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멘토·코딩교육

[인생멘토 임작가] 행복으로 이끄는 8가지 발달과업 5편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Buddhastudy 2022. 9. 28. 19:24

 

 

 

여러분도 청소년기에 혹시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셨나요?

'나는 누구인가,

뭘 해야 하나,

어디에 소속되어야 하나'와 같은 고민을 해보신 적이 있으시다면

나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해보신 거라고 말할 수 있어요.

 

정체성의 문제라는 것은

결국 '내가 무엇을 하며 평생을 살아갈 것인가?'라는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입니다.

나의 정체성은 나의 삶 그 자체라는 거예요.

 

'내가 누구냐,

내가 어떤 사람이냐,

어디에 소속되어 있는가,

무슨 일을 하며 살 것인가?'와 같은 질문들에 대한 나의 답변이

내 삶의 방향과 질을 결정하게 된다는 거예요.

 

따라서 나의 정체성을 내가 혼란스러워해도 안 되고

그걸 부끄러워해서도 안 된다는 겁니다.

정체성이 삶의 질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필리핀 사람들과 교제를 많이 나누었던 경험이 많습니다.

그래서 필리핀 사람들이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지 좀 많이 알고 있어요.

 

우선 필리핀이라는 나라 자체가 후진국이잖아요.

필리핀이라는 나라에선 정치권의 부패가 어마어마합니다.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들도 이런 면에서 문제가 많았었지만

필리핀이라는 나라의 역사는 독재와 부패 그 자체입니다.

이건 필리핀 사람들도 다들 인정하는 사실이에요.

 

대통령의 친인척이 모든 걸 다 해 먹는 그런 나라가 바로 필리핀이에요.

그래서 치안은 정말 안 좋습니다.

필리핀 경찰은 아마 세계에서 가장 부패한 조직일지도 몰라요.

 

예를 들어, 필리핀에선 이런 일이 많아요.

필리핀 경찰이랑 조폭들이 같이 짜고서

필리핀으로 오는 여행자들 가방에 몰래 총이나 마약을 넣어 놓고

여행자를 감옥에 가둬두는 거예요.

그리고 거액의 돈을 내놓지 않으면 여행자들을 안 풀어주는 겁니다.

이런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은 일들이

실제로 벌어지는 곳이 필리핀이에요.

 

, 필리핀은 세계에서 단연코 1위 인력 수출국입니다.

경제 상황이 안 좋으니까 돈을 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외국에 나가서 외화를 벌어오는 거예요.

그러니 가정 문제가 너무나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엄마나 아빠가 아이를 고국에 놔두고

돈을 벌려고 외국에 나가서 오랫동안 있는 거니까요.

아이들이 엄마와 아빠의 돌봄을 받지 못하는 거예요.

 

또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이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한 이유는

필리핀 남자들이 정말 많이 마약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필리핀 남자들이 마약을 많이 하는 이유는

할 게 없어서 그래요.

필리핀 내에서 할 만한 직업이 변변치 않으니까

그냥 쉽게 마약에 빠지게 됩니다.

 

마약을 하면 현실의 고통을 잠시 잊을 수 있으니까

마약에 쉽게 빠질 것도 같습니다.

 

그래서 필리핀 사람들을 만나보게 되면

이건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사람들이 좀 주눅이 들어 있어요.

자신감이 없는 거예요.

본인들이 열등하다고 느끼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요.

 

이건 에릭슨의 이론과도 아주 부합하는 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돈도 많이 못 벌고, 그래서 사회경제적 상태도 별로고, 안정성도 없고, 본인들 나라 상황도 안 좋고

그래서 제가 지금까지 만나본 백 명 가까운 필리핀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다 그저 그랬어요.

사람들이 정직하지도 않았고요.

 

전 자존감이 높은 필리핀 사람을 만나 본 적이 없어요.

친구로서 괜찮은 사람들도 몇몇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다 별로였어요.

 

바로 그게 그 사람들의 정체성이라는 거예요.

여러분은 어떤가요?

여러분은 한국인이라는 게 자랑스러우세요?

 

그러면 정말 다행인 거예요.

내가 한국인이라는 게 자랑스럽지가 않으면

혹시 그게 부끄럽다고 느껴지면

거기서부터 정체성의 위기가 시작되는 겁니다.

 

조선족이 어떤 민족인지 알고 있으시죠?

조선족은 중국에서 살고 있는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한국계 중국인들이잖아요.

물론 그게 서울말은 아니지만요.

조선족들은 자신들이 조선족임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을까요?

 

조선족이 나오는 영화들을 보면 어떤가요?

범죄도시나 청년경찰이나 황해 같은 영화를 보면 조선족들이

다 범죄 집단으로 나와요.

 

이런 영화를 만약 조선족들이 시청했다면 과연 어떤 기분을 느낄까요?

제가 조선족을 나쁘다고 말하는게 아니에요.

단지 이런 모든 것이 다 정체성 그리고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는 겁니다.

 

그래서 최소한 가정 내에서만이라도 아이가 소속감을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면 좋거든요.

이게 무슨 말이냐면 이런 거예요.

여러분은 여러분의 아버지가 여러분의 아버지인 게 자랑스러우세요?

여러분은 여러분의 어머니가 여러분의 어머니인 게 자랑스러우세요?

 

만약 그렇다면 정말 다행인 거예요.

여러분의 정체성이 분명해지는 거니까요.

여러분은 여러분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식인 거예요.

그게 여러분의 정체성입니다.

 

그런데 만약 여러분의 아버지와 여러분의 어머니가 여러분의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사실이 부끄럽게 느껴진다면,

자신의 존재 자체를 부끄럽게 여기는 것이기 때문에

인생을 살아가면서 이것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를 경험할 수밖에 없습니다.

 

스스로를 자신 있게 내보이지 못하기 때문에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일에서 또 일을 성취하는 면에서도

어려움을 겪게 될 거라는 것이

에릭슨이 설명하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청소년기에 정체성을 올바로 확립하는 것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에릭슨은 생각했던 거예요.

정체성 확립을 잘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정말 많습니다.

 

정체성 확립을 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의 부모가

정말 흔하게 겪게 되는 문제 하나는

자녀가 유흥에 너무 쉽게 빠진다는 겁니다.

 

게임만 한다든가 아니면 친구들과 놀러 다니는 것에 열중한다든가

학업을 등한시하고 연애만 한다든가 등등

그런 아이들은 자기 정체성을 확실하게 확립하지 못하니까

그냥 쾌락에 몰두하는 겁니다.

 

'내가 무엇을 할 것이며, 어디에서 어떤 사람들하고 같이 어울리며 살아가겠다'

어떤 확실한 청사진이 머릿속에 없기 때문에

그냥 하루하루 순간적인 재미에만 몰두하면서 살아가는 거예요.

그리고 그런 자녀를 가진 부모는 속이 터지죠.

 

전 개인적으로 이런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을 많이 만나보았어요.

그런 부모님들 속은 정말 터졌습니다.

제가 직접 그런 것들을 눈으로 목격했었어요.

 

그런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 낱낱을 보면

부모들 자체는 꽤나 괜찮은 사람들인 경우가 많아요.

사회적으로 위치도 있고, 성공했고 재산도 있고,

그런데 그분들 자녀들은 그냥 아무 계획 없이 놀기만 하는 거예요.

 

삶의 목표가 없고 그래서 성실하지도 않고

그런 아이들은 마치 내일은 없는 것처럼 그냥 살아요.

 

이런 것들을 보면 청소년에게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해할 수 있는 일입니다.

 

그러면 청소년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정체성의 혼란함을 분명히 많이 느꼈을 것 같지만

지금 굉장히 잘된 케이스 하나를 꼽으라고 하면

모델 한현민 군을 들 수 있을 것 같아요.

 

이 친구의 아버지는 나이지리아 사람이라서

이 친구를 보면 전혀 한국인처럼 안 생겼죠.

이 친구가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지 않았을까요?

, 당연히 느꼈을 거예요.

 

본인이 한국인들과 정말 다르게 생겼고

본인도 그걸 분명히 의식하면서 성장했을 테니까요.

 

실제로 한현민 군은

한국에서 흑인 혼혈에 대한 편견 때문에 많이 힘들었다고 합니다.

주위 사람들이 자기를 보면

"우와, 너 되게 힘들겠다" 하고 이야기를 한대요.

 

아마 한국인들은 예쁘게 생긴 백인 혼혈들 한테는 그런 얘기를 안 할 거예요.

그런데 한현민 군의 부모님이 자기에게

"넌 특별한 사람이야,

언젠가는 좋은 일이 생길 거야" 라고 항상 얘기를 해주셨대요.

 

한현민 군은 그런 말이 정체성의 위기를 겪을 때마다 힘이 많이 되었다고 합니다.

한현민 군은 현재 모델이라는 특별히 자신이 잘하는 일과 역할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더 이상 정체성의 위기를 겪을 것 같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