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10)

즉문즉설_법륜스님(제287회) 돈에 상관없는 청빈한 삶

Buddhastudy 2010. 5. 27. 22:18

  방송 보기: BTN


먹고 싶은 거 많아요? 별로 없어요? 그러면 먹고 싶다고 다 먹으면 건강에 좋아요 안 좋아요? 그럼 우리가 음식을 먹는 거는 몸에 좋아라고 먹어요 몸에 안 좋아라고 먹어요? 그런데 입에 맛있는 거하고 몸에 좋은 거하고 같아요 다를 때도 있어요? 그러니까 입에는 맛있는데 몸에 안 좋은 게 있고. 입에는 쓴데 몸에 좋은 게 있고. 그런데 우리는 몸을 기준으로 해서 입을 조절해야 되는데 몸을 중심으로 안하고 입을 중심으로 하고 산단 말이오. 그래서 몸이 나빠 질 때가 있어요. , 맛있다고 많이 먹으면 위확장이 되든지 과식이 돼서 비만이 되든지 나쁜데도 우리는 몸을 생각 안하고 자꾸 입을 중심에 놓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몸을 생각하면 먹고 싶을 때도 줄어야 되고 멈춰야 되고. 또 때로는 입맛이 없어 먹기 싫을 때라도 몸을 생각해서 먹어야 된다 이런 얘기요.

 

그러니까 중심이 몸이어야지 입이 중심이 되면 안 된다 이 말이거든요. 그것처럼 옷을 입을 때도 옷이 중심이냐 몸이 중심이냐 이런 얘기요. 천 원짜리 옷보다는 2천 원짜리 옷이 몸을 위해서 더 좋죠. 몸을 더 잘 보호하죠. 2천 원짜리보다는 만 원짜리가 몸을 더 잘 보호하겠죠. 좋은 옷이라는 게 뭐요? 몸을 더 잘 보호하는 게 좋은 옷 아니오. 그죠? 추울 때는 추위를 피해주고 따듯하고. 더울 때는 더위를 피해주고 시원하고. 햇살이 비칠 때는 햇살을 막아주고. 이렇게 해서 점점점점 더 좋은 옷, 좋은 옷, = = = 가서 요즘 말하는 명품이라 하는 옷 한 벌에 5백만 원 천만 원짜리를 내가 입었다고 하자. 그러면 다리 아플 때는 앉아야 되는데 옷 버릴 까봐 못 앉고. 그 다음부터는 옷이 나를 보호하는 게 아니라 내가 옷을 보호하게 된다 이 말이오. 그럼 이게 전도몽상이란 말이오.

 

옷이 나를 보호하는 게 원래 맞았는데. 더 잘 보호하는 옷이 더 좋은 옷이었는데. 이게 어느 정도 지나쳐버리면 옷이 나를 보호하는 게 아니라 내가 옷을 보호한다 이거요. 옷이 주인이 되고 내가 종이 된다. 몸을 위해서 입에 음식을 먹는데 입이 주인이 되가지고. 입이 주인이 되고 몸이 그걸 감당을 해야 돼. 집도 마찬가지요. 내가 사는 삶을 집이 보호를 해 주는 거란 말이오. 그런데 집이 점점 크거나 집에 귀중품이 자꾸 쌓이게 되면 집이 나를 지켜줘요. 내가 집을 지켜줘요? 내가 집을 지켜야 된단 말이오. 집이 주인이 되고 내가 종이 된단 말이오. 이렇게 우리의 삶이 자기도 모르게 전도가 되어 버려. 제가 어디 가보니까 경치가 너무 좋아. 그래서 여기 계시는 신도님들에게 거기 가니까 꽃도 좋고 경치도 좋은데 내가 여러분들 구경 한번 시켜드리겠습니다.

 

, 나를 위해서 가는 게 아니고 정말 신도 대중을 위해서 내가 가겠다 하고 마음을 냈다 이거야. 그래서 조사를 해보니까 사람이 5명도 아니고 10명도 아니고 수십 명이 된다 이런 얘기요. 그래서 아 버스를 한 대 대절해야 되겠다. 이래서 버스를 대절했다 이 말이오. 그렇게 해 놓고 접수를 받으니까. 버스는 45인승인데 사람은 15명 밖에 안 된단 말이요. 빈자리가 아깝잖아 그지? 그 다음부터는 전화해서 야 거기 경치 좋은데 안 갈래? 이렇게 된단 말이오. 그때는 구경시켜주는게 목적이오 버스 자리 채우는 게 목적이오? 자리 채우는게 목적이된다. 그러니까 그를 위해서 가자고 한 게 아니고 빈자리를 채우는 게 목적이 되고 그가 수단이 된다 이 말이오. 이렇게 우리의 삶은 늘 이렇게 어느 순간 어느 순간에 주객이 바뀌게 된다. 그거? 아주 정신을 안 차리면 거의 놓치게 된다.

 

살기 위해서 음식을 먹게 되는데 주위를 안 기울이면 쥐가 쥐약을 먹듯이 결국 죽게 되는 길을 가게 된다. 그래서 그걸 늘 주의를 해야 돼. 언제 뒤바뀔지 몰라 그게. 어느 순간에 딱 뒤집어져 있어. 도적이 어느 순간에 나도 모르게 주인 노릇을 하게 돼. 그래서 찰나 찰나 순간순간에 깨어 있어라 이렇게 하는 거요. 지금 젊은 청년이 취직을 해서 또는 사업을 해서 돈을 좀 벌어야 되겠다 하는 건 나쁜 거 아니에요. 욕심이 아니에요. 월급을 만약에 한 달에 100만원 받았다 하면 검소하게 사는 것과 돈을 모으는 건 일치합니다. 그러니까 아까도 얘기 했지만 먹는데 입맛이 끌려가지 말자. 쫄쫄 굶어서 몸을 허약하게 하자는게 아니라 입맛에 끌려서 돈은 돈대로 버리고 몸은 몸대로 버리는 어리석을 짓을 하지 말자. 요즘 많이 먹는 게 좋아요 적게 먹는 게 좋아요? 적게 먹는 게 좋지.

 

그러니까 음식점에 가더라도 소식을 하고 요렇게 해서 옷도 있는 거 가능하면 입고. 요렇게 해서 절약을 한다 이 말이오. 친구들은 100만원 받아 다 쓰면 나는 50만원만 쓴다든지 30만원만 쓴다든지. 그저 궁색해서 덜덜덜 떨고. 이렇게 구두쇠가 되라는 게 아니라. 딱히 필요한 데가 아니면 안 쓴다는 거요. 그럼 딱히 필요한 데가 아니면 안 쓰는 건 뭐요? 검소하게 사는 거지. 그러면 월급을 받은 돈에서 검소하게 살면 저축하는 돈이 늘어 날까 안 들어 날까? 늘어나겠지. 그러니까 검소하게 사는 것과 내가 그래도 돈을 좀 모아야 되지 않느냐 하는 것은 반대의 길이 아니다 이 말이오. 함께 가는 길이다. 그리고 그런 검소하게 사는 것 하고 앞으로 결혼 생활을 하는 것도 반대의 길이 아니다.

 

차를 굳이 안 사도 되면 천하가 다 차를 타고 다니더라도 나는 걸어 다니거나 버스 타고 다니면 되요. 남이 사니까 내가 산다. 이렇게 할 필요가 없다는 거요. 그러니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 집하고 직장이 멀어서 대중교통수단 쓰기가 어렵다 하면 자전거를 타고 다닌다든지. 자전거 갖고는 조금 어렵다 하면 차를 사더라도 조그마한 차를 사서 다닌다면 허세를 부릴 필요가 없다 이 말이오. 요렇게 살면 직장에서도 좀 더 벌라고 그렇게 무리 안 하게 되고. 저절로 착실하게 살면 승진은 내가 하는 게 아니고 누가 시켜준다? 상사가 시켜주니까 그건 그 사람 일이지. 내일 아니거든. 거기 맡겨놓고 내일만 착실히 하면 돼. 올라가도 좋고 안 올라가도 좋고. 그러니까 올라가도 좋고 안 올라가도 좋으니까 난 농땡이 친다 이런 얘기가 아니라. 내가 열심히 하는 것은 하지만은 승진시키고 안 시키고는 업무 자체가 상사에게 있지 나한테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내가 남의 일에 간섭을 안 한다. 그건 그들의 일이다 이런 얘기요.

 

스님이 여러분들 물으면 최선을 다해서 이렇게 설법을 하는 게 중요합니까? 어떻게 말해야 요 사람들이 좋아할까? 고걸 연구해야 됩니까? 저 병을 어떻게 치료할까 이걸 연구해야지. 저 사람들이 뭘 좋아할까 이걸 연구하면 안 된다 이 말이오. 그래서 얻어진 인기는 그냥 거품 같은 거다. 그렇게 살아가면 내가 청빈하게 살아가는 삶하고, 즉 내가 늘 주인 노릇을 한다. 옷을 입어도 내가 주인 노릇하고. 직장에서 어떤 직위를 가져도 그건 직위일 뿐이고 역할일 뿐이지 그건 내가 아니란 말이오. 그걸 나로 착각해서 허세를 부리면 안 된다 이 거요. 그러면 저절로 겸손해 지죠. 그 사는 거 하고 또 그리 되면 저축이 되고. 그러니까 생활에 기초가 딱 되는 거 하고. 둘이 반대되는 게 아니라 함께 가는 거다. 그러니까 자기가 깨달은대로 그렇게 살아가면 이 세상에서도 잘 사는 사람이 된다. 허황되게 잘 사는 사람이 아니고 착실하게 잘 사는 사람이 된다. 함께 갈 수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