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24)

[법륜스님의 하루] 관점 하나 바꾼다고 무의식이 바뀔까요? (2022.12.28.)

Buddhastudy 2024. 1. 29. 19:57

 

 

이번 경전대학 수행 연습 주제에 일체유심조 관련 내용이 나왔습니다.

관점 하나 바꾼다고 해서

지금 일어난 내 마음, 감정, 무의식이 바뀌는 것은 아니지 않나 하는 의문이 듭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누군가를 미워하거나 원망하는 마음이 들면

그 미움의 감정이 싫어서

상대는 그럴 수도 있겠구나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내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게 아니고

오히려 억압하고 부정하는 방법이 아닐까요?

나중에는 스스로 감정을 속이며

괜찮은 척 행복한 척하며 살게 되는 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저는 이 관점 바꾸기를 어떻게 이해하고 수행해 나가야 할까요?//

 

 

윤리나 도덕에서는 인격을 지도할 때

화가 나거나 욕심이 날 때 다 표현하지 말라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타인에게 해가 되지 않는다는 좋은 점이 있는 반면에

자기 감정을 억누르고 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 행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참지 못하고 감정을 다 드러내면 남으로부터 비난받고

비난을 피하려고 참으면 스트레스를 받고

그래서 다시 드러내면 비난받고

비난을 안 받으려니 또다시 참게 됩니다.

우리의 삶은 이 둘 사이를 늘 왔다 갔다 합니다.

 

 

-감정을 따라가지도 말고 참지도 말고 알아차려라-

부처님의 가르침은

감정을 참으라는 것도, 감정을 드러내라는 것도 아닙니다.

자기감정을 알아차려라입니다.

이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입니다.

 

그런데 감정이라는 것은 정당화해도 안 되고 부정해도 안 됩니다.

욕심 또한 정당화해도 안 되고 부정해도 안 됩니다.

 

욕심을 무조건 부정하면 금욕주의자가 되고,

욕심을 다 인정하면 세상이 어지러워집니다.

그래서 부처님은 고행도 쾌락도 해탈의 길이 아니다.’ 하셨습니다.

 

다만 자신의 감정이 그러한 줄 알아차려라.

따라가지도 말고 참지도 말고 그냥 그렇구나하고 알아차리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질문자는 알아차리는 게 아니고 참고 있습니다.

알아차린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는 억압하고 있기 때문에

내 감정을 속이는 게 아닐까? 위선적인 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겁니다.

 

 

-중도를 많이 연습하면

억압하지도 않고 따라가지도 않고 알아차림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중도라는 것은 어렵습니다.

참았다가 터뜨렸다가를 단순 반복하기만 하면 범부 중생입니다.

그러나 끊임없이 중도를 연습하면 지금은 반복하는 것 같아도

시간이 지날수록 기복이 좁아지고 중도의 길로 수렴됩니다.

그 과정 중에서 감정을 터뜨리기도 하고 억압하기도 한다면

그것은 수행을 안 한 게 아니라 수행의 과정에 있는 겁니다

 

자전거를 타는 아이가 넘어지면 그것 자체는 실패지만,

넘어지는 횟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언젠가는 타지기 때문에 넘어지는 것 자체는

실패라고 하지 않고 연습이라고 말합니다.

 

연습할 때는

관점을 잡고 목표를 설정해서

어느 정도 향상 되었는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농구공을 10번 던지면

처음에는 한 번도 안 들어갔는데

한 달 연습하니 세 번이 들어간다,

두 달 연습하니 절반은 들어간다고 하면

향상되고 있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내가 연습하고 있는지 단순 실패만 반복하고 있는지는

내가 잘 살펴봐야 합니다.

 

 

-‘일체유심조라는 말은

옳다 그르다하는 것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렇게 인식한다,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즉 옳고 그름, 맞고 틀림, 선악 등 모든 법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자기 생각으로 마음으로 짓는 것 이라는 뜻입니다.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옳은 것으로 인식하고

내가 그르다 생각하는 것은 그른 것으로 인식하는 것

이게 분별이라는 거예요.

 

우리는 다 이렇게 생각하면서 삽니다.

그런데 잘 관찰해 보면

어떤 행위는 그 행위만 있지

그 행위 자체가 옳은 것’, ‘그른 것은 아닙니다.

 

내가 보기에 옳고, 내가 보기에 그른 것입니다.

옳다 그르다 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겁니다.

깨끗하다 더럽다.

이런 것이 사람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거예요.

 

선과 악은 마음에서 일어나는 거니까

사람마다 다 관점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비슷해 보이는 것들도

그 안에 들어가서 잘 살펴보면 다 다릅니다.

사람마다 비슷하기도 하지만 다르고,

종교마다 다르고, 문화마다 다르고 세대마다 다릅니다.

 

 

-왜 이렇게 다 다를까요?

그것은 마음이 짓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마음이 짓기 때문에 다 다르구나하고 이해를 해도,

그 상황이 딱 벌어지면

이건 옳고 저건 그른 거야하고 되돌아가 버립니다.

 

그러니까 질문자가 지금 법문을 듣고 생각할 때는

다름에 대해 이해하는 것 같지만

상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무의식적으로 또는 감정적으로 이건 틀렸어

이렇게 되기 때문에 편안하지 않습니다.

 

무의식에서는 이게 옳은데

생각으로는 서로 다른 거야하고 있어요.

마음속으로는 이미 옳은 것을 정해놓고

머리로는 다른 거야하니까

질문자가 스트레스를 받는 것입니다.

 

어떤 일들은 마음따라 가는데

생각이 마음과 다르니

감정을 억제하는 것과 같습니다.

 

옳고 그름, 맞고 틀림, 깨끗하고 더러움, 값이 비싸고 싸고 하는 것은

모두 사람 마음이 짓는 것입니다.

그 자체가 존재인 것이 아니라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일체가 인간의 마음 작용에서 생긴 것이다,

이것이 일체유심조라는 의미입니다.

 

이 세상은

진짜와 가짜가 있고, 참과 거짓이 있고, 옳은 것 그른 것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부처님은

어떠한 조건 속이라도, 대다수의 사람이 옳다 그르다 말한다고 해도

그것은 절대적, 객관적인 것이 아니다 하셨습니다.

그것은 우리들의 마음 작용이 지은 것이다.

그래서 그것은 꿈 같고, 아지랑이 같고, 물거품 같은 것이다. 하셨습니다.

 

이런 도리를 질문자가 온전히 체험한다면

사람의 행위를 갖고 옳으니 그르니 하지 않게 됩니다.

설령 어떤 조건에서 이게 옳고 저게 그르다 해도

그것 또한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것입니다.

 

이렇게 내가 타인의 다른 관점을 인정하면

내 속에 화가 일어나지 않고, 짜증이 일어나지 않고, 미움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나와 다르다고 해서 미워하면 안 됩니다.

미워한다는 것은

나만 옳다하는 관점이 있기 때문에

미움이 생기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