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13)

[즉문즉설] 제252회 속이는 사람을 대하는 마음

Buddhastudy 2013. 1. 21. 04:14

출처 YouTube

  

. 그런데 내가 다른 사람에게 뭘 좀 속이고 싶다. 한마디로 말하면 크든 작든 사기를 좀 치고 싶다. 이럴 때 내가 무뚝뚝하면 딴 사람이 믿어 주겠어요? 안 믿어주겠어요? 안 믿어 주겠지. 내가 옷을 허름하게 입고 있으면 믿어 줄까? 인물이 아주 못생겼다. 믿어 줄까? 학벌이 형편없다. 믿어 줄까? 아주 말투가 사납다. 화를 퍽퍽 잘 낸다. 그럼 안 믿어주겠지? 믿어 줄려면 첫째 얼굴이 매끈하게 생겨야 되고, 말씨가 아주 부드러워야 되고, 성격이 아주 상냥해야 되고, 서비스가 아주 좋아야 돼. 그러면 우리 다 그런 사람 좋아해요? 안 좋아해요? 좋아하지.

 

그 좋아하는 속에 우리가 믿음이 좀 과해진다. 이 말이오. 돈을 빌려 달라해도 빌려주고, 뭘 해 달라 해도 해주고 이러잖아요. 그러기 때문에. 엄격하게 말하면 사기를 당했다는 거는 없습니다. 배신을 당했다는 것도 없고. 그건 다 원인이 어디 있다? 나한테 있어요. 여러분들이 무뚝뚝한 사람을 좋아하고, 화를 팍팍 잘 내고 성격이 파르르 한 사람을 좋아하고. 그러면 절대로 사기당할 일이 없습니다. ~ 말이 입에 자르르하고, 얼굴이 매끄레하고, 옷도 잘 입고. 이래요.

 

그래서 항상 여러분들이 사기 치는 사람들은 첫째 인물이 괜찮아야 되요. 알았습니까? 옷을 잘 입어야 되고. 사무실에 가 보면 가짜 사무실이지만 잘 꾸며놨어요? 안 꾸며놨어요? 잘 꾸며 놨지. 항상 빌딩 좋은데 사무실 빌려가지고 그다음에 사장자리를 항상 삐까번쩍하게 크게 만들고 사람들 오면 탁~ 인사 잘 하도록 하고. 양복 탁 입고 이렇게 하는 거요. 그러니까 우리가 그걸 좋아하기 때문에 사기가 된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물고기를 잡을 때 장어를 잡으려면 무슨 미끼를 쓰고, 뭘 잡으려면 무슨 미끼를 쓰고 이런 게 있어요? 없어요? 있지. ? 그 미끼를? 그 미끼를 그 물고기가 좋아하기 때문에 그래요. 산에 짐승을 잡을 때도 마찬가지에요. 그러니까 지금 우리는 사람이 돈을 좋아하면 어때요? 뇌물이 통하는 거요. 돈 안 좋아하면 뇌물이 통해요? 안통해요? 안통하지. 여자를 좋아하면 미인계가 통하지. 황금보기를 돌같이 보라하는 사람한테 뇌물 통하겠어? 안 통하겠어? 안 통하겠지.

 

그러니까 사기 당했다는 생각은 버리세요. 그런 건 없다. 그 사람이 나한테 친절하고 나한테 잘 하기 때문에 그 사람에게는 또 그런 이면이 있는 거요. 그러니까 나한테 잘하는 거 딱 보고 나한테 잘하는 놈은 사기꾼이다. 이렇게 내가 딱 가지고 있으면 속을 이유가 하나도 없죠. 오히려 나한테 화내고 성질내고 성격 더러운 놈. ~ 저건 믿을 만한 놈이다. 이렇게 내가 딱 믿을 수만 있으면 아무 문제가 없죠.

 

그런데 우리는 다 이렇게 미끼에 늘 걸려 간다는 거요. 미끼에. 늘 미끼에 걸려가는 거요. 그러니까 여러분들이 가까이 지나치게 친절하면 오히려 유의를 해야 되요. 달콤한 것이 뭐다? 그게 건강에 해롭고 입에 쓴 것이 몸에 좋다. 이런 말도 있잖아. 그죠? 그러니까 내 앞에서 잘 했기 때문에 생긴 문제요. 그럼 그 사람이 나쁘냐? 그렇지 않습니다. 그럼 그 사람이 친절했으면 친절한 이익이 있어야 될 거 아니오. 상식적으로 한 번 생각해 봐요. 안 그래요?

 

그 사람은 어떤 목표가 있으니까 그렇게 친절할 거 아니요. 그런데 화를 잘 내고 이런 사람은 거기에 대해서 특별히 자기 목표가 없기 때문에. 그 유의를 안 한다 이 말이오. 내가 어떤 여자 분을 참 좋아가지고 그 여자 분의 환심을 사고자 하면 내가 좀 친절해집니까? 안 친절해 집니까? 친절해 지고. 없는 돈에 선물도 사 보내고. 없는 돈에 화장도 해 가고 이렇게 되잖아요. 그거 다 잘 보이려고 하는 거요. 그것이 다 사기죠. 엄격하게 말하면. 여러분들이 선보러 나갈 때 다 사기 치러 나가는 거 아니오.

 

키가 작은 게 굽을 높여서 신고 나가는 것도 사기지. 화장해 가는 것도 사기지. 옷을 잘 입고 나가는 것도 사기지. 없는 돈에 돈 빌려가지고 호텔가서 척~ 한턱내는 것도 엄격하게 말하면 사기요. 그러니까 사기라 그러면 사기 아닌 게 없어요. 부부생활도 다 엄격하게 보면 사기요. 이게. 다 이렇게 남편 눈치 싹 봐가지고 지금 얘기하면 이게 될까? 안될까? 이런 것도 다 눈치 보는 게 남편을 위해서 눈치 봐요? 내 이익 챙기려고 눈치 봐요? 내 이익 챙기려고 눈치 보는 거요.

 

그러니까 그거 나쁘게 생각 할 필요가 하등 없다. 그래서 앞으로 사회 나갈 때 사기를 당한다. 사기를 당할까 염려한다. 이런 생각 할 필요가 없어. 내가 한 번 중국에 가서 사기를 당한 적이 있었어요. 십몇 년 전에. 그러니까 92년인가 하니까. 벌써 17년이나 됐네. 그죠? 제일 처음에 내가 중국 갔을 때요. 그때 고정 환율이 1:5였어요. 달러대 중국 돈이. 그런데 뒷거래 하는 암달러상에는 1:10이었어요? 2배죠. 그럼 사람이 다 밖에 가서 바꾸려고 해요? 안 해요? 하죠. 은행에서 안 바꾸고 길거리에서 바꾼단 말이오.

 

그러니까 그렇게 차이가 나면 거기에 사기가 속임수가 있겠어요? 없겠어요? 있죠. 그러니까 거기에 수많은 속임수들이 있는 거요. 그 속임수를 내가 가면서 다 설명을 들었어. 이럴 때는 이런 속임수 있고, 저럴 때는 저런 속임수 있고. 절대 바꾸지 마세요. 스님. 바꾸면 안 됩니다. 그래서 그건 내가 아는 유학생한테 시켜 니가 바꿔어 놔라. 500받을 거 없잖아. 1000받지. 그래서 바꿔 달라 해서 했는데. 누가 암달러상이 아무리 덤벼도 내가 안 바꿨어요.

 

그런데 제가 만리장성 갔는데 어떤 물건을 하나 사려는데 스님은 어디가 봐야 눈에 보이는 게 뭐 밖에 없어요? 불상 아니면 염주 밖에 없잖아요. 그죠? 어떤 물건을 하나 사려는데. 내 호주머니에 든 돈이. 그러니까 이게 부족한 거요. 달러를 주게 되면 1:500밖에 안주니까 손실이 크잖아 그죠? 그러면 인민표를 줘야 싸게 산단 말이오. 돈이 없어 그걸 못 샀어. 이게 씨앗이 되는 거요. 돈이 좀 부족하다. 이게 씨앗이 된 거요. 그 문제만 없었으면 생각을 안했는데.

 

그런데 명십삼명에 도착했는데. 택시에 타고 내리지를 않았는데 딱 돈을 천원을 쥐고 창문 안으로 탁 넣으면서 1050원 준다는 거요. 100달러에. 그러니까 1:1000인데 얼마를 또 더 준다? 50을 더 주는 거요. 그런데 돈을 창문을 턱 집어넣어서 세어보라는 거요. 그러니까 속을 염려가 있나? 없나? 보통은 탁탁탁탁 세서 탁 주는데 받으면 나중에 가운데를 접어가지고 이렇게 딱 해서 속는다는 거요.

 

그러니까 이건 딱 돈을 그냥 주는 거요. 딱 받아보니까. 다 한장 한장 다 봐도 아무 이상이 없는 거요. 난 차안에 있고. 100달러 주면 되잖아. 그죠? 그리고 나오면 되니까. 속을 아무런 이유가 없잖아. 아까 돈 모자란 그게 있으니까. 그거 뭐 돈을 현금을 먼저 준거요. 내가 달러를 먼저 주면 날치기 당할 수도 있는데 딱 주면서 바꾸자는 거요. 그래서 내가 딱 빼서 줬어요. 그런데 어떤 일이 벌어졌냐?

 

도로 나한테 돈을 빼줬는데 도로 나한테 주면서 왜 10불짜리를 주느냐는 거요? 딱 보니 돈이 10불짜리라. 그래서 내가 꺼낼 때 잘못 꺼낸 줄 알고. ~ 이상하다. 금방 100불 분명히 100불 준거 같은데. 이랬는데, 옆에 탄 사람이 뭐라 그러냐? “하이고 스님. 창피하게 돈을 좀 보고 드리죠. 그걸 그냥 드리면 어떻게 하냐?” 또 옆에 훈수까지 들어서. 이상한데? 생각을 안 해보고. 그냥 바꿔서 딱 넘겨주고 돈을 받자마자 그때 아차 속았다.’ 싶은 거요.

 

그러니까 100불을 주자마자 그 자리에서 바로 호주머니 넣지도 않고 그 자리에서 받자마자 나한테 10불을 바로 주면서 왜 10불짜리 주냐? 하냐니까. 나로서는 순간적으로 속은 거죠. ~ 얼마나. 돈도 아깝지만은 속았다는 사실이 속이 쓰린 거요. 속았다는 사실이. 그런데 마음을 다시 생각해 보니까. 두 가지 생각이 들었어요. 하나는 야~ 역시 속을 때는 욕심이 끼구나. 그죠? 그 두 배 받는다는 그 욕심. 오십 불 더 받는 거. 거기에 딱~ 취해서 나도 모르게 순간적으로 속은 거고. 욕심의 문제고.

 

두 번째는 야~ 속아도 속을 만 하다. 기찬 생각 아니야. 내 그 속이는 열 몇 가지 설명 중에 그거는 없었어. 그래서 얼마를 잃었어요? 은행환율로 바꾼다 치면 잃은 게 하나도 없어요. 1050불 받았으니까. 그죠? 은행 환율이 아니라고 하면 얼마 잃었어요? 90불 잃었죠. 10불은 도로 받았거든요. 그래도 아무튼 기분 안 좋습디다. 그러니까 그 순간에 마음에 이런 욕심이 끼니까 나도 모르게 속는 거요. 그러니까 앞으로 세상을 살 때. 내가 어떻게 바르게 사느냐가 중요하지. 그 사람들이 어떻게 사기를 치느냐? 이건 별로 중요한 문제도 아니고.

 

둘이 연애를 했는데 그 사람이 또 딴 여자 딴 남자가 더 좋아 간 게 배신이에요? 배신이라고 봐요? 배신 아니에요. 사람 마음에는 오락가락하잖아. 그러면 여러분들이 정토회에 나오다가 딴 절에 가면 스님이 볼 때 배신 아니오. 그게 배신에요? 교회 다니다 절에 오거나 절에 다니다 교회가면 배신이에요? 종교선택의 자유지. 그러나 거기서는 배신이라 그래요. 배신은 없어요. 사기도 본래 없고. 그 사람들은 그렇게 해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한다. 사기라 그러면 우리 전체인생이 다 사기요.

 

그러니 그런 생각위에서 세상을 사는데 두려워 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세상은 각자 다 자기 이익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러니 그것을 내가 무지. 이해하지 못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내가 욕심을 내서 순간적으로 눈이 어두워서 내가 손실을 보는 거지. 그것이 그들의 문제만은 아니다. 이런 관점에 서서 임하는 게 좋다 이거요.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모든 인간은 다 이기적입니다. 그렇습니까? 그러니까 남을 이기적으로 욕하지 마세요. 내 뱃속에 있는 애도 내가 결혼 안했는데 애가 생겼다. 그럼 이거 지워버려요. 그런데 애기 생기는 게 결혼하고 안하고 때문에 생겨요? 같이 자고 안자고 때문에 생겨요? 그러니까 내가 결혼했냐? 안했냐 이거하곤 아무 상관없는 거란 말이오. 그러나 내 이 지금 체면, 또 결혼을 해도 아직 집을 못 사가지고 애 낳을 때가 안됐다.’ 내 필요에 의해서. 딸이 셋인데 또 딸이다.’ 이런 이유로 제 뱃속에 있는 아기도 지운다.

 

또 아내나 남편이 누가 죽으면 죽은 사람 걱정하는 게 아니라 살 내 걱정한단 말이오. 이게 인간이라는 거요. 만약에 여러분들이 사랑하는 아내라 남편이라 하지마는, 부모라 하더라도 다쳐서 병원에 처음에 가 있을 때는 ~ 걱정하고 어떻게 살릴까?’ 하는데, 완전히 식물인간이 되가지고 누워있으면 여러분들이 그래도 살아야 된다.’ 이 생각해요? ‘아이고, 이렇게 12년 보내면 어떻게 할까?’ 걱정이 되요? 이게 인간이라는 거요. 인간은 이기적이다. 모든 인간이 다.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한다. 그러니까 인간이 이기적이라고 할 것도 없어. 이게 인간의 특징이오. 그러기 때문에 그럼 인간이 이기적이라는 걸 알면 자기를 보면 자기가 이기적이라는 걸 알 수가 있잖아. 그러면 다른 사람의 이기적인 인간을 이기적이라고 비난할 필요가 없다는 거요. 그것이 남편이든 아내든 자식이든 부모든 친구든. 그러니까 이기심이 있는 줄을 알면 사람이 다른 타인의 이기심을 이해하게 된다는 거요. 또 반대로 내가 이기적인 가운데서도 어떤 때는 꼭 이기적인 것만 아닐 때가 있어요? 없어요? 있죠.

 

그런걸 보면서 저 사람들도 저렇게 일반적으로는 이기적이지마는 때로는 이기적이 아닌 경우도 있다. 이게 인간의 선성에 대한 믿음도 있어요. 우물가에 애기가 앉아서 우물가에 떨어질까? 말까? 떨어질까? 말까? 하는데, 지나가는 개가 보고 애 떨어질까 싶어서 입으로 물어 당겨 내요? 그냥 놔둬요? 지나가는 소가 보고 어떻게 합니까? 그냥 지나갑니까? 끄집어 내 놓고 갑니까? 그냥 지나가지. 그러니까 아이를 발로 차 넣지도 않고 아이를 끄집어내 놓지도 않아요. 제 갈 길만 가지.

 

그런데 살인했거나 강도했거나 강간했거나 간첩이라 하더라도 어린애가 우물가에서 떨어질 듯 말 듯, 떨어질 듯 말 듯 하면 안아서 밖으로 내놓을까? 안 내놓을까? 내놓겠지. 이게 인간의 선성이오. 그런데 또 자기가 성질이 나거나, 화가 나거나, 욕심이 생기거나 어떤 이유가 있거나 미워지면, 저 멀쩡한 방에 있던 애도 데리고와 우물가에 던져요? 안 던져요? 던져. 이게 인간의 악성이오. 이건 생물학적인 요인이 아니오. 정신적인 요인이오. 악성과 선성 다. 이게 인간이 갖고 있는 특성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이런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으면 타인에 대해서 그런 측면은 그 사람에게 있는 게 아니라 나도 있고, 나에게 진의가 있고 선성이 있다면 그 사람에게도 진의가 있고 선성이 있어요. 그런데 나의 진의와 선성이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게 아니라 일부 사람한테만 나타난다면 저 사람들의 선성도 일부 사람한테만 나타나는 거요. 그러니까 내가 너에게 선성을 베풀었다고 그 사람이 나에게 반드시 선성을 베푼다. 이러게 볼 수가 없어요.

 

내가 누군가를 좋아할 때 그 사람이 나를 좋아하는 그런 맞아 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나는 A를 좋아하는데 AB를 좋아하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없어요? 있어요. 여러분들은 스님을 좋아하는데 스님은 딴 데를 좋아해. 딴 거 쳐다 봐. 그럴 때 배신감을 느낀다. 이렇게 말하는데 그렇지 않다. 그게 그 까르마 따라 그런 거요. 그러니까 이런 기본적인 이해의 위에서 우리가 서야 된다. 직장 동료등. 가정의 가족관계든. 이미 나와 타인은 얼굴모양이 다른 만큼 성격도 다르고 취향도 다르고 기본적으로 심성이 다르다.

 

그럼 100% 다르냐? 그 얘기가 아니라 기본적인 인간의 특성을 갖는 위에 부분적으로 달라요. 여러분 사람과 침팬지 사이에도 유전인자로 따지면 100% 다를까? 조금만 다를까? 조금만 달라요. 1%정도 다르데요. 그럼 사람과 사람사이는 얼마나 다를까? 훨씬 더 적게 다르겠죠? 0.% 다르겠죠? 그러니까 다른 측면에서 보면 지문이 다 다르잖아. 그죠? 이렇게 다 다른 것은 다른 요소 때문에 그래요. 그러나 우리는 그만큼 또 공통 요소도 가지고 있어요.

 

그런데 문제는 다른 것을 인정해야 되는데 자꾸 같아야 된다고 자기 식으로 같아야 된다고 생각하거나. 우리가 그런 몇 가지 다른 점을 보고 모든 건 다 다르다고 봐도 안 된다. 결국은 존재는 같은 것과 다른 것들이 공존하고 있는 거요. 다시 말하면 콩하고 팥하고 비교할 때는 같은 콩이라 그러지? 그러나 콩 한 됫박도 그 안에 같은 콩이요? 다른 콩이요? 서로 다 달라요. 콩하고 팥은 배추나 무하고 비교하며 어때요? 같은 곡식이지. 같은 곡류요. 그러나 곡류 안에 들어오면 다시 다른 **

 

그러니까 존재 자체가 어떻게 비교되느냐에 따라서 같다느니 다르다느니 비교된다. 그러니까 우리 형제는 다른 가족하고 비교하면 어때요? 공통점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러나 둘이 형제간에 둘이비교하면 어때요? 다른 점이 매우 많다. ? 둘이 비교할 때는 공통점은 논외로 칩니다. 그런데서 우리가 서로 다른 것들을 인정하는 위에 선다면 상대를 이해하기가 매우 쉽다. 그런데 우리는 항상 자기식대로만 모든 걸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거요. 그러니까 나를 좋아하면 좋은 사람. 나를 안 좋아하면 나쁜 사람. 나한테 이익을 주면 좋은 사람.

 

그러니까 우리의 좋고 나쁨은 믿을게 못 된다. 유유상종이다. 자기한테 잘하면 좋은 거고, 자기한테 잘못하면 나쁜 거고. 자기하고 더 동류면 좋은 거고. 자기하고 동류가 아니면 나쁜 거고. 이런 식이오. 이런 생각을 우리가 이제는 좀 벗어나야 된다. 그런다면 우리가 가정 안에서도 부부가 같이 살면서도 나와 다른 아내와 남편을 인정해야 되고, 직장에 같이 다니면서도 우리가 동료로서 같은 동료지마는 나와 여러 가지가 다른 상대를 우리가 인정하고 이해한다면 우리가 훨씬 더 다른 속에서 갈등을 일으키지 않고 조화를 이루고 살아갈 수가 있다.

 

이런 우리가 법의 이치를 안다면 우리가 하루 8시간 이상 사는 직장에서 훨씬 더 번뇌 없이 행복하게 살 수 있지 않겠느냐? 이런 것을 다시 새겨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