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살과 6살 된 두 딸을 둔 아버지입니다.
요즘 첫째 딸이 사춘기에 접어든 것 같습니다.
사춘기를 맞은 딸과 문제없이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질문자는 딸이 사춘기인지 어떻게 알아요? 무엇이 사춘기입니까?
우리 아이에게 사춘기가 일찍 온다고 할 때 무엇을 기준으로 그렇게 보는 거예요?
제가 보기에는 대부분 말을 안 듣는 걸 기준으로 삼는 것 같아요.
그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웃음)
아이가 부모 말을 안 듣기 시작하면
‘우리 아이가 이제 어른이 되려나 보다’ 하고 긍정적으로 봐야 합니다.
한 번도 부모 말에 거역하지 않고 자란 아이는 자립적인 인간이 되기 어렵습니다.
부모의 노예로 살게 됩니다.
아이의 육체가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정신도 독립하는 과정이 사춘기입니다.
아이가 어릴 때는 부모를 따라 배웁니다.
어떤 물건을 두고 ‘이것은 뜨거우니 만지지 마라’ 하면
엄마가 그렇게 말했으니까 안 만져요.
하지만 사춘기 때는 그렇지 않습니다.
본인이 직접 만져보고
‘앗, 뜨거워!’ 하고 경험해 봅니다.
그제서야 ‘엄마 말이 맞네’ 합니다.
모두 자기가 직접 확인을 해야 해요.
자식의 입장에서는 어른이 되려면 부모의 말을 안 듣는 것이 정상입니다.
그런데 반대로 부모는 말을 잘 들어야 좋은 아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시적으로는 내 말을 잘 들으니까 좋을지 몰라요.
그런데 사춘기 때 부모의 말을 잘 들은 자식은
자칫 죽을 때까지 책임을 져야 할지도 모릅니다.
가령 부모가
‘지금 너는 남자친구를 사귀면 안 돼!’ 이렇게 말해서
그 말을 잘 들었다고 해 봅시다.
그러면 아이가 사춘기 때 자연스럽게 남자 친구 사귈 수 있는 기회를 막아 버리는 결과가 됩니다.
나중에 대학을 가서도 남자 친구 사귀는 걸 못합니다.
본인이 이성을 사귄 경험이 없기 때문에 사귀는 방법을 모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자라나서 성인이 되면 엄마가 나서서 남자친구를 구해줘야 되고
취직도 시켜줘야 되고, 결혼도 시켜줘야 되고, 손자까지 봐주어야 합니다.
결국 평생 자식의 뒷바라지를 해주어야 하는 상황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이가 청소년일 때는 이성 친구도 사귀,
여러 가지 사고도 쳐보면서
스스로 어떤 문제든 풀어보고 배워나가야 합니다.
아이가 겪는 모든 사건이 성장에 밑거름이 됩니다.
어떻게 보면 부모의 말을 안 듣는 게 좋은 일이에요.
부모가 ‘우리 아이는 사춘기가 일찍 왔다’고 할 때
그 기준을 확인해 보면 대부분 부모의 말을 안 듣기 시작한 시점을 말합니다.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말을 안 들으면 우리 아이는 사춘기가 일찍 왔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부모의 말을 안 듣기 시작하는 그때 비로소 성인이 되기 시작하는 거예요.
원래 육체의 성장은 13세가 되면 성인의 반열에 들어갑니다.
성체(成體), 즉 생식 능력이 있는 성숙한 몸이 되었다는 뜻입니다.
만약 학교 선생님이 청소년과 연애를 했다면 교사 자격은 박탈되지만
상대의 나이가 13세가 넘었기 때문에 형사처벌의 대상이 안 됩니다.
13세가 넘으면 자기 신체에 대한 결정권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부 나라에서는 나이를 약간 올려서 15세로 적용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성인 대우를 해주는 나이는 만 나이로 19세잖아요.
그래서 13세에서 19세 사이에 일어나는 것이 청소년 문제입니다.
육체는 성인이 되었는데 정신적으로는 사회에서 인정을 못 받으니까
이 나이 때에 청소년 문제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청소년 문제가 없었습니다.
15살이 되면 결혼을 하고 성인 대우를 해 주었기 때문에
청소년 문제 자체가 아예 생겨날 수가 없었어요.
육체는 다 성장했는데 정신적으로는 성인으로 인정을 안 해 주니까
성문제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문제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만약 15살이 된 청소년이 아이를 가졌다고 하면
사람들은 큰일이 났다고 하지만 저는
‘아, 딸이 신체적으로 건강하구나’ 이렇게 봅니다.
부모도 ‘아, 우리 딸이 건강하네’ 이렇게 보고
이미 생긴 배 속의 아이를 낳을 것인지, 낙태를 할 것인지,
입양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관점을 바꾸면 놀랄 일이 아니라는 겁니다.
부모의 말을 안 듣는다는 기준으로 무조건 사춘기라고 얘기하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사춘기는 아이가 성인이 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봐주어야 합니다.
부처님은 사춘기 시절에 새가 벌레를 쪼아 먹는 모습을 보면서
‘왜 하나가 살기 위해 하나가 죽어야 할까?
같이 사는 길은 없을까?’ 하는 의문을 가졌어요.
지금 청소년들이 그런 의문을 어른들에게 얘기하면 쓸데없는 소리한다고 묵살해 버릴 수 있습니다.
처한 상황은 좀 다르지만 부처님도 그 질문에 대해 아무에게도 답을 듣지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계속 고민하고 탐구했어요.
이 의문이 바로 인류의 위대한 스승이 되는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는 그저 지켜봐야 합니다.
자식이 어릴 때는 부모가 모범을 보여주며 보살펴야 합니다.
그러나 사춘기에는 아이를 놓아두어야 합니다.
아이가 요청하면 도와주더라도 그 외에는 간섭하면 안 됩니다.
또 부모가 답답해서 아이에게 속마음을 다 말하라고 다그쳐서도 안 됩니다.
속마음을 누구에게나 다 말하고 다니면 위험하잖아요.
그렇게 잘못 훈련이 되면 안 됩니다.
숨길 것은 숨길 줄도 알아야 해요.
그렇게 이 세상을 배워 나가야 합니다.
그래서 사춘기에는 아이가 위험해 보이면
약간 조언을 하되 그 외에는 직접 시행착오를 거듭하도록 지켜봐야 합니다.
아이가 부모 말을 안 듣는다고 기분 나빠할 필요가 없어요.
별일이 아닙니다.
남편이나 아내에게 큰소리치고, 자신의 부모도 돌보지 않고, 본인 성질대로 살고,
그러면서 아이한테는
‘내 말을 잘 들어라’ 하면 아이는 속으로
‘엄마는 할머니한테 잘하나?’, ‘엄마는 아빠한테 잘하나?’
이렇게 생각합니다.
다만 입 밖으로 말을 안 할 뿐이에요.
사춘기가 되면 아이는 이런 말들을 입 밖으로 꺼내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여러분은 말을 잘 듣던 애가 갑자기 저항을 한다며 당황해해요.
그러나 이 저항은 그동안 아이에게 심리적인 억압이 있었다는 뜻입니다.
어느 날 갑자기 생긴 일이 아니라 그동안 감춰져 있던 마음이 비로소 드러나는 거예요. 이럴 때는 아이가 버릇없이 군다며 꾸짖기보다는
‘어떤 심리적 억압 때문에 아이가 이렇게 반발을 할까’ 하고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봐 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마음을 살펴서 풀어주어야 해요.
그렇다고 무조건 ‘엄마가 잘못했다’ 하고 사과하라는 건 아닙니다.
부모가 잘못한 것은 없어요.
다만 성질이 좀 더러웠을 뿐이에요.
부모가 이렇게 다가가야 아이와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이가 연애를 했다고 야단을 치면 아이는 엄마에게 입을 닫습니다.
그러면 나중에 더 큰 사고가 터져요.
아이는 세상 누구 하고도 못할 이야기를 엄마와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엄마, 내가 남자친구가 있는데 하룻밤을 잤어’ 이렇게 말하면
‘이야, 너는 엄마보다 빨리 잤다’ 이렇게 받아주면서 상황을 살펴야 합니다.
약간 위험하다 싶으면 그때 조언을 해야 해요.
덜 위험하다 싶으면 그냥 놔두고요.
이렇게 아이와 소통을 할 수 있어야 아이가 정말 어떤 상황에 있는지를 늘 파악을 할 수 있습니다.
선을 정해서 그 이하로는 허용하고, 그 이상이 되면
‘얘야, 그 이상은 안 된다’ 하고 조절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고 부모가 무조건 야단을 치니까
아이들이 엄마에게는 말을 하지 않는 거예요.
친구에게 얘기하거나 밖에 다른 사람과 얘기를 합니다.
그러니 아이가 내 생각대로 되지 않는다고 속을 끓이기보다는
아이와 솔직하게 소통을 해나가시길 바랍니다.
저도 부모님의 말을 안 들었습니다.
고등학교에 잘 다니던 아이가 갑자기 절에 들어갔으니
저희 어머니가 얼마나 가슴이 아팠겠어요.
그런데 부모의 말을 안 듣는 아이가 더 잘 될 때도 있습니다.
부모의 말을 잘 듣는 아이는 잘 되어 봐야 부모 수준밖에 안 되는 거예요.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으면
부모보다 못할 가능성도 있지만 부모보다 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니 본인이 굉장히 위대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아이에게 본인의 말을 잘 들으라고 하세요.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저 아이가 나보다 크게 되려고 저러나?’
이렇게 긍정적으로 생각해 보세요.
아이가 저항을 하는 게 나쁜 일이 아닙니다.
저항이 드러나야 부모가 아이의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이에요.
우리 아이에게 어떤 심리적인 억압이 있는지를 알아야 내가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고 아이가 계속 스스로 마음을 억압하며 살거나,
아이가 저항할 때
‘어디서 엄마한테 대들어!’ 하고 다그치면 아이의 병을 키웁니다.
아이가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될 상황이라면
서둘러서 전문가를 찾아가 검진을 받고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세상 사람이 다 이해를 못 해도 부모는 사랑하는 내 자식을 이해하고 보살피는 마음을 가져야 하지 않겠어요? 그
러니 제발 이웃집 아주머니 노릇을 하지 말고 아이에게 부모가 되어 주세요.
여러분은 어떻게 스님이 장가도 안 가고 아이도 안 키워봤는데
저런 걸 다 아나 싶을 거예요.
어떤 사람은 스님이 뭐든 척 보면 안다고 하면서 신비하게 생각합니다.
어떤 사람은 혹시 몰래 장가를 간 것이 아닌가 하고 의심합니다.
그러나 인간의 마음이 움직이는 것에는 사실 큰 차이가 없어요.
다만 그 관계가 부부 관계냐, 부모 자식 관계냐, 친구 관계냐, 사업 관계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저는 심리가 작용하는 기본을 알려드리는 겁니다.
응용은 여러분처럼 실제로 아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더 잘합니다.
큰 틀에서 원리를 알았다면 이제는 직접
‘우리 아이가 왜 갑자기 말을 안 듣지?’ 하고 연구를 해야 해요.
이렇게도 시도해 보고 저렇게도 시도해 보면서
‘아이들은 이렇게 대해야 하는구나’, ‘아이들은 이렇게 대하면 안 되는구나’ 하고
알아가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아이를 너무 내 의도대로 움직이려고 하면 안 됩니다.
그러면 아이는 부모의 노예가 됩니다.
때로는 아이의 의견에 대해 ‘그래, 그럴 수 있겠다’ 하면서 받아들여야 합니다.
이렇게 아이의 의견을 때로는 받아들이고
때로는 제지를 해야 아이도 규칙을 지킵니다.
무엇이든 다 지키라고 하면 결국 반발을 하게 됩니다.
반대로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일은 딱 잘라서 제어를 해주어야 해요.
하지만 아이들에게 성질을 내며 싸우지는 마세요.
싸워봤자 어차피 부모는 아이에게 집니다.
'법륜스님 > 즉문즉설(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륜스님의 하루] 어릴 때 어머니에게 받지 못한 사랑을 어디서 채워야 할까요? (2024.04.05.) (0) | 2024.04.15 |
---|---|
법륜스님의 즉문즉설_ 2005. 아내가 다른 창업자의 가족에게 질투가 심합니다 (0) | 2024.04.11 |
[법륜스님의 하루] 중학생 아들의 성적이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공부를 잘했는데... (2024.04.03.) (0) | 2024.04.11 |
법륜스님의 즉문즉설_ 2004. 남편이 일방적으로 이혼을 요구합니다 (0) | 2024.04.10 |
[법륜스님의 하루] 이분은 절망의 시기에 미래의 희망을 제시한 분. (2024.04.02.) (0) | 202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