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홍식/윤홍식_3분인문학(2018)

[3분 인문학] 종교의 형성과정_홍익학당.윤홍식

Buddhastudy 2019. 5. 13. 20:48


뭐라고 했는지 보다 전체적 그림을 보는 거예요, 지금 누구를 설명하고 있는지.

인도인들이 어떤 분을 모시고 있는지 보는 거예요.

기독교에서 어떤 분을 모시고 있는지 보는 거예요.

그래서 같은지 다른지를 비교해 보는 거예요, 저는.

그런 식으로 저는 공부합니다. ?

 

이름이라는 건 믿을 게 없어요.

여러분 학문적으로 조금만 논문 뒤지시면요, 정말 부질없는 게 이름입니다.

그런데 그 사람들은 거기에 집착해요, 이름에.

 

그런데 재미있는 건 모든 경전에

하나님은 이름으로 헤아릴 수 없다이런 말이 꼭 들어있어요.

그런데 이름에 그렇게 집착해요.

 

이슬람한테 알라 버리라고 그러면 난리 날 겁니다.

그러면서 이슬람에서 하나님은 이름으로 이렇게 헤아릴 수 있는 분이 아니다.”

하나님 실체는 시공을 초월한, 우리가 사는 4차원 시공간의 뿌리에요.

이 시공간을 넘어선 존재에요.

 

그 존재를 우리가 이름붙여 놓고 우리끼리 싸우고 있다는 건 얼마나 허망한 짓거리입니까?

그 이름 하나하나가 다 역사성이 있어요.

어느 지역에서 돌던 이름이 유행 타가지고, 번지면서 그 이름이 모든 신을 대표해버려요.

 

그런 식으로 계속 신이 교체되는 게요, 실제 하느님이 교체되는 게 아니라, 하느님에 대해서 인간들이 이 이름으로 부르기로 하다가, 새로운 더 뜨는 이름이 등장하면요, 그 이름 또 치고 올라가서 그 이름을 먹어버립니다.

아니면 새로 등장한 이름하고 기존 이름을 합쳐서 삼위일체 식으로, 아니면 부자관계식으로 만들어버려요.

 

북유럽 가면 오딘이 하느님이에요. 토르도 하느님이에요.

영화 토르있죠? 번개치는 양반이 하느님에요, 원래.

토르도 번개 치죠? 그 양반 하느님에요, 원래.

오딘도 하느님에요. 둘이 합쳐 버려요. 부자관계해서.

 

이런 식으로 묶어버려요. 각자 지역에서 하느님을 상징하던 이름들이에요. 합쳐버려요.

전 세계에서 이 짓이 일어납니다.

그러니까 어느 이름 가지고 싸우신다는 건 말이 안 되고, 이름을 물으면 안 돼요.

어차피 이름은 그 지역에서 불리는 이름이 따로 있기 때문에.

 

정확이 우리가 같은 대상을 지향하는지만 확인하면 되는 거죠.

정확히 네 신은 어떤 존재야?” 라고 물어야 되요.

뭐하시는 분이야? 영이야? 인간이야?” 일단.

영이야? 인격이야?” “인격이 있어? 없어?” 그럼 인격신이 되는 거예요.

인격신이야? 비인격신이야?”

그리고 어디 계시면서 인류를 어떻게 다스리셔?”

 

이런 걸 추적하면요, 예수님과 아미타불이 이름은 다른데, 그런데 심지어 이름마저도 빛이에요. .

그래서 유사점이 너무 많죠. 그리고 스토리 자체가 아미타불은 중생 중에 제일 꼭대기이고 극락을 만드셨어요.

 

자기가 원을 세우셔서 극락을 만들고, 모든 중생들을 극락에 가게 도와주고, 자기 이름만 불러도 극락에 가게 이끌어 주는 분이에요.

요한복음에 보면 예수님이 내가 너희들 갈 처소를 마련하겠다. 천국을 제대로 정비하겠다.”

천국이 그전에 없지는 않았겠지만,

천국을 제대로 정비하겠다. 그리고 사도행전에 주의 이름만 불러도 구원받으리라.” 바울이 이런 말을 하죠.

 

이런 사상들이 아미타 신앙에 저는 영향을 줬다고 봅니다.

? 아미타 신앙이 좀 더 뒤에 나왔어요.

우리가 아는 바로는 1, 2세기 때 나와요.

 

그리고 어디서 나오느냐?

인도랑 이란 접경 지역, 거기가 예전에 쿠샨왕조라고 간다라 지방 있죠? 간다라 미술.

그리스 문화랑 인도 문화가 만나던 지역이에요.

세계 모든 철학이 들어와 있어요, 거기에. 조로아스터교니 뭐 다.

 

그래서 현재 아미타 신앙은 학술적으로 조로아스터교 영향이라고 봅니다.

조로아스터교가 제일 오래됐어요.

조로아스터교가 유대교에도 영향을 주고, 기독교에도 영향을 주고, 불교에도 영향을 줬다고 보는 종교에요.

 

빛이에요. 거기도. 하나님은 빛이에요. 빛이 선신이고 악신이 있어서,

선악의 대결이 나중에 지상 최후의 심판이 있다.’ 이게 유대 신앙이에요.

 

유대인이요, 그전부터 그렇게 큰 심판관을 갖고 있지 않았는데,

현재 학술적으로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으로 유대인들이 최후의 심판, 부활 이런 데 집중하게 됐다라고 봐요.

선악의 대결, 아마게돈이 올 거다.’ 이런 식의 생각이요,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으로 봅니다.

 

유대인들도 처음에는 그렇지 않았어요.

그런데 바빌론에 한 번 잡혀갔다 올 때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을 확 받아요.

그 지역 문화를 배우는 거예요.

그래서 구약들이 정립됩니다.

그 과정에서 다른 신앙이 들어가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