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 역사/최인호TV

[전상훈TV] 전쟁의 판도를 바꾼 작은 전투 (2) 곽주성 탈환 전투(1010년)

Buddhastudy 2021. 11. 9. 18:51

 

 

 

 

곽주성 탈환 전투

2차 고려 거란전쟁(1010)의 판도를 바꾸다.

 

 

# 고려 거란 1차 전쟁 요약

993년 소손녕이 지휘하는 자칭 80, 실제 10만의 거란군이 침공했다.

발해 유민 출신 중랑장 대도수가 지휘하는 고려군이 안융진 전투에서 승리했다.

안융진 전투에서 패배란 거란군의 예기가 크게 꺾였다.

서희가 소손녕과의 담판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강화협정을 체결했다.

고려는 압록강 이남에서 청천강 이북 지역의 여진족을 몰아내고

강동 629성을 설치해 거란의 재침에 대비했다.

고려의 영토가 청천강 이북부터 압록강 이남 지역까지 확장됐다.

 

 

# 곽주성 탈환 전투 (2차 고려 거란 전쟁, 1010)

1010년 거란의 성종이 40만 대군을 직접 지휘하여 고려를 침공했다.

강조의 정변(1009년 목종 시해, 19세의 현종 추대)을 벌한다는 명분으로

고려 정복을 공언하며 침공했다.

 

첫 전투가 의주 남쪽 15킬로미터 아래 흥화진에서 벌어졌다.

도순검사 양규가 지휘하는 수천의 고려군이 7일간 농성전을 벌였다.

거란군은 흥화진 함락을 포기하고 일부 병력을 흥화진을 포위한 채 남겨두고

주력군은 흥화진을 우회 남진한다.

 

흥화진 전투에 이어 거란군 주력과 고려군의 주력이 통주에서 전면전을 벌였다.

고려의 실권자 강조가 지휘하는 30만 대군이 흥화진 전투의 승리에 도취되어 만용을 부리다가 거란군에 괴멸적 패배를 당한다.

 

고려의 총사령관 강조마저 포로로 잡혔다.

주력군의 괴멸로 고려의 운명은 바람 앞의 촛불의 처지가 됐다.

다행히도 강동6주의 성들은 무척 경고했다.

 

통주 전투의 대패에서 불구하고 통주성의 수비 병력은 거란군의 공성전을 죽을 힘을 다해 방어했다.

이에 거란군은 통주성마저 우회하고 그 다음의 곽주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킨다.

 

개경을 앞둔 마지막 관문인 서경(평양)에서 대회전이 벌어진다.

1차 전쟁의 영웅 대도수의 지키던 서경의 병력은 거란군의 총공세를 방어하며

불리하던 전황을 교착상황으로 돌려놓는다.

대도수는 서경 전투에서 성 밖에 나가서 용맹하게 싸우다 거란의 포로가 되어 거란으로 끌려간다.

이로써 우리 역사에서 발해의 흔적이 지워졌다.

 

이때 작은 전투 하나가 전쟁의 판세를 바꿔놓는다.

첫 전투에서 거란군에 승리한 후 흥화진을 지키고 있던 양규 장군이 정예병 700명을 지휘하여 거란군의 포위망을 뚫고 성을 나와 남진하던 거란군의 배후를 공격했다.

 

양규와 700용사의 공격 목표는 곽주성이었다.

흥화진 700용사는 통주성을 지키던 고려군 1000용사와 합류하여 거란군 6000명이 점령하고 있던 곽주성을 기습하여 1217일 탈환했다.

 

거란군의 고려 영토에서 확보한 유일한 보급기지였던 곽주성을

1799명의 고려군이 함락시킨 이 전투는 기적 같은 일이었다.

양규 장군은 흥화진 통주 곽주를 기반으로 거란군의 배후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서경 전투의 교착, 곽주성의 탈환으로 궁지에 몰린 거란군은 모험적으로 개경 직공을 결정한다.

고려왕을 잡아 단숨에 전쟁을 끝내려 한 것이다.

고려왕 현종은 강감찬의 조언을 받아들여 일단 개경을 비우고 남쪽으로 몽진한다.

101111, 거란군이 개경에 무혈입성했다.

고려왕을 사로잡지 못한 거란군은 빈손이 되었다.

 

몽진하던 현종은 하공진을 거란군 진영에 사신으로 파견해 강동6주 반환을 제시하며 강화를 요청한다.

거란의 성종은 전세가 앞으로 더욱 불리해질 것임을 깨닫고 강화를 수락한다.

거란군은 하공진을 인질로 삼은 채 개경 함락 열흘 만인 111,

개경을 떠나 거란을 향해 철군을 시작한다.

거란에 끌려간 하공진은 훗날 거란의 회유를 뿌리치고 거란 땅에서 탈출을 시도하다가 처형됐다.

 

111일 개경을 출발해 북으로 향하던 거란군은 17일 개경으로부터 300km 거리의 귀주에 도달한다.

하루 50km의 행군, 수만 명의 고려인 포로까지 감안하면

승자로서의 당당한 철군이 아니라 도망과 다를 바 없었다.

 

강동6주의 고려군이 철군하던 거란군을 맹공격한다.

특히 양규와 700 용사들의 전과는 혁혁했다.

양규를 비롯한 강동6주의 군사들이 거란군을 일제히 공격했다.

117~28일까지 거란군 수만을 죽이고, 3만의 포로를 구출했다.

양규의 부대는 귀주 북쪽 전투에서 거란군에게 포위당했다.

그러나 포로들의 탈출로를 확보하며 끝까지 버텼다.

 

10101216, 흥화진을 둘러싼 포위망을 뚫고 나온 후,

곽주성을 탈환해 전황을 역전시키고

철군하던 거란군을 공격해 패주시키던 양규와 700용사는

1011128일 마지막 전투에서 거란군의 포위망을 탈출할 수 있었지만

고려인 포로들의 퇴로를 끝까지 지켜내다 전원 전사했다.

 

양규와 700용사들의 최후는

훗날 임진왜란 마지막 전투 노량해전에서의 이순신 장군의 분전과 전사를 떠올리게 한다.

양규와 이순신은

이 땅을 침략한 외적이 두 번 다시 이 나라를 침범할 엄두를 내지 못하게 하겠다는 각오로 최후의 결전에 임했다.

 

양규와 이순신은 포로가 된 우리 백성들을 단 한 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이 땅을 침범한 외적을 단 한 놈이라도 더 죽이기 위해

최후의 순간까지 싸웠다.

 

 

2차 고려-거란 전쟁이 끝난 후 현종은 양규를 건국공신에 준하는

힘한후벽상공신으로 추증했다.

양규 장군과 이순신 장군은 최후의 전투를 앞두고 한목소리로 부하장병들을 독려했다.

 

돌아가는 적을 결단코, 고이 돌려보내지 않으리라

2차 전쟁의 흥화진 방어전투곽주성 탈환전투

1차 전쟁의 안융진 전투보다 더욱 진화했다.

 

단지 지키는 것에만 그치는 것이 안니라

소수의 최정예 병력을 휘몰고 나와 강대한 거란군의 배후에 심대한 타격을 입혀

개경까지 점령했던 거란의 철군을 강제해냈다.

 

양규와 700용사의 분전은

조선의 이순신과 13척 판옥선이 이뤄낸

명량해전과 노량해전의 승리에 버금가는

우리 역사의 빛나는 금자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