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덕마음공부, DanyeSophia

[현덕마음공부] 깨달음은 수레처럼 수행은 연금술처럼

Buddhastudy 2024. 3. 25. 20:07

 

 

불교는 지혜의 가르침이다.

그것에는 깨달음과 수행이 함께 한다.

붓다는 자신의 설법이 어렵지 않다고 역설했다.

그는 수레와 연금술을 깨달음과 수행을 설명할 때 활용했다.

그런데 이 기술 혹은 문문은 고대 제국의 기틀을 닦은 신문물 혹은 혁신이었다.

시대의 혁신과 시대정신, 종교적 깨달음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수레는 연기법의 조건생 조건멸을 그대로 보여준다.

연금술은 불순물을 제거한 황금이

다시는 잡석으로 돌아가지 않는 불퇴전을 확신하게 하다.

그는 외쳤다.

누구든지 와서 보고 깨달아 이익을 취하라.

깨달음과 수행이라는 말이 무겁게 느껴진다면

수레와 연금술을 생각해 보면 좋겠다.

더 잘 이해되고 실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은 깨달음은 수레처럼, 수행은 연금술처럼이라는 제목으로

여러분들과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붓다는 인간의 괴로움,

현대적인 말로 표현하면 스트레스에 대한 해결을

근본적인 자기 철학의 주제로 삼지 않았습니까?

그래서 여기는 단순히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없고

근본적으로 깨달아야 한다라고 하는 문제의식에 이르렀죠.

 

그런데 우리가 생각할 때

진공상태에서 무슨 사상이 태어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붓다는 붓다시대의 시대정신과 그 깨달음이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라고

생각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시대의 시대정신이라고 하는 것은

그 시대가 이룩한 물질문명의 기초가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생각할 수가 있죠.

 

그래서 BC 6세기 축의 시대에

두 가지 가장 혁신적인 발명품은 두 개인데

-하나는 수레고

-하나는 천도씨 이상의 고열을 가지고 만들어낼 수 있었던 철과 황금

이런 야금술, 연금술이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즉 수레의 발명과 연금술이라고 하는 것이

고대 제국을 만들어낼 수 있었던 문화적, 문명적 기초였다.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고

이것은 오늘날에 비교해 보면

무슨 양자역학이나 컴퓨터나 등등

굉장한 어떤 과학적 발명이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붓다는 처음부터 끝까지

자기의 철학, 자기의 사상, 자기의 종교적 가르침을

난해하고, 어렵고, 아무나 접근하기 어려운

형이상학이라고 불리어지는 것을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나의 도는 어렵지 않다.

누구든지 건강한 판단력만 있으면

와서 보고 듣고 이익을 취할 수 있다

이렇게 역설을 했죠.

 

그것은 붓다의 평생의 가르침이라고 하는, 설법이라고 하는 것이

공허한 형이상학이 아니고

사실에 기초한 경험주의적 특성이 아주 강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붓다가 자신의 설법을 비유를 들어서 설명할 때에

진리를 설명할 때에

수레와 연금술을 가지고 얘기를 했는데

수레라고 하는 것이 깨달음과 관련이 있고

연금술이라고 하는 것이 수행과 관련이 있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수레와 가장 잘 어울리는 붓다의 가르침은 연기법이죠.

인생연기,

원인으로 인해서 생겨나고

연이 닿으면 이게 나타난다, 드러난다

이런 뜻이 되겠습니다.

 

연기법은 또 다르게 이야기하면

조건생 조건멸이죠.

조건이 만나면 만들어지는 것이고

조건이 흩어지면 멸하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기도 하고요.

 

또 인연생 인연멸

인연이 만나지면은 생겨나는 것이고

인연이 흩어지면은 멸하는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니까 그것이 가지고 오는 결론은 뭐냐 하면

만물에는 독자성이라고 하는 것은 없다.

고유한 독자성이라고 하는 것은 없다.

다 조건의 결합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나타난 현상에 불과하다.

그러니까 무상하다

이렇게 이야기를 한 거 아닙니까?

 

그렇기 때문에 무상이고

또 고유한 독자성이 있을 수 없기 때문에 무아다

이렇게 논리적 귀결이 되는 겁니다.

그것은 모두 연기법을 발견한 데서 왔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수레를 놓고 볼 때는

수레는 바퀴도 있고, 바퀴축도 있고, 손잡이도 있고, 수레에 몸통도 있고

이거 다 부품들이 결합돼야 되는 거 아닙니까?

그래서 눈앞의 수레는

분명히 우리 눈앞에 만져지고, 보이고,

물건을 실을 수 있게 분명히 존재하지만

수레를 통찰해 보면

무수한 부품들로 해체될 수 있기 때문에

수레는 존재하지만 사실상 수레라고 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유와 무의 동시성이 말해줄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이거는 통찰이죠. 통찰.

수레지만

그 수레는 인연의 일시적인 결합에 불과하다 라고 하는

통찰이 되겠습니다.

 

그러면 이걸로 모든 스트레스 모든 번뇌가 끝이 나느냐?

아니죠.

현실적으로 우리가 아무리 정답을 알아도

몸과 마음은 번뇌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거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붓다는 수행도 부정하지는 않았습니다.

후대에 와서 불교가 여러 방식으로 발전할 때에

불교는 지혜의 가르침이기 때문에

수행이 필요 없다라고 하지만

붓다는 수레만 얘기한 게 아니고 연금술도 얘기를 했거든요.

 

이 수행이 퇴보할 수 있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붓다는

아니다. 퇴보하지 않는다고 확신을 주면서 든 비유가

바로 연금술이 되겠습니다.

 

연금술은 기본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화의 방법이지 않습니까?

그래서 10001200도 같은 고열을 통해서

불순물을 정화해 내고

불의 연단을 통해서

불로 달구고, 두드리고 하는 연단을 통해서

쇠가 다듬어지고 황금이 빚어지지 않습니까?

 

그렇게 해서 명상과 고행이라고 하는 수행 과정도

어떻게 보면 잘 순화시켜서 연금술로 쓸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한 것이죠.

 

다만 이 수행은 시간이 걸린다 라고 하는 것이죠.

그래서 사골을 우릴 때에

불순물이 뜨면 걷어내고, 또 걷어내고, 걷어내고

나중에는 완전히 뽀얀, 순수한 진국만 남게 되는데

순수한 국물만 남게 되는데

이처럼 그런 행동, 그런 수행이라고 하는 활동은 효과가 있다.

절대로 허무하게 없어지지 않는다

이렇게 이야기했죠.

 

그렇다면 여기서 불순물이라고 하는 것이

가르침에서는 뭐냐?

그건 당연히 정신적인 불순물이죠.

 

정신적인 불순물은 뭐냐 하면

탐진치가 되겠죠.

우리를 어떻게 보면

번뇌와 악에 빠뜨리는 탐진치라고 하는 정신 또는 마음인데

이 마음이 우리로 하여금 음살도라고 하는

훔치고, 죽이고, 그다음에 음행을 하게 하는 나쁜 행동을

이때 나쁜 행동은 사회적으로 지탄받을 행동이라는 말도 되지만

번뇌를 가져오는, 자유로 이끌어가지 못하는, 속박을 가져오는

이런 뜻이 되겠죠.

 

그래서 이 탐진치라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사실은 명상이나 고행

명상을 위주로 하면 수정주의고

고행을 위주로 하면 고행주의 아니겠습니까?

 

그러니까 이거는

생각을 죽이거나 몸을 죽이는 거지 않습니까?

생각과 몸이 죄를 짓는다고 생각해서.

 

하지만 불교가 지혜의 가르침이기 때문에

그게 아니고

단순히 무식하게, 혹은 의미 없이

명상 삼매에 빠지거나 몸을 괴롭히는 고행을 하는 게 아니라

근본 무명이 무엇인가를 알고

그 근본 무명을 깨친 정견

정견은 뭡니까?

무상, , 무아, 연기법을 깨닫는, 아는 거죠.

그것이 올바른 견해인 거죠. 불교적으로 보면

 

이 정견을 가지고, 정견의 도움을 받아서

탐진치를 부수고

그다음에 현실에서 그 마음이 올라오고 그런 행동을 하려고 할 때마다

이 무상, , 무아, 연기법이 작용을 해서

그것이 정념 아닙니까?

그것을 떠올려라, 그것을 기억해내라.

그래서 즉각 현장에서 그것의 무상, , 무아를 깨달아서

그런 마음과 행동이 해소되어 버리는

이런 밀당을 꾸준히 하다 보면

어느 순간엔가 불순물이 다 제거되고 황금만, 순수한 금만 남는데

이렇게 되면

화학적으로 다시는 불순물이 끼어 있는 그런 잡석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믿어라,

확신을 가질 수 있게 해준 것이

불퇴전에 관한 붓다의 설법이었거든요.

 

그러니까 붓다 설법의 양대 축은

하나는 [깨달음]에 관한 것이고 그것은 [수레]

또 하나는 [수행]에 관한 것인데 그것은 [연금술]이고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둘 다 당대 BC 6세기에

전 세계를 아울렀던, 제국을 형성하는 데 필요로 했던

가장 긴요한 핵심적인 문명적 혁신이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자꾸 붓다는 관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것보다는

현실에서 보고, 듣고, 바로 깨달을 수 있도록

어렵지 않게 설법했다라고 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죠.

 

그 이후의 불교는 좀 더 어렵게 된 경향이 있죠.

엘리트에 의해서

하지만 붓다는 40년간 길거리에서 설법을 하는데

엘리트만 들은 게 아니지 않습니까?

 

그래서 이 두 가지를 예시로 해서

깨달음과 수행을 설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붓다는 확신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신문물을 가만히 관찰해 보니까

이런 속성이 있고

이 속성이 우리의 마음에도 그대로 안식처가 될 수 있겠구나라고 해서

이런 신문물을 가지고 도를 이룰 수 있겠다

이렇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붓다는 항상 언제나

나의 도는 어렵지 않다이렇게

누구든지 와서 보고 이익을 취할 수 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했던 것 같습니다.

 

 

깨달음이니 수행이니 하는 말은

전문적이고 어렵고

이미 많이 오염되어 있는 단어처럼 느껴진다면

[수레]가 주는 [통찰],

그다음에 [연금술]이 주는 [정화]

이 두 가지만 생각을 품고 있어도

마음의 번뇌를, 스트레스를 다스려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