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13)

[즉문즉설] 제387회 사랑과 마음의 평화

Buddhastudy 2013. 5. 2. 22:10

출처 YouTube

 

이때 사랑하는 마음이라고 했는데, 이 사랑하는 마음이라고 표현을 했지마는, 잘 살펴보면 이것은 앞에서 말 한데로 욕구에요. 즉 분석해서 말한다면, ---, 이렇게 느낌과 갈애와 그 다음에 행위와 그 다음에 거기에 따른 열매. 업과. 이렇게 변해가는 과정에서 말한다면, 불쾌한 느낌에 대해서 싫어하는 마음을 일으키듯이, 화가 난다는 것은 불쾌한 감정이에요. 그러니까 불쾌한 감정을 거기에 휘둘리지 않고, 그것을 잘 알아차려서 제어하는 것은 됐다. 그런데 유쾌한, 유쾌한, 쾌에 대해서 아주 기분 좋음이 일어나서, 그것을 지금 제어하지 못한다는 얘기와 같다 이 말이오. 사랑하는 마음이 일어났을 때 이것을 다스리기 어렵다 이 말은.

 

그런데 불쾌한 감정에 휘둘리는 것, 거기서 벗어나는 것도 중요하지만은, 이 유쾌한 감정에 휘둘리는 것도 똑같이 거기서 벗어나야 된다. 그래서 이 공부를 하면 관수, 수를 관하면, 시고, 고다. 이렇게 말하죠. 이 느낌은 쾌와 불쾌가 일어나는데, 불쾌만이 고가 아니라 뭐도 고다? 쾌도 고다. 거기에 집착하지 않아야 돼. 다시 말하면 우리가 명상을 할 때 번뇌가 일어난다든지, 다리가 아프다든지, 하는 것은 다 불쾌한 감정이오. 그 불쾌한 감정에 끌려가지 않고, 거기에 평정심을 유지하고, 거기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만이 수행이 아니고, 그것이 지나가면 그 거친 불쾌한 감정들이 지나가면 그 다음엔 아주 미세하고, 아주 기분 좋음이 일어난다.

 

그럴 때 사람들은 그거에 대해서 집착하죠. ‘~ 이래서 수행하구나. 이게 수행의 맛인가 보다.’ 그래서 다음에 수행할 때는 아까 일어났던 그 감정이 어때요? 일어나기를, 거기에 집착해서, ‘~ 아까 같은 그런 상태가 안 일어나나?’ 하고 요렇게 집착을 하죠. 그러니까 그게 벌써 번뇌인 거요. 그러니까 그 미세하고 유쾌한 거에 대한 집착도 놔야 되요. 그 유쾌한 것에 대해서 사로잡힘이 바로 여기서 말하는 좋은 감정, 사랑의 마음이다. 그러니 당연히 거기로부터도 마음의 평정을 유지해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또 하나의 괴로움의 씨앗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