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23)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_ 경계성 지능을 가진 쌍둥이의 부모입니다

Buddhastudy 2023. 3. 1. 20:10

 

 

 

아이들이 18살 남자 쌍둥이로

둘 다 지능이 75로 경계성 지능입니다.

일주일 전 둘 다 너무 우울해서 죽고 싶다고 해서

정신 병원에 입원을 시켰습니다.

부모로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사람 얼굴이 검게 태어난 것을

희게 만들려면 힘이 들까? 안 들까?

 

사람이 키가 작게 태어난 것을

큰 사람을 부러워하면

키 한번 커 보겠다 하면 힘이 들까 안들까?

 

검은 거는 검은 것이 아름답다.

검은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살아야 하고

작으면 작은 것이 아름답다

작은 것에 맞춰서 살아야 하는 거예요.

 

장애가 있으면 장애가 있는 걸 인정하고 거기에 맞춰서 살아야 하는데

질문자는 검게 태어난 것을 희게 만들려고 그러고

작은 거를 크게 만들려니까

이게 아무리 애를 써도 안 되고 힘들고.

 

그래서 하느님의 죄인가?’하고

전생에 죄를 지었나?’ 하고

사주팔자 타령을 하고 이런 거예요.

 

그러니까 그런 장애가 있다, 지능적인 좀 부족함이 있다하면

그에 맞춰서 인생 설계를 해야 한다는 거예요.

그 수명이 짧다하면 그에 맞춰서 인생 설계를 하면 돼요.

 

그걸 자꾸 정상인, 우리가 보통 말하는 정상인의 기준으로 해서

그걸 맞추려고 하기 때문에

부모는 부모 대로 고생해서 힘들고 자녀들은 열등의식을 갖게 된다.

그래서 오히려 격려가 필요한 거예요.

 

개도 잘 살고, 돼지도 잘 살고, 토끼도 잘 사는데

75라고 해도 거기에 비하면 1020배 지능이 좋은 편인데

불행하게 살 이유가 하나도 없잖아요.

 

앞으로 인공지능이 나오면

인공지능 탑재한 로봇은

우리보다 뭐 힘도 세고 머리도 빨리 돌아가고 할 텐데

그거 쳐다보고 우리가 경쟁하면 어떻게 살겠어요?

 

그건 그대로 그 기능에 맞게 살고

난 나대로 내 기능에 맞게 살아야지.

 

그러니까 그건 비관할 일도 아니고

그냥 지금 그런 문제로 죽고 싶다하면 그건 정신 질환이에요.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고

그다음에 그 수준에 맞게끔 인생설계를 해야 된다.

이 장애등급을 받으면 정부의 보조금을 받고

그다음에 이 등급에서 자립할 수 있는 게 있냐?

그러면 간단한 아르바이트 같은 거

육체노동은 할 수 있다든지 뭐는 할 수 있다든지 하면

거기에서 자기 수입을 얼마 얻고

그다음에 장애 등급으로 해서 지원금 얼마 받고

그게 따라서 인생 설계를 해야 된다.

 

돈이 제일 많아서 행복하다

그러면 우리나라 재벌이 식물인간 되어서 몇 년 있었는데 그게 행복하냐

대통령이 되어 행복하다

그럼 대통령 되어서 감옥 가서 살고 있는데 그게 행복하냐?

자꾸 그런 허황한 생각을 하지 마라.

 

그러니까 그에 맞게끔 설계를 하고 살아가면

아이는 아이대로 거기에 맞게 살아갈 수 있고

부모는 부모대로 그런 아이를 둔 부모도 자기 인생을 여유롭게 살아갈 수가 있는데

자기가 그걸 욕심을 내면, 허황한 생각을 하게 되면

자기도 불행하고 아이들도 불행해지고

아이들도 결국은 적응 못하면 자살하거나

이렇게 할 수밖에 없다는 거예요.

 

처음에 얘기했잖아요.

왜 자꾸 내 생각대로 하려고 그래요.

주어진 조건에 맞게끔

도움이 필요하면 도와주고

때가 돼서 죽으면 받아들여서 장례 치러 주고

이렇게 해야 안 돼요? 인생이 결국은.

달리 방법이 없잖아요.

 

비가 안 오는데 비 오라고 그러고

비 오는 거 오지 마라 그러고.

 

그 옛날에 그 비 오고 안 오고를

우리나라에서는 용이 한다, 하나님이 한다

이러니까 그런 일이 있지

지금 우리가 다 밝혀진 걸로 그게 무슨 오라 그런다고 오고

오지 말라고 그런다고 안 오는 거 아니잖아요.

 

우리는 올 때가 됐는지, 왜 안 오는지 이유를 알아서

안 올 거에 대비해서 댐을 만들고 지하수를 파고

올 거야 대비해서 댐을 만들고 둑을 쌓고

이렇게 해서 우리가 적응해 나가는 거 아니겠어요.

비야, 올테면 와라이렇게 우리가 살아가잖아요.

 

그런 관점으로

어떤 아이가 좋은 아이고

어떤 피부 빛깔이 좋다

남자가 좋다

이게 다 차별 아닙니까?

 

그러니까 내 아이는

이 상태로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다.

그에 맞게끔 아이의 인생 설계를 해나가면 된다.

 

전문가 의사하고 의논하면 되죠.

이런 지능과 이런 건강, 이런 심리 상태에서는 어떻게 설계를 하면 좋겠냐?

여기 자꾸 욕심이 개입되면 안 된다는 거예요.

 

...

 

지능이라는 것은 자꾸 연습을 하면

지능지수가 안 높아져도

예를 들면 지능이 낮아도

우리가 예를 들어서

고양이도 계속 훈련을 시키면 똥오줌 가리고 이렇게 되지 않습니까?

돌고래도 계속 훈련을 시키고

코끼리도 훈련을 시키면 곡예단에서 다 하지 않습니까. 그죠?

사람도 계속 어떤 훈련을 시키면 지능이 좋아지는 게 아니고

지능이 낮아도 그거를 반복해서 훈련하면

거기에 익숙해져서 일정한 역할을 할 수가 있다

이렇게 말할 수가 있단 말이에요.

 

예를 들어서 그런 지능을 가져도

이런 시골에 내려와서 소를 키운다, 축산업을 한다

그러면 요즘 다 시설을 해 놓으면 시간 맞춰서 사료 주고

시간 맞춰서 뭐 정리하고

이런 거는 지능이 그렇게 안 높아도 얼마든지 할 수 있고

이렇게 살아도 얼마든지 인생을 살 수가 있는 길이 있는 거예요.

 

근데 그 자꾸 공부해서 시험을 쳐서 공원 되고 뭐 되고

이런 거를 자꾸 생각하기에는

이 지능 갖고는 안 되는 거예요.

그러면 좌절이 되니까 뭐예요?

사람이 이게 뭘 하려는데 뜻대로 안 되면 술을 먹고 화를 내고 이러잖아요.

그러면 노름하고 게임하고 이렇게 될 수밖에 없는 거예요.

 

그거는 분위기가

그 아이가 할 수 없는 걸 자꾸 하라고 하니까

그게 안 되니까 저항감이 생기고, 탈출구가 필요하고.

그럼 게임을 하게 되고

게임이라는 건 노름이 되면 중독성이 있으니까 습관성이 생기니까

지금 그렇게 되어 있는 거란 말이에요.

지금 좀 놔놔도 괜찮아요.

뭐 게임 좀 하면 어때요? 자살하는 것보다 낫잖아요.

그거라도 돌파구가 있으니까.

 

그래서 여러분들 가끔 남편들이 사업 망하고 뭐하고 술 먹으면

놔둬라 그러잖아요.

제 뜻대로 안 돼서 울화통이 터졌는데

마누라하고 얘기해 봐야 이해도 못하고 하니까

술 먹고 그거라도 풀어야 할 거 아니에요.

 

그러면 그걸 그렇게 안 하게 하려면

그 건강을 해치고 안 하게 하려면 다른 대안을 마련해 줘야죠.

다른, 자기 할 수 있는 것, 재미를 붙일 수 있는 것.

전문가하고 위논해서 해야 돼요.

이게 중독성이 심하면 치료를 받아야 하고

전문가의 치료를 받아야 하고

그러나 다른 대안을 안내해 주면 그걸 계속할 수밖에 없다는 거예요.

그만두는 거는 죽을 때 그만두는 거니까.

 

그러면 이제 다른 대안을 전문가하고 의논해서

여행을 간다든지 다른 대안을 마련해서

그걸 안 하고도 좀 재미를 붙이고 살 수 있는 길을 열든지

아니면 그거라도 하고 살 수 있도록 놔두든지.

 

그냥 가만히 있는 보다는

그거라도 하고 재매 붙이고 있는 게 더 좋잖아요.

나중에 죽어봐요.

그거라도 하고 있는게 낫다, 자기 평가가 되지.

 

자꾸 욕심을 내니까

저거 안 하고 이거했으면 좋겠다

자꾸 이렇게 하니까 그게 불만이지

 

죽은 뒤에 생각해 봐요.

자살하거나 하면

게임이라도 하고 있는 게 낫다이렇게 되지.

 

그래서 인간의 모든 행동은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어서 그렇게 행동을 합니다.

옆에 사람이 볼 때는 말도 안 되는 얘기 같지만.

 

이 문제는 자기가 이렇게 단정적으로 어떤 걸 정해서

이래야 된다, 저래야 된다

이런 걸 딱 놔 버리고

살아 있어서 고맙다, 이거 안 죽고 사는 것만 해도 큰일이다, 잘했다

이런 관점을 탁 놓고

그러나 이왕이 사는데 조금 더 나은 길은 없을까?

그래서 병원에 가서 의사하고도 상담해보고 이런 전문가 하고도 상담해보고

이런 길을 열어 주는 게 좋다

그러면 자기도 괴롭지 않고 애들도 좋지.

 

...

 

우리 학교 다녀보면

초등학교까지 졸업할 때까지도 한글을 잘 못 읽고 이런 사람도 있거든요, 아이들도.

우리는 장애에 대한 어떤 그런 전문적인 이런 연구나 대안이

옛날에 부족했기 때문에

그냥 공부 못하는 애, 문제아, 이렇게만 해왔지

그것이 어디에 어떤 문제가 있어서 저렇게 학습이 부진한가

이런 걸 연구를 잘 안 한 거예요.

 

그러니까 모든 학과마다 다 그런 부진아가 있을 수밖에 없고

그것이 그냥 노력이 부족해서 그렇다이렇게만 평가했지

그 아이 입장에서는 그렇게 그 이상 될 수가 없는 걸 어떻게 해요.

 

우리가 아까 모르는 아이에 대응을 안 한다는 거예요.

교육이 모르는 아이를 알도록 하는 것이 교육이다.

이런 관점에서 하면

그럼 그런 아이는 2명을 편성해서 선생이 한 명 붙으면 조금 더 도움이 되겠죠.

 

근데 그거를 30명이나 50명 반에 넣어서

그냥 잘하는 아이 중심으로 끌고 가니까

그 아이는 계속 터지고

1학년 때 못 배우니까 2학년되면 더 공부가 안 되고

3학년 되면 더 못 따라가고

5학년 되면 더 못 따라가고

중학교 가면 더 모르고

그러니까 공부 포기하고

그리고 학교 가면 재미가 없고

그러니까 딴짓할 수밖에 없는 거거든요.

이거를 사회가 그냥 팽개쳤다 이렇게 말할 수 있죠.

 

근데 이제 사회가 점점 발전하니까

이제 이런 사람도 팽개쳐 주는 데서 어떤 관심을 가지고

그에 맞게끔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금 장애자 시설이나 지체부자유아도

거기에 맞게끔 교육시설이 이루어지고 있잖아요.

그러면 지금 말씀하신 대로

그 정상과 장애 사이에 경계성이 있는 아이들은

거기에 맞는 교육 시스템, 훈련 시스템이 나와야 하는데

우리 사회는 딱 양분화해서

장애자하면 거기에 맞는 개발이 되어 있어요.

그다음에 정상인 케이스, 이건 정상에는 못 따라가고

그렇다고 지적장애인에 넣기에는 해당이 안 되는

이런 모든 세상에는 다 경계가 있는 거예요.

 

사람도 남자 여자만 있다, 이러지만 안 그래요.

남자도 아니고 여자도 아닌 사람도 있고

남자이기도 하고 여자인 사람도 있어요. 소수라서 그렇지.

또 성애는 이성애만 있다 이렇게 생각하는데

그게 다수지 동성애도 있고, 양성애도 있고, 무성애도 있고

이런 경계 지점이 있는 사람은 늘 사회로부터 소외된다.

문제아 취급을 받게 되고.

심지어는 무슨 하나님의 징벌이라 그러거나, 더럽다 그러거나

이렇게 취급을 받게 되는 건데

이제 점점 우리가 세상에 대해서 밝아지면

그것도 소수일 뿐이지 사람의 한 특성이란 말이에요.

 

지진아가 아니라 그냥 하나의 사람의 한 특성에 속한다

그럼 그에 맞게끔 교육 시스템이 갖춰지거나

그에 맞는 직업 시스템이 갖춰지면 좋죠.

 

그러니까 첫째는 내 아이를 위해서

먼저 내가, 내 아이가 거기에 맞게끔 인생을 살 수 있도록 설계하는 일을 먼저 하고

그러나 이게 부모 혼자 힘으로 하기에는 너무 힘드니까

사회적인 좀 제도적인 관심을 갖고 하도록 하는 운동을 하면 되죠.

 

오늘날 장애인 복지가 이 정도 된 것도

장애인들의 이런 어떤 뭐랄까?

장애를 가진 부모들의 요구가 있어서 이만큼이라도 이루어진 거 아니에요.

 

그러니까 뭐 데모도 하고 선거할 때 모여서 항의도 하고

여러 노력을 해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이것도 누군가가 나서고

그런 자녀를 가진 부모들이 연대를 하고 해서

다 사회책임이다그렇게 하라는 게 아니라

사회적 관심을 유발시키고

의회에다가 얘기해서

이런 경계 지점에 있는 사람에 맞는 교육, 직업.

이런 것들을 사회적 지원

이런 것들을 이끌어 내는 운동을 하면

자기가 아들 덕택에 사회 운동가가 될 수도 있죠.

 

근데 부모들은 다 또 자기 먹고 살기가 힘드니까

이런 거 하기가 어렵죠.

 

어쨌든 그런 관심을 가지고

오늘 말씀했지만

우리들 속에도 동성애자도 있을 수 있고,

이런 경계점 있는 애들도 있을 수 있고

자기 화를 자기가 이 감정을 못 다스리는 그런 사람도 있고.

 

옛날엔 다 성질더럽다이렇게 말했지

애가 문제다이렇게 말했지

다 어쩔 수 없는 그런 걸 가지고 있는 것을

우리가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고

아니면 그에 맞게끔 환경을 만들어내고

이게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자기가 우선 자기 자녀로 시작해서 먼저 해보고

그다음에 이것에 대한 사회적 운동을 하는 것은 저는 적극적으로 찬성합니다.

내 아이만이 아니라 이런 모든 아이를 위해서

우리가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