜 사성제에서 우리 앞에 했었죠? 고집멸도인데 고통을 자각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가? 첫 번째 단계인가? 고통의 진정한 의미를 저는 인간도에서만이 알 수 있다고 생각한 거에요. 그래서 이 궁극의 어떤 존재, 의미 그런 거에 대해서 생각하기 때문에.

 

그래서 인간도에 있을 때만이 어떻게? 찬스라 이거죠. 어떤 찬스냐? 육도에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찬스가 온다. . 그래서 인간도는 굉장히 중요하다. 그럼 어떻게 벗어 날 거냐? 했을 때, 제가 나름으로 한번 그림을 그려봤어요. 천국에서 아수라도 갈 수 있고, 이게 다 인간도에 우리가 어떤 기회가 인간도에 왔을 때 경험이 온다 그랬죠? 왜 인간도를 옆에 놓았냐 하면, 계속 우리가 이런 지옥을 경험하다가 ~ 한번쯤 내가 왜 이렇게 고통 하는가?” 문제를 떠 올려 졌을 때, 인간도로 갈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거죠. 인간도에 갔을 때 본질적인 고민을 하면서 하나의 성장하고 깨달을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건데.

 

계속 이 안에 지옥에서 또 다시 아수라로 갈 수도 있고. 서로가 다 갈수가 있다. 제가 한번 도표로 그려봤었어요. 이렇게. 전부 다 천국에서 이렇게 가고 이렇게 다 돌 수 있는데 다만 우리는 언제 성장할 수 있냐? 언제 변화의 기회가 있냐? 그거는 지극히 우리가 누구이기 때문에요? 우리는 사실은 인간이죠. 그러니까 인간적인 마인드. 인간적인 심리상태. 우리가 진정 인간적인 그런 상태로 머물고 터치될 때에 우리는 변화할 수 있고 깨달을 수 있고 우리의 운명이나 소위 말하면 팔자나 나의 어떤 정신적 수준을 좀 더 업그레이드 하고 향상하고 성장시킬 수 있다. 이거요.

 

그냥 이 상태를 돌면 뭐가 안됐어요? 학습이 안 된 거죠. 왜 우리 사회에서 보면 어떤 사람은 계속 고민하고 고생하거나 어떻게 해도 영 뭐에요? 학습이 안 되는 경우 있잖아요. 왜 그러냐? 인간마인드로 못 가서 그렇다. 그러니까 우리가 제대로 하려면 항상 어떤 심리상태에 있든지 간에 어디를 거쳐야 된다? 인간의 상태로 와야 된다. 그러면 그냥 이 상태에 그 몰입된 상태에서 어떻게 인간으로 올 수 있겠냐 이거에요. 그러니까 우리는 어느 한 단계에 계속 머물러 있는 건 아니잖아요. 순간순간 인간으로 돌아오기도 하니까 그럴 때 어떻게 한다? 열심히 불법을 닦고 이렇게 여러분들처럼 공부를 하시는 거에요.

 

해서 자꾸자꾸 쌓아 놓으면 이런 심리상태 갔을 때 어떻죠? “~ 내가 들었을 때 이게 바로 이거구나.”하고 얼른 이쪽으로 돌아온다는 거죠. 고통의 의미가 뭘까? 내가 왜 이 지옥을 지금 경험하고 있나? 이렇게 생각하는데. 만약에 이런 공부가 안되어 있거나 내가 기본적으로 너무 업이 두꺼우면 어때요? 계속 원망하고 세상을 원망하고 상대를 원망하고 공격하고 누구 때문이라고 자꾸 자꾸 하겠죠. 사실이 중요하지는 않아요. 누구 때문에. 그게 그 사람 때문에 일어났냐? 안 일어났냐? 사실이 중요한 건 아니라는 거죠. 중요한 건 뭐라고요? 내가 지금 고통하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러면 이런 상태가 됐을 때에 여기에서 키는 뭐에요? 지난 시간에 제가 어떻게 중요한 건 뭐에요? 두 가지입니다. 중요한 건 뭐냐 하면은 문제는 나가 지금 현재에 가장 자주 방문하는 세계가 어디고 머무르는 세계가 이 중에서 어느 거냐? 하는 거에 대한 생각. 어떤 특징적 심리상태를 내가 주로 겪는지. 아니면 뭐 골고루 겪을 수도 있고요. 그 다음 두 번째는 어떻게 해서 내가 벗어날 거냐? 하는 거죠. 그럴 때 벗어나는 키를 티베트의 만다라 그림에 나와 있다 그랬죠? 생각나십니까? 지옥도에서는 관세음보살님이 뭘 갖고 계시다고? 거울을 들고 계시다. 거울의 의미가 뭐냐? 이거죠. 거울.

 

완전히 화가 나서 부룩부룩 불에 타고 있을 때에 거의 폐쇄 공포증처럼 화는 화를 부르죠. 굉장히 빨리 전달이 되잖아. 이런 감정들은요. 오히려 요즘 감기가 심각하지만 감기바이러스가 전달하는 거에 비하면 화라고 하는 거는 뭐? 집안에, 아니면 이 분위기에서 누가 화 한번 내 보세요. 화가 나면 그건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전달되잖아요. 전이되죠. 그래서 사실은 바이러스가 무서운 거보다 이런 감정상태가 더 무서운 거지. 이런 상태에서 상대를 공격하는 것으로는 이 윤회에서 육도의 이 트랙에서 벗어나기가 어렵다. 그래서 관세음보살님께서 거울을 비춰주시는 것은 네 모습을 봐라.” 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상대나 세상의 원인을 계속 하고. 그러면 끝까지 가면 어떻게 되겠어요? 더 큰 문제만 고통만 유발하죠. 온 천지를 다 나의 적으로 만들어버릴 테니까. 그러지 말고 너 자신에서 원인을 봐라. 해서 거울을 비춰주는 겁니다. 공격을 해서 공격성으로부터 고통으로부터 벗어나지는 못한다. 그래서 거울을 비춰주시는 거고. 그 다음에 아귀 같은 경우는 뭐에요? 아귀는 관세음보살이 뭐 갖고 계셨나요? 약사발? . 사발을 들고 계셨어요. 그런데 이 아귀 같은 경우에 사발을 들고 계셨는데 참 이게 성인이 되면 근본, 육도에서 한번 잠깐만 진짜 근본원인 한번 생각해볼까요?

 

진짜 근본 원인은 육도를 도는 원인이 불교에서는 뭐라고 그랬어요? 탐진치 삼독입니다. 탐진치 삼독인데 근본적인 원인은. 그런데 우리가 조금 이게 치유적 관점에서 들여다보면 진짜 우리가 어릴 때 한번 쭈욱~ 생각해보면 현상적으로는요. 사랑 받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좌절됐을 때. 그 욕구가 변질된 거다. 결국에는 내가 사랑 받고 인정받고 내 존재를 뭔가 이렇게 드러내고 싶고. 그런데 그 부분이 좌절될 때에 저런 거를 돌게 되는 하나의 원인이다. 이렇게 살펴봤어요. 서양의 정신의학자가 육도에 대해서 치료할 때에 정신치료가 어떤 식으로 치료 하는가 먼저 보고, 우리 불교에서는 어떻게 치료할건가? 보죠.

 

불교 232페이지 제일 밑에 **인데. 불교의 정신학자인 마크 엡스타인(Mark Epstein)은 그의 저서인 Thoughts Without a Thinker. 국내엔 붓다의 심리학이라고 번역되어 있는데 이건 능가경에 나오는 행위는 있으되 행위자는 없다. 이걸 갖다가 이분은 Thoughts Without a Thinker 말로 표현해서 책을 써놨는데. 거기 보면 [서양의 심리치료를 육도윤회의 가르침과 비교했다. 그는 서양의 심리치료가 육도 가운데 어느 한 영역에 치우쳐서 나머지 다른 영역을 다루지 못했다고 보았다. 이를테면 프로이트는 축생도에 중점을 두었고, 그 외에 분석 심리학자들은 불안과 공격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옥도에 중점을 두었다.

 

인본주의 심리학자인 칼 로저스나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천상도에 초점을 두었고 자아 심리학자들은 인간도에 주로 관심을 두었다.] 그래서 각각의 어떤 실리치료의 어떤 분파들이 서로 다른 영역에 집중을 했어요. 정신분석학자인 프로이트 같은 경우는 축생도 성욕 식욕 이런 무지. 이런데 봤고. 그러니까 각각이 그걸 치료하는 데는 도움이 된다는 거죠. 그런데 한 가지 치료하고 나면 어때요? 또 다른 증상이 일어나고 또 다른 증상이 일어나고 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이분 이야기가 그것이 서양의 정신치료의 한계다.

 

그런데 여기 뒷 페이지에 233페이지보면은 반면에 육도윤회의 가르침을 통한 불교심리치료는 인간의 겪는 모든 심리상태를 하나의 특정 영역으로 국한하지 않고 이 문제에서 저 문제로 옮겨가는 교통의 수레바퀴로, 윤회하는 수레바퀴로 봤다는 거죠. 그러니까 전체적으로 접근을 한다는 얘기에요. 그래서 그것이 우리 불교의 수승함이라서 바로 불교심리치료가 서양의 심리치료에 어떤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굉장한 키다라고 본겁니다. 그래서 그냥 불교 쪽에서만 그렇게 얘기를 하면은 너무 좀 자기주장이 아니겠냐? 객관성이 떨어지는데, 이 정신과 의사가 굉장히 이렇게 정확하게 잘 본거 같아요.

 

그래서 그렇게 봤는데. ~ 우리 그러면 다시 시작할까요. 아귀는 관세음보살님이 사과를 갖고 계시고. 우리는 이거를 하나의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본다는 거에요. 그 다음에 축생 같은 경우는 보세요. 축생에서 그러면 어떻게 인간마인드로 갈 수 있냐? 어렵다. 어려워요. 그러니까 프로이트가 뭐하죠? 프로이트 정신심리치료. 프로이트에서 정신분석의 치료의 특징은 무의식을 의식하는 거다. 내면에 자기의 잠재된 무의식. 억압된 자기의 욕구가 억압된 것들을 하나의 의식화 한다. 알아차리도록. 무지하잖아요. 축생. 그러니까 알아차리고. 이런 무의식에는 뭐가 들어있다? 프로이트의 초기에는 완전히 성욕을 핵심, 그거로 봤었는데.

 

이런 것들이 원인이 되어서 어떻게 억압시키고 이렇게 컨트롤되면서 이것이 우리가 의식하지 않는 가운데 우리의 삶을 지배하고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그런 거에 대해서 긴 시간을 분석을 통해서. 심리치료라고 정신치료라고 하는 그런 분석적을 통해서 긴 시간을 분석을 통해서 의식화하는 쪽으로 갑니다. 우리로 말하자면 그게 뭐에요? 자각하는 거죠. 자기가 몰랐던 부분을 자각함으로써 드디어 뭐에요? 이제 그때부터 작업이 시작되는데 또 정신분석은 의식화 하는 걸로 치료가 끝나고 그 다음 working through라 그래서 훈습을 해야 되는데. 그 부분에 대한 구체적 어떤 실습방법은 별로 없습니다.

 

우리 불교는 굉장히 풍요롭게 나와 있죠. 특히 명상실습부터 시작해가지고 엄청나게 많이 나와 있어요. 그러니까 왜 오늘날 서양의 심리치료나 이쪽 부분에서 우리 동양에 특히 불교에 명상이 그렇게 대단한 관심을 가지고 수행하고 연구하고 굉장히 많은 치유프로그램들이 나오는가? 한번 보시면, 요 하나만 예를 들더라도 알 수가 있습니다. 그 다음에 이런 축생 같은 경우는 뭐를 들어있다 그랬어요? 관세음보살님이? . . 맞습니다. 책을 가지고 사유를 하라 이거에요. 그리고 남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는 지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관심을 가지고.

 

그러니까 자기중심적인 거에서 타자 중심적으로 이동하면서 내 중심에서 벗어나서 상대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거. 그건 불교수행에서 굉장히 중요한 두 가지 수행 중에 한 개입니다. 내 중심 아니라 상대입장에서 생각하고 연구하고 사유하고 고민하는 거요. 아수라입니다. 아수라는 질투하는 신. 경쟁 망상 편집증. 아수라는 그때 뭐라고 그랬죠? 유일하게 자비의 화신인 관세음보살님께서 뭘 들고 계시다고요? 불을 내뿜는 칼을 들고 계시다. 단번에 잘라라. 우리가 어떤 경우에 왜, 조금씩 조금씩 조금씩 해서 고치는 것도 있지만, 조금씩 조금씩 해서 안 되는 거 있죠. 단번에 잘라버려야 되는 것도 있는데.

 

나무라고 생각해봐요. 무성 무성해요. 번뇌라고 합시다. 번뇌. 이게 망상. 이런 게 잔뜩 있다면 뿌리를 뽑는데 이 가지가 너무 많아요. 무성해요. 그럴 때 어떻게 되죠? 이거 잘못 섣불리 가지를 잘라버리면 어떻게 되요? 나중에 더욱 커지겠죠. 더 커지잖아요. 더 왕성해지고. 그러니까 어떻게 한다? 단칼에 그냥 뿌리까지. 단칼에 뿌리를 자르는 게 뭘까? 뭐겠어요? 여기 아수라. 뭐에 집중되어 있다 그랬죠? 아상. 나나나 중심에. 나 말고 경쟁자. 굉장히 세상을 이원적으로 보잖아요. 경쟁. 그러니까 단번에 뭘 잘라야 된다? 나를 잘라야 된다. 그래서 임제스님 사유관에 보면요. “어떻게 제자를 지도하십니까?” 하루는 제자가 물으니까 나는 어떨 때는 주인은 살리고 객은 죽이고. 어떨 때는 객은 살리고 주인은 죽이고.”

 

이러면서 네 가지 쭉~ 나오죠. 그 중에 뭐에 해당하겠어요? 1차적으로 뭐에요? 나를 죽이는 거니까 주인을 죽여요. 객은 살려줍니다. 그러니까 나, 상의 뿌리를 그대로 단번에 잘라야 된다. 죽여야 된다. 그래서 이게 아주 불을 내뿜는 칼을 갖고 있다. 그래서 제가 책에는 나도 죽이고 너도 죽여라.’ 그랬어요. 왜냐 하면은 재까닥 이렇게 정말 근기가 도가 높은 분이 아니면 그냥 나만 죽이고 너는 살리고이러면 그 너에 의해서 다시 나가 일어나기 때문에 아예 둘 다를 없애놓고 시작하는 것이 훨씬 지도하는데 유리하다. 제가 여기에서 이거까지 깊이 더 이상 설명 다 드리긴 어렵고. 넘어갑니다.

 

다음 천국입니다. 천국 같은 경우는 관세음보살님이 뭐를 갖고 계시다고? 비파. . 비파를 들고 계시다. 그러니까 관세음보살님이 아주 감미로운 음악을 들려주시면서 더 더욱이 즐겁고 거기에 빠져가지고 행복해라. 그런 음악이 아니고 깨어나라고. 깨어나라는 음악입니다. 거기에 도취되어 있어도 그게 진짜가 아니니까 빨리빨리 깨어나라는 그런 비파에 음악을 들려주신다. 얼른 깨어나야지 못 깨어나면 뭐에요? 이것이 다음에는 지옥행이니까. 거기에 대한 경계. 경고. 이런 걸로 음악을 들려주신다. 이렇게.

 

지옥 같은 심리상태에서 서산대사 같은 경우는요. 선가귀감에 이런 말이 있어요. 一念瞋心起일념진심기하면 百萬障門開백만장문개나. 한번 화를 내면 한 생각 화를 일으키면 백만 가지 장애의 문이 열린다. 그런 것도 하나의 가르침이잖아요. 지옥에서. 그 한마디 듣고 내가 지옥에서 아~ 하고 깨달아서 벗어나면 좋은데. 어떤 사람은 아무리 지옥에서 힘겹게 힘겹게 해도 쉽게 못 벗어나거든요. 그러니까 우리는 듣고 또 듣고, 닦고 또 닦고. 그냥 한 번에 깨어나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으니까 우리는 어떻게 해야 되요? 좌절하지 않고 계속 계속 해야 되는 거에요.

 

왜냐하면 우리 다른 거 하나 조그마한 거 능력을 쌓을 때도 어떻게 해요? 끊임없이 우리는 훈련하잖아요. 피아노를 친다든지. 체조를 한다든지. 골프를 치든. 수영을 하든. 뭐 무엇을 하든지 간에 요리를 한 가지 해도 우리는 실패하고 실패하면서도 계속 반복해서 종국에는 그 능력을 쌓는데. 이 정말로 이게 대단한 깨달음을 이루고 궁극에 행복을 얻는 일인데. 그걸 그냥 내가 쬐금하고 아이고 정말 깊은 실패감이나 좌절감을 낼 일이 아니라는 거에요. 그러니까 하고 또 하고 그러면서 계속 적으로 닦아야 된다. 이미 현실적으로 굉장히 어렸을 때 우리 세살적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그러잖아요. 내가 그걸 계속해서 닦지 않으면 굉장히 어려워요.

 

무슨 대단히 뾰족한 단번에 닦아서 확~ 하는 길이 있으면 좋겠지만, 어찌 여기까지 오는 데 단번에 오지 않았는데, 이걸 벗어나는 건 단번에 이루어질 수가 있나요? 그러니까 계속적으로 닦아야 되고. 내가 어렸을 때 사랑 받지 못했거나 충분히 돌봄을 받지 못해서 그것에 의한 무의식적으로 내가 과거 기억이라든지 그런 거에 대한 욕망이 있는데. 그럴 때도 이미 계속적으로 아귀 같은 경우에 사랑을 갈망한다고 해도 여기 마크 엡스타인(Mark Epstein)에 그 사례가 나옵니다. 자기 내 남자 중에서 굉장히 이 사람 저 사람 사귀고 다니는데 만족을 못해요. 그래서 조금 지내면 금방 불평을 하고 또 다른 사람을 찾고 계속 사랑의 대상 갈망하죠.

 

그런데 그렇게 해서 사랑이 채워지지 않는다는 거에요. ? 이미 어린 사람이 아니거든요. 나이가 됐으면 어렸을 때 받았든 못 받았든 지금은 뭐에요? 내가 줘야 됩니다. 정말은 내가 사랑의 갈망을 저 약사발인데 그 약사발이 뭔지 아세요? 관세음보살님도 받는 게 아니에요. 내가 줘야 되요. 내가 정말로 사랑의 갈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내가 사랑을 줌으로서 그 갈등으로부터 벗어날 수가 있고. 돈을 갈망해요. 돈을 아무리 모아 봐도 끝이 없다. 어떻게 해야 된다? 내가 보시하면 된다. 그러니까 역의 방식을 써서 해독하는 작업을 해야지 그렇지 않고 벗어나는 길은 없다. 이 말이에요.

 

그래서 우리가 축생 같은 경우도 그런 축생 같은 경우는 제가 저 무지에서 책을 갖고 끊임없이 끊임없이 계속적으로 공부하면서 그리고 특히 성욕이나 식욕이나 저런 것들은 자각을 해야지. 계속적으로 자각해가야 되고, 끊임없이 어느 도에 가든지 우리는 어디로 일단 진입을 한다? 인간도로 진입하는 걸 배워야 되겠다. 인간도가 뭐에요? 고민하는 거에요. 화두죠. 소위 말하면. “내가 누군가.” 너무너무 이 뭐꼬?” 아니에요? 화두. “나는 누구인가?” 그러니까 이걸 돌 때 여러분이 문득 지옥의 고통에서 막 공격성에 헤매거나 아귀의 갈망을 하거나 아니면 질투의 화신이 되어 있거나 아니면 축생으로 지금 그런 거나 천상도에 하거나 간에 그럴 때 여러분의 한계를 기억하시라.

 

뭐로 돌아온다고? 인간도로 돌아오는 길은. 화두 너무 좋잖아. “이 뭐꼬.” “나는 누구인가?” “내가 누구인가?” “내가 지금. 왜 이 상태에 있는가?” 그럼 뭐 그 다음에 부수적인 질문들 많이 나오죠? “나는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갈 것인가?” 등등의 이런 질문을 자기에게 스스로에게 확 던지는 순간에 갑자기 어디로 튀어온다? 인간도로 온다. 그러면 우리가 궁극적으로 붓다가 되기 전까지 부처님이 되기 전까지. 그리고 어느 정도의 도달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이것이 쉽게 이쪽으로 싹 돌아오지 않죠. 그러니까 승부는 어디서 나냐? 누가 처음부터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좌절하지 않고 끊임없이 계속 해서 그 고민을 그 질문을 계속 담고 있느냐? 하는 거에요.

 

그러다 보면 점점 뭐가 커질까? 인간도가 커지는 거죠. 이렇게 인간도가 커지다가 점점 인간도가 커지고 나중에 요것들은 작아지는 거죠. 그러다가 이게 점점 드디어 보살의 경지에 들면서 이것이 점점 해서 나중에는 뭐에요? 아귀상태가 되거나 지옥의 심리상태에, 천국 이렇게 아수라 축생의 심리상태가 되기만 하면 뭐에요? 딱 자각이 되는 거요. ‘~ 내가 그런 상태구나.’ 알아차리고. 알아차리고. 드디어 이걸 다 잠식해서 다 자각 돼서 이 상태가 딱 되어 버리면 어떻게 될까? 그 다음에는? 자연스럽게 자각이 다 이루어가니까 나중엔 아예 되기 전에 벌써 알아차리고. 알아차려서 드디어는 다 되면 뭐가 되겠어요? 보살이 되고 부처님이 되는 거죠.

 

그러니까 여러분의 숙제는 어떤 심리상태가 되었을 때에 굉장히 힘들다. 이거에요. 왜냐하면 그 상태 그냥 몰입되고 빠지거든요. 그럴 때에 한계를 기억하시라. 내가 지금 이런 상태에서 이러고 있는 내가 누구지? 내가 왜 이러고 있지? 하고 탁 한번 치시면서 빨리 어디로 온다? 인간도로 오시라. 인간의 마인드로. 인간의 마인드로 오게 되면 드디어 그때부터 이제 내가 기회가 온 거에요. ~ 그러면 우리가 세살적 버릇 여든까지 간다고 했는데 대체 어떻게 그럼 계속 인간도로 오기 위한 공부를 해야 되는가? 제가 여기 책에 소개한 걸 하나 읽어드리겠습니다. ~ 다 같이 눈감으시고요. 잠깐 명상에 들도록 하겠습니다.

 

~ 호흡을 고르시고 저 쳐다보지 마시고. ~ 눈감으세요. 눈감으시고 허리 펴시고. . 숨을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들이쉬시고 내쉬고. 들이쉬시고 내쉬고.

 

어느 날 할머니가 손녀 햇님에게 이야기 했다.

할머니: 햇님아, 세상 모든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착한 여우와 못된 여우 두 마리가 살고 있단다. 착한 여우는 자비, 사랑, 고요함, 친절, 따뜻함, 지혜, 자각, 통찰 등으로 불리고, 못된 여우는 탐욕, , 분노, 미움, 질투, 어리석음 등으로 불린단다. 이 둘은 우리 마음속에서 날마다 싸우고 다툰단다. 할머니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듣고 있던 손녀 햇님이 묻는다.

햇님: 그런데 할머니, 그 두 마리 여우 중에 누가 이겨요?

할머니: 그야 당연히 네가 먹이 주는 놈이 이기지.

 

. 눈뜨시고요. 그러니까 우리 안에는 우리가 완전히 깨달음에 이르기 전까지는 끊임없이 이 마음, 저 마음이 생기면서 미웠다가 좋았다가 착한 생각이 일어났다가 나쁜 생각이 일어났다가 항상 그렇게 마음이 오락가락하는데. 그 두 개가 갈등하고 싸울 때에 이 손녀가 물었죠? 어느 여우가 이기냐고? 먹이를 주는 놈이 이긴다. 내가 나의 그런 심리상태 중에서 어떤 것에 내가 계속 적으로 먹이를 줄 건가? 나의 그런 부분을 키워갈 건가? 긴 시간 가지고 우리가 하다 보면 반드시 한만큼 표시가 난다는 거죠. ~ 좋은 시간 보내시고 또 다음에 뵙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