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하듯이 그렇게 하면 되요. 제사는 제사대로 자긴 지내고, 어머니 기도하자면 같이 옆에서 좀 해드리고. 그러면 되요. 왜? 두 개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된다고 생각하세요? 그건 제사대로 지내고, 어머니 기도하실 때 같이 기도해드리면 되지. 네네. 자기가 몇 살이에요? 스무 살 넘었죠? 스무 살 넘었으면 부모한테 더 이상 의지해도 안 되고, 부모의 억압을 받아도 안 돼요. 성인이기 때문에. 스무 살 넘으면 뭐라고? 성인이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으면 다 빚이에요. 그거는.
스무 살 밑에는 부모의 책임이고, 여러분들 스무 살 밑에서 부모한테 도움을 받은 건 고맙지만 빚은 아니에요. 갚아야 될 일은 아니다. 그건 부모의 뭐라고? 책임이기 때문에. 대신에 스무 살 밑에서는 여러분들이 나름대로 주장을 하지만, 자기의 주장이 최종결정권자는 아니에요. 최종 결정권자가 누구다? 부모에요. 그래서 여러분들은 뭐란다? 미성년이라 그래요. 사람의 모양을 했지만 아직 사람 권리는 다 가질 수가 없다. 그래서 경제적으로도 보살핌을 받아야 되고 권리도 유보가 되는 거요.
스무 살이 넘으면 어떠냐? 성년이에요. 성년이면 생존권도 자기가 독립해야 되고, 권리도 마음껏 가질 수도 있어요. 그런데 여러분들이 지금 문제는 생존권은 독립 안하고 의지하고, 권리는 행사할라 그러고, 그래서 지금 부모와 자식 간에 갈등이 생기는 거요. 그래서 빨리 독립을 하고, 독립을 못할 때는 스폰서에요. 부모가 아니고 뭐라고 이제? 스폰서. 스폰서를 가지고 있는데 그럼 스폰서한테는 좀 잘 보여야 되요? 안보여야 되요? 잘 보여야 되지. 그러기 때문에 어느 정도 말을 들어야 되요. 부모기 때문에 듣는 게 아니고 뭐기 때문에? 스폰서기 때문에 들어야 되요. 후원자이기 때문에 들어야 되요.
그런데 자기 지금 재정적으로 아직 의지하고 있어요? 독립했어요? 독립했어요? 그러면 어머니 말 안 들어도 되요. 아무 죄가 안 돼요. 자기가 선택해서 그냥 어머니를 비위맞춰주려고 하는 거는 괜찮은데, 윤리 도덕적으로는 어머니 신앙은 어머니 신앙이고, 내 신앙은 내 신앙이오. 그러니까 어머니로부터 어떤 것도 강요받을 필요도 없고, 내가 어머니에게 강요할 필요도 없다. “어머니 제사 지내세요.” 라고 강요할 필요도 없고, 내가 어머니로부터 신앙을 강요받을 필요도 없다. 그러니까 어머니와 함께 어머니의 신앙을 존중해서 어머니와 함께 해주지만은 어머니의 신앙을 내가 강요받을 필요는 없다. 이런 얘기요.
“믿느냐?” 하면 “안 믿어집니다.” 이러면 되요. 안 믿겠다하고 안 믿어지는 거하곤 성격이 다르잖아. 제 말 이해하셨어요? 그러면 안 믿어지는 걸 억지로 믿을 필요가 있어요? 없어요? 없어요. 저는 어머니 아직 안 믿어집니다. 이렇게 얘기하면 되요. 으흠. 그리고 “저는 어머니 장남으로서 우리 가문의 전통문화는 계승해 나갈 겁니다.” 그건 신앙하고 아무 관계없어요. 이건 문화이기 때문에. 어머니가 착각하는 거지. 한복을 입는 거 이게 문화이듯이. 그냥 “나는 이 전통 문화를 지켜나갈 겁니다.” 이렇게 얘기하면 되요. 그럼 부모자식이라도 그런 문제를 갖고 서로 억압하거나 억압당할 아무런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어떻게 하라? 제사도 지내고, 자기가 믿음이 없으면 교회든 절이든 안 나가도 되고, 절에 나가고 싶으면 가도 되고, 절에도 가고 교회도 가고 싶으면 절에도 가고 교회도 가도 되요. 아무 문제가 없어요. 성경도 읽고 싶으면 읽고 불경도 읽고 싶으면 읽고. 아무 관계가 없어요. 왜? 우리는 자유로운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에. 헌법에 딱 보장이 되어있어요. 믿음, 신앙, 종교, 사상, 이념은 개인의 자유다. 이건 누구도 침해할 수 없다. 헌법에 정해져있어. 이런 논쟁을 피하기 위해서. 그러니까 자기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성년으로, 성년남자로서 거기에 대한 아무런 위축 받을 이유가 없다. 이거야.
그래서 어머니가 힘들어하면 어머니를 위해서 함께 기도해드리면 되고. 내가 안 믿어지는 건 “안 믿어집니다.”라고 말하면 되고, 그다음에 제사는 지내면 되고. 그러다가 믿어지면 믿으면 되고. “그럼 믿으면 제사 그만둬야 됩니까?” 어. 그건 조금 성경을 깊이 보면 그건 별 상관이 없어요.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은 문화지. 그러니까 우리가 하는 것은 제사를 지내는 것은 문화에요. 문화. 그건 무슨 귀신을 숭배하는 게 아니라 하나의 전통문화다. 이런 얘기요. 그래서 그런 관점에서 조금 더 자유로웠으면 좋겠다. 싶네요. 해소가 됐어요? 안됐어요?
자기 이제 어떻게 할 건데? 그러면? 그래. 제사도 지내고 기도도하고 어머니가 교회 데려다 달라하면 데려다주고, 같이 좀 듣자하면 앉아 듣기도 하고, 아시겠어요? 그래도 어머니가 “믿니?” 하면 “안 믿어집니다.” 이러면 돼. 거짓말할 이유가 하나도 없잖아. 뭣 때문에 가식을 해서 얘기할 필요가 있어? 그러니까 “전 안 믿겠습니다. 저는 싫습니다.” 이렇게 얘기하지 말고 “안 믿어집니다.” 그게 가장 정확한 표현 아니오. 그죠? 안 믿어지니까 안 믿어집니다. 이러면 되요. 사상에 자유를 누리세요.
'법륜스님 > 즉문즉설(20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즉문즉설] 제971회 남과 나를 비교하는 마음 (0) | 2014.09.04 |
---|---|
[즉문즉설] 제970회 앞으로의 한국 농업, 성장산업이 될 수 있다. (0) | 2014.09.03 |
[즉문즉설] 제968회 돈이란 얼만큼 중요한가요 (0) | 2014.08.27 |
[즉문즉설] 제967회 혼수 문제로 예비 신부와 갈등 (0) | 2014.08.26 |
[즉문즉설] 제966회 한국 교육과 문화가 싫어요 (0) | 201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