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17)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제1289회] 남편이 말만 하면 짜증을 냅니다.

Buddhastudy 2017. 5. 29. 19:56

 

 

저는 결혼 한지 11년 정도 됐습니다.

남편 성격이 많이 여리고 소심하고 제가 무슨 질문을 하거나

걱정하는 말 만해도 순간적으로 짜증을 내고 잘 삐지거든요.

제 말투가 부드러운 말투가 아니고 비꼬는 말투라고 화를 내거나, 쓸데없는 소리라고 제가 하는 말을 잘 안 들으려고 해요.

자기는 완벽하게 나한테 잘하고 있는데, 왜 자꾸 걱정하고 지적을 하느냐고. 제 입장에서는 대화의 시도인데 그걸 이해를 못하고 자꾸 화를 내니까, 제가 대화를 아예 하지 말아야 하는지.....//

 

화내는 것은 자기 사정이고

묻고 싶은 것은 내 사정이니까,

화를 내든지 말든지 질문을 자꾸 하세요.

 

뭐 그거 어렵다고 그래. 자기도 삐지는 거 아니오. 자기도 지금 소심한 거 아니오. 남편이 화를 내니까, 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이런 것을 소심하다고 그래. 화내는 것은 네 사정이고 나는 물을 일 있으면 물어버리면 되는 거요.

 

에이, 남자 붙이면 그것은 남녀 차별이오. 남자도 소심할 권리가 있고, 남자도 화를 낼 권리가 있는데, 왜 남자는. 여자들은 다 좋은 것은 다 여자하려고 그러고. 무거운 짐 질 때는 남자가 그것도 못 드나.”하고 좋은 거 먹을 때는 남자가 뭐 그걸 밝히나.” 이러고. 못됐어 진짜 가만히 보면. 남자는 소심하면 안 되나? 남자도 소심할 수가 있지. 왜 소심한 것은 왜 다 여자만 소심해야 돼? 자기가 지금 여성 차별하는 거요. 여자도 대범할 수 있고, 남자도 소심할 수 있고, 그러니까 그것은 문제가 안 돼.

 

그냥 남자 여자 문제가 아니고, 그냥 성격이 좀 소심하다, 이렇게. 소심한 것은 네 사정이고.

자기는 왜 화를 내는데? 그래, 내가 물어보는데 그 사람이 짜증내는데, 그 사람 짜증내는데 그럼 왜 자기는 짜증을 내?

궁금하면 그냥 물어보면 되지, 왜 자기가 짜증을 내?

대답 안하면 또 물어보면 되잖아. 짜증을 내도 또 물어보면 되잖아. 왜 짜증을 내는데? 물어보면 되지.

 

지금 이 얘기는 피장파장이다, 이 말이야. “내가 물어보는데 너 왜 짜증내노?” 이렇게 얘기하잖아. 그러면 내가 상대입장에서 볼 때는 내가 짜증을 내면 네가 왜 짜증을 내나?” 이렇게 물어보는 거요.

그래. 거봐. 그러니까

 

내가 물어보면 상대가 짜증내면 안 된다고 생각하면

상대가 짜증을 내더라도 나도 짜증을 내면 안 된다.

이렇게 생각을 해야 돼.

 

그러니까 내가 물어보는데 짜증을 내니, “왜 짜증내지? 그냥 대답해주면 되지.” 이런 생각인 것처럼, 상대도 내가 짜증내면 너도 왜 덩달아서 짜증을 내니.” 이렇게 생각하는 거요. 그래서 네가 짜증을 내니 내가 짜증을 낼 수 있는 것처럼, 내가 물으면 저 사람도 짜증을 낼 수도 있겠구나. 짜증내는 것을 이해를 하란 말이오. 자기 어느 것을 묻거나 대답하기 싫은 것을 물으니까 짜증이 나는 거요. “, 남편이 짜증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짜증내는 것은 네 사정이고, 나는 또 물어봐야 되겠다. 그럼 또 물어보면 되는 거요.

 

아까 저기 이혼하고 싶은 것은 네 사정이고 나는 안 하겠다.” 하듯이, 고집하지 말고. 그러니까 그냥 물어보면 되는 거요. 10번이고 20번이고. 그러면 나는 그냥 편안하게 물어보고, 자기는 성질내고 짜증내면 누가 더 괴롭겠어? 누가 더 괴롭겠어? 그래. 괴로우니까 자기가 대답을 하든지 자기가 죽든지 무슨 수가 생기겠지. 그러면 시집 한 번 더 가면 되고, 걱정이오 그게. 그때는 좀 대범한 사람 구해서 가면 되지.

 

그런데 대범한 사람 구해놓으면 자기 또 숨 막혀서 못살아. 이거는 물으면 짜증냈는데, 대범한 것은 아예 독재를 해. 그래서 그때는 구관이 명관이다. “, 그래도 짜증내는 게 낫지, 이것은 진짜 안 되겠구나.” 이런 생각이 든다, 이 말이오.

 

그래서 칼이 날카로워서 좋지만 손을 베는 것처럼,

솜이 부드러워서 좋지만 줏대가 없는 것처럼,

사물에는 늘 이런 양면성이 있는 거요.

 

그러니 자기가 아마 아버님이 좀 성격이 강해요? 그러니까 자기는 좀 유약한 남자를 좋아했을 거요. 그 아버지 강한 게 싫어서. 그래서 친구하기 참 좋잖아. 그지? 그래서 같이 살아보니 소심해서 줏대가 없어서 지금, 자업자득이오. 그러니까 문제없어요. 그 사람은 아무 문제가 없어. 내가 너무 많은 것을 원하는 거요. 어떤 때는 대범하게 어떤 때는 소심하게, 어떤 때는 부드럽게, 그런데 친구지간처럼 사근사근한 사람 구해놓으면 살아보면 줏대가 없어 답답하고, 카리스마가 있어서 이래서 같이 살아보면 이거 완전히 지맘대로 살아요.

 

그래서 이게 어느 게 좋다 나쁘다 할 수 없어. 그러면 내가 원하는 것은 줏대 있을 때 줏대 있고, 사근사근할 때 사근사근하고, 그것을 욕심이라고 그래. 그거 안 돼요. 스님이 이렇게 스님으로 이렇게 있을 때는 좋아보여서 스님이 너무너무 좋아서 연애하고 싶다 그러면, 냉정할까? 냉정 안할까? 냉정해요. 진짜 찬바람이 쌩 하단 말이오. 이따 한번 나가봐요. 요렇게 친절하게 잘해주지만, 나가서 스님, 사진 찍어요.” 이러면 눈도 깜짝 안 해요.

 

사인할 때 내 이름 서줘요.” 그래 봐요. 써 주는가? “네 이름 네가 써라.” 이래요. “내 이름은 내가 쓰고 네 이름은 네가 써라.”

 

그래서 멀리서 보는 꽃이 예쁜 게 있고, 가까이 보는 꽃이 예쁜 게 있어요. 우리 같은 사람은 멀리서 보면 좋은데, 가까이 와서 보면 성질 더러워요. 그래서 이게 다 다르기 때문에, 우리 같은 사람은 스님하기에 딱 알맞은 성격이지, 누구 남편하고 이러기에는 안 맞는 성격이오.

 

그런데 멀리 보고 좋아보여서 덥석 물었다간 매이는 거요.

 

그런 것처럼 자기가 곧 사근사근하고 좋아서 했는데 요런 문제가 생기니까, 받아들여야 되요. 그 사람 성격이 그런 거요.

그 사람도 어쩔 수 없어.

안 그러고 싶어도 안 고쳐져. ?

어릴 때 자란 환경과 이런 까르마라고 그래.

이 소위 말해서 프로그램이 그렇게 짜여져 있는 거요.

그래서 그거 고치려고 하지 마.

그냥 이해해요. 이해.

 

아 남편 성격이 저렇구나.” 소심하다 나쁘다 이러지 말고.

아 좀 저런 성격이 있구나.” 그럼 그거 좀 맞춰서 하고,

다 맞출 수는 없어.

 

그러니까 성질내도 물어볼 거 있으면 또 물어보면 되요.

그거 왜 물어봐.” 이러면 몰라서 물어보지.” 이러고.

그만 물어.” 이러면 또 물어보고 싶은데.” 이러면 되요.

 

자기는 어떠냐하면 그만 물어.” 이러면

알았다. 나도 안 물일께.” 이런 성질이기 때문에 성질이 똑같은 거요.

남편이 그런 성질이니까 그래 그것은 네 성질이고, 난 물어봐야 되겠다.” 이러고 또 물어보면 되요. 생글생글 웃으면서. 그렇게 하면 서로

 

서로 다른데도 이해하면

사는데 지장이 없어요.

고치려고 하면 안 돼. 못 고쳐. 죽을 때 까지.

 

성질을 어떻게 고쳐요? ‘천성은 못 고친다.’ 들어봤어요? 안 들어봤어요? 그 천성 고치려면 나중에 죽어요. 그래서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이런 말도 있고, 또 천성이 변하는 거보니 죽을 때가 다 되었구나. 이런 말도 있어. 고치면 안 돼. 고치면 죽어. 놔둬요 명대로 살게. 왜 남의 귀한 집 아들을 그렇게 죽이려고 그래.

 

그러니까 성질내면 알았다. 알았다.” 이러면서 그냥 그래도 또 묻고, 자기 풀어 자기가 죽는 것은 내가 상관할 바가 없어요. 그렇게 좀 대범해야 돼. 자기가 좀 대범해야 해. 아이고. 남편이 쫀쫀하면 자기가 좀 대범하면 되잖아. 이 나사못도 암나사 있고 숫나사 있고 이런 게 있습니까? 없습니까?

 

하나가 이렇게 이렇게 들어가면

하나는 이렇게 이렇게 받아줘야 되듯이

하나가 소심하면

하나가 대범하면 아무 문제가 없어요.

둘이 소심한게 같이 붙어서 싸우니까 문제지.

 

남편이 소심해요.” 할 때

난 바로 자기가 소심한 줄 알았어요.

 

자기 얘기 해 봐요. 남편이 나한테 질문하면 이럴 거요. “아이고 우리 마누라 소심해서 여자가 왜 그렇게 소심해요? 스님, 여자가 좀 엄마처럼 푸근해야 되는데.” 이렇게 물으면 내가 뭐라고 그래? 그런 것처럼,

 

남편이 소심하다 싶으면

나도 소심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거요.

아이고, 우리 남편 너무 고집이 세요.” 그 말은

그 사람도 고집이 세다는 걸 말해요.

 

그러니까 그냥 자기부터 먼저 대범해요. 남편이 대범하면 좋겠다 싶으면 자기부터 먼저 대범해요. 그런 말을 받아줘라, 이 말이오. 크게 시비하지 말고. 안 될 거요. 가도. 안되지만 연습하고, 연습하고, 연습하고, 연습해야 되요. 알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