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법문/정현스님_불설아미타경

정현스님 _ 제13회 수명무량원 (20:32)

Buddhastudy 2012. 4. 15. 18:54

  방송 보기: 불교TV

절에 다니는 인연도 그냥 이렇게 아무것도 이해되지 않고, 아무런 깨달음이 오지 않아도, 또는 공덕을 자기가 짓는다는 느낌도 자기가 받지 못한다 하더라도, 그래도 그 인연 지은 것만으로도, 저 불문에 불법승 삼보에 귀의하는 은혜 공덕만큼이라도 그 공덕이 지대한 것입니다. 요거 이제 정돈이 잘 되시면 훌륭한 불자가 되는 기초가 돼요. 아주 작은 것만으로도. 그런데 우리가 그렇게 보지 않아도 그렇게 생각되지 않아도, 그렇게 이해되지 않아도, 저 불보살님의 세계는 곧 나의 마음 세계가 저 부처님 마음과 전혀 다르지 않거든요.

 

그래서 혹여 어떤 일이 좀 잘못됐거나, 시험에 떨어졌거나, 실패가 있거나, 가게가 잘 안되거나, 또는 생활 속에서 번민이 따르거나, 인간관계 속에서 고민이 쌓이거나 하는 그런 과정 안에서도, 저 불성부처님은 곧 내가 사용하고 있는 이 마음 세계에 그대로 투영하고 있기 때문에 단지 내가 뭐죠? 그렇게 내가 공덕이 되어져가는 과정이라는 것을 깨우치지 못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랬거든요. 여기 좀 보세요. 붓다의 마음은 있는 그대로예요. 부처님의 마음은 언제든지 그대로예요. 불성 세계는 언제든지 그대로 존재해 있거든요. 전혀 조금도 차이가 없으세요.

 

있는 그대로를 마음을 느끼고, 붓다의 마음은 있는 그대로의 마음을 그 현실을 그대로 들여다보고 그대로 느낄 뿐이고. 있는 그대로를. 그런데 중생의 마음은 실패하는 마음, 괴로워하는 마음, 아파하는 마음, 우울해하는 그런 마음은 그걸 다 중생심이라 그러거든요. 번민 속에 있거나, 한탄하고 있거나, 원망하고 있거나, 미워하고 있는 이런 마음, 감정, 정서 이런 것들은 다 뭐죠? 중생심이다. 중생심은 있는 그대로 보면 있는 그대로. 괴로우면 괴로운 데로 아~ 이건 괴로운 거구나. 이렇게 보면 되거든요. ~ 저분이 화를 내고 있구나. 이렇게 보면 이게 붓다의 마음으로 자꾸 변모해 가실 텐데. 당신이 화를 내니까 자기의식대로 파악을 해요. 자기 판단대로.

 

중생은 자기식대로 왜곡해서 뭐든지 받아들인다고 제가 설명 말씀 드렸어요. 요게 중생이에요. 이런 중생심을 자꾸 갖고 가지고 살면 살수록, 누누이 법당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그러면 가난이 너하고 나하고 친구 하자~~ 이렇게 병이 나랑 친구 하자~~ 이렇게 옆으로 슬금슬금 다가와. 불행이 자꾸 내 곁에 옆에 슬금슬금 다가와서 같이 살자~~ 이러거든요. 요 간단한 이치가 부처님 가르침이거든요. 저 좀 보세요. 그러면 저희가 불교를 믿는다든가 또 절에 오신다든가, 염불을 한다든가, 기도를 한다든가. 이래 허시잖아요. 그죠? 정말 이렇게 하고 있어요. 그러면 기도 한만큼 나아지고 좋아지는 것이 이게 상식이에요. 불교 상식이에요. 불교 상식.

 

불교 상식은 사성제가 어떻게 돼 있고, 이런 것도 상식이지만, 글 속에 있는 상식뿐만 아니라 지금 살아있는 불교 상식은요, 내가 지금 좋아지고 있고, 내가 나아지고 있고, 내가 행복해져 가는 과정을 얻는 것이 불교 상식이에요. 지극히 상식이에요. 진리라고 하는 것은요, 너무나 간단한 거에요. 공부를 할 사람이, 기도할 사람이, 정말 좋아지고 싶은 사람은 자기가 변해요. 자기가 노력해요. 자기가 성실하셔야 돼요. 빛은 언제든지 편재되어서 천지 만물을 다 비추고 있잖아요. 그러니까 자기 양만 비춰주고 있어요. 솔가지는 솔가지만큼만, 떡갈나무는 떡갈 만큼만 그 빛을 받아들이는 거에요. 큰 사람은 큰 대로 받아들이고, 적은 사람은 적은 대로 받아들이거든요.

 

어두운 사람 있어요. 미망한 사람이라고 그러잖아요. 머릿속에 망상만 든 사람이 있어요. 어떻게 하면은 저 선대 어른들께서 조상님들께서 또는 불교식으로 얘기하면 은사, 은사, 그 은사 스님들이 다 줄이고 허기고 이렇게 불사하고 화주하고 해서 만들어놓은 것이 불교 재산이고 불교생활 정재거든요? 그런데 이거를 자기 아무 노력 없이 지꺼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어리석음이거든요. 부모가 아무리 쌓아놓고 아무리 만든 것도 지꺼 아니에요. 그걸 물려받으면 지꺼다. 이런 생각이 드는 거에요. 원 세상에 그런 바보가 어디 있어요.

 

공짜 없고, 있고 살고, 받아서 살고, 이런 거지 그거 은혜 아니에요. 주는 것이 은혜입니다. 주는 것이 공덕이고요. 나눠주는 것이 사랑이고요, 나눠주는 것이 자비라고 그래요. 업이 있어도 부처에요. 죄가 있어도 부처구요, 아파도 부처라는 거에요. 그런데 불교를 공부하는 사람은 그 아픈 것은 그냥 놔두고, 남아있는 부처님이 거 있을 거거든요. 불심이 거기 있을 거 아니에요? 그죠? 불성이 거기 있으니까. 불성을 더 많이 찾고, 더 많이 기도하고, 더 많이 신행하고, 더 많이 예경하면, 그 아픔의 부분은 과거 전세가 됐던, 금생이 됐든, 지금에 하든, 어제 잘못했던 거까지 이것들이 소멸해 간다는 거에요.

 

중생의 어리석음은 잘못된 부분에 계속 매달려 있다는 거에요. 자기의식대로 판단을 하고, 자기의식대로 죄 들었다. 그러고, 자기의식대로 이게 뭐죠? 으음. 업이 나빠서 힘들다. 이렇게 표현하시는 거에요. 그래서 요런 과정을 바꿔가게 하는 것을 부처님 가르침이다. 이렇게 보셔도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 오늘 기억하셔야 될게 뭐죠? 부처님과 나하고는 공감 공생하는 자이다. 내가 부처님을 같이 공감하는 순간, 예경을 하는 것도 부처님과 공감하는 것이고, 예불하는 것도 공감이고, 집에서 신묘장구대다라니를 한편 외우는 것도 부처님과 공감하고 있는 거죠.

 

그러면 아주 묘한 것이 있어요. 공감하는 순간에 공생이라는 게 생겨요. 부처님의 살아있는 생불의 부처님의 살아있는 공감력이 살아나기 시작해요. 그러면 지금부터 밀려있는 그 가난함이나, 지금까지 밀려있는 병고나, 지금까지 밀려있는 저 불행감은 자기 안에 들어있는 본래 공감하고 느껴지고 공생해야 될 것에 대한 것을 완벽하게 배제해버리고, 안 좋은 것에 끊임없이 머리를 들이밀고 살기 때문에 이게 안 되는 거거든요. 그래서 지금부터 부처님을 보기 시작하는 거에요. 그래서 형상으로 먼저 보는 거에요. 절에 가서 예배하고 참배하는 그 자체가 뭐든지 뭐 하고 있다고요? 부처님하고 나하고는 공감하는 같이 느끼는 존재이다.

 

요렇게 정리가 되셔야 돼요. 그러면 묘한 것이 있어요. 내가 부처님께 예경하고 기도하고 발원하는 그 공감 느낌만큼이나 나한테 뭐죠? 공생이 일어나요. 생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는 거에요. 큰 스님 법문에 人生苦樂인생고락이 從心起종심기라고 그러거든요. 으음. 인생은요, 고락이 가득한 거에요. 그런데 이 고락은 뭐로 쫓아 일어나요? 자기 마음을 쫓아서 일어날 뿐이야. 누가 불러들인 게 아니에요. 오직 자기 자신의 마음에 의해서 일어나는 거에요. 이것처럼 쉬운 진리가 어디 있습니까? 저 혼자 억지로 세워서 얘기하는 거 아니거든요. 그래서 우리가 이제 하나둘씩 하나둘씩 생활공간 안에서 가까이 절에 가셔야 돼.

 

오직 저 부처님의 상을 뵙고, 그 부처님의 본질을 보고, 내가 공감하고 느끼셔야 돼. 그래야 자기한테 살아있는 것이 알게 돼요. 그러면 실제로 기생하는 것이 일어나요. 心起심기.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이 있어요. 그것이 행복한 마음을 일으키면 행복한 것이 반드시 일어나고, 괴로운 마음을 자꾸 일으키면 일으킬수록 괴로운 일이 자꾸 자기에게 연결돼 오거든요. 지나간 것에 대해서 뭐하지 말라 그랬죠? 집착과 미련을 깡그리 버리셔야 돼. 우리가 지금 위대한 법장비구의 48대원을 공부하고 있거든요. 48대원을 지금 공부하고 있는데. 유인물 하나씩 나눠 드렸죠? 그죠? 공부하는 방법인데. 제가 써 놓았던 것들을 드리는 거거든요. 그래서 읽어보세요. 같이 소리 내서 같이 읽겠습니다.

 

이 말씀을 듣는 사람, 읽는 사람, 기도하는 사람, 수행하는 사람은 반드시 행복하고 번영할 것입니다. 믿는 마음으로 매일 하루 한 번 꼭 실천하시면 지금 이 순간마다 지금 좋아져 가는 부처님의 가피를 얻으실 것입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지장보살님을 매일 108번씩만큼 만이라도(기도, 예경) 그 사람에게 소원을 성취하게 할 것입니다. 기도 중이나 생활 속에서 밝은 마음을, 사랑하는 마음을, 보시하는 마음을, 행복해하는 마음을, 지금 그렇게 생각하고 지금 그렇게 말하고 지금 그렇게 실천해 보십시오. 그 답은 스스로 풍요로운 현실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 정현. ^^

 

그렇죠. 그죠? 그래서 몇 가지를 좀 적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첫 번째 것이 뭐냐 하면 제일 먼저 원력이 있죠. 그죠? 이걸 제가 다른 토로 좀 바꿔서 설명을 드리니까, 요것만 정돈하고 지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제 1원 무삼악취원(無三惡趣願)<1. 신구의 삼업으로 새롭게 하자.> 2원 불갱악취원(不更惡趣願)<2. 원력으로 성취하자.> 이게 공부라는 게 별개 다른 것에서 찾으면 안 돼요. 자꾸 이렇게 보고, 자꾸 느끼고, 자꾸 말하고, 신구의 삼업이외에 다른 게 있다고 자꾸 생각하시면 안 돼요. 내가 보는 것, 내가 듣는 것, 내가 말하는 것 내가 생각하는 것 외에 다른 존재성이 없으세요. 기억해 두셔야 돼요.

 

내가 듣는 거. 지금 내가 듣고 있음이 이게 실존이에요. 내가 말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요. 내가 느끼는 이 자체가 이것이 확답이에요. 그것이 크든 작든 잘못됐든 자기가 아는 거에요. 내가 생각하고 있는 것만큼 이 세상이에요. 이거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정리하느냐에 따라서 삶의 물질부터 시작해서 정신세계, 그리고 영혼계, 그다음에 뭐죠? 불성세계까지 다 하나로다 통해있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요. 그러면 뭐해요? 죽은 다음에 뭐가 좋아지고 이런 것이 아니라. 지금 발원하고 지금 예경하게 되면 지금 육신으로부터 지금 좋아져 가요.

 

우리가 알고 있는 제 3원 실개금색원(悉皆金色願)<3. 모든 것은 이미 완전하다.> 모든 것은 이미 갖추어져 있다. 모든 것은 이미 완전하다라고 보셔야 돼. 이렇게 보셔야 돼. 이거는 중요한 거기 때문에 몇 개 정리를 합니다. 4원 무유호추원(無有好醜願)<4. 시비분별 없는 원력으로 살아가자.> 시비분별이라고 그랬어요. 시비분별은 결코 나한테 도움이 안 돼요. 적어 놓은 거 보면 아시죠? 그죠? 원력으로 살아가자. 이렇게 설명을 했죠. 5원 숙명통원(宿命通願)<5. 영원한 불성(생명)이 곧 나이다.> 영원, 48대원 지금 공부를 하고 있는 과정이죠? 그죠? . 영원한 불성으로 생명이라 그래도 상관없습니다. 불성이 곧바로 나이다. 선언하고 사셔야 돼.

 

6원 천안통원(天眼通願)<6. 하늘의 복이 내게 통한다.> 우리가 말하는 것처럼 하늘의 복이 내게 통한다. 7원 천이통원(天耳通願)<7. 하늘의 지혜가 내게 열린다.> 임한다 이러거든요. 이걸 쉽게 표현하면 열린다라고 표현할 수 있죠. 8원 타심통원(他心通願)<8. 나의 마음은 모든 것을 창조한다.> 나의 마음은 아주 공부가 잘되셨네. 우리가 말하는 나의 마음은 모든 것을 창조하고 있다. 9원 신족통원(神足通願)<9. 이 삶에는 해탈만이 가득하다.> 이 삶에는 인생이라고 하는 삶에는 해탈만이 가득한 거에요. 우리가 말하는 해탈이죠. 그죠. 가득하다.

 

10원 누진통원(漏盡通願)<10. 지금 생명이 무량수 무량광의 근원이다.> 우리가 지금 아미타경을 공부하고 있죠. 이게 무량광이에요. 무량수 무량광에 이게 근원이에요. 우리가 알고 있는 지금 가지고 있는 이 몸뚱아리, 이 생각, 이 마음, 사용하는, 내가 쓰는 감성, 정서, 이 모든 것이 다 무엇으로부터 연결돼있다고요? 무량수 무량광에 연결된 존재이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11원 지심멸도원(至心滅道願)<11. 가슴 뛰는 삶을 살아가자.> 그러거든요. 평소 이런 연습을 좀 하고 살아야 되는데.

 

12원 광면무량원(光明無量願)<12. 자기자신(자성불)으로 존재한다.> 먼저 지난번에 공부했죠? 그죠? 우리는 자기 자신이에요. 이걸 보고 뭐라고 그러죠? 자성불이라고 그래요. 이걸 다른 말로 자기 자신을 뭐라고 표현한다? 자성불이에요. 자기가 스스로 부처에요. 자기 스스로 뭐죠? 풍요로운 삶을 사는 거에요. 사기 스스로 행복해지는 거에요. 자기 스스로 안락해지는 거에요. 자기 스스로 믿음이 생기는 거에요. 자기 스스로 뭐든지 해내 가는 거에요. 그게 자성불이에요. 그게 자기 자신이에요. 지금. 우리 신랑이나 아내보고 자기 그렇잖아요? 아닌가? 좀 더 조사해서 그건 내가 보고 드릴께.

 

그런데 요게 그때 말하는 자기 자신은 요 얘기에요. 내가 자기? 이렇게 말하는 것은 자기 스스로, 당신은, 다 뭐죠? 스스로 완벽 돼 있는 부처입니다. 이 말과 같은 거에요. 이게 놀라운 것을 들으시고도 전혀 생각이 지금 없으시죠? 무슨 뜻인지 잘 몰라. 이게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셔야 돼. 존재한다. 오늘 제13원 수명무량원(壽命無量願)<13. 나의 생명은 불생, 불멸의 존재이다.> 명칭에 보면 뭐라고 그랬냐 하면 수명이라는 게 거기 나오거든요. 거기 보면 뭐라고 그러냐 하면. 이것은 나의 생명과 이렇게 같은 얘기거든요. 나의 생명은 생명이라고 보죠. 글자 그대로 우리가 알고 있는 반야심경에는 불생불멸의 존재에요.

 

참 이렇게 선언을 하셔야 되요. 이게 13번째를 공부하고 있거든요. 오늘 제목이 뭐냐 하면 나의 생명은 불생불멸의 존재라는 거에요. 나의 생명은 불생불멸의 존재라는 거에요. 그게 부처님 가르침이죠. 그래서 13번째를 지금 공부하고 계시거든요. 13번째 내용을 좀 살펴보시면 37쪽에 13번째 보면은 뭐라고 돼 있어요? 壽命無量願수명무량원이에요. 이 얘기는 뭐냐 그러냐 하면요, 보셨으면 저 좀 보셔야 돼. 책을 좀 엎어 놓으시고, 내려놓으시고, 저를 보시면 돼요. 이게 뭐냐 하면요, 이게 믿어지지 않지만, 우리는 육체를 거꾸로 가지고 살지만, 실제로는 뭐가 있어요? 다 붓다와 같은 존재에요. 원만하고 완전한 존재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