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지그라운드(2018)

사람들은 '이렇게' 일하고 싶어한다

Buddhastudy 2018. 11. 8. 20:08


내가 가끔 방 청소를 하려고 마음먹었을 때,

갑자기 부모님이 청소를 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이상하게도 방금 전까지도 청소를 하고 싶었던 마음이 완전히 사라지며 갑자기 청소가 하기 싫어진다.

 

도대체 이렇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반영조직>의 저자이자 쿠퍼실리테이션그룹의 대표 구기욱씨는 이렇게 말한다.

 

똑같이 하는 일이라고 해도 하고 싶었던 마음이 사라지는 이유는

바로 나의 자유와 성취가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자유가 있다는 것은 자신이 선택권과 결정권을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방 청소 좀 해라.”

부모님이 이렇게 말하는 순간, 나의 선택권과 결정권은 사라지게 됩니다.

청소하는 것이 내 결정으로 시작 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으로부터 시작한 것으로 변질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 나로부터 시작한 것, 다시 말해 내가 결정하여 행동한 일이 아니라면 그 결과를 이루어 낸 후 느끼는 성취감 역시 나의 것이 되지 못합니다.

 

이런 상황은 사실 회사에서도 똑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상사가 시키는 일을 하다 보니 일에 대한 몰입도와 성취감이 낮아집니다.

자유와 성취감이 사라질수록 조직 전체의 성과가 떨어지는 건 당연한 수순입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저는 반영조직이라는 개념을 제안합니다.

 

반영조직이란?

구성원의 의지가

조직의 의사결정에 늘 포함 되는 조직인데요,

일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지기에

구성원들이 자유와 권한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반영조직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먼저 조직의 가장 핵심적인 활동인 회의에 대해서 말씀 드리면

 

반영조직의 회의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진 구성원들이 한 자리에 모여

문제에 대해 거리낌 없이 의견을 개진하고,

서로의 생각을 교환하고 발전시켜 해결안을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일반적인 회사의 회의 문화를 보면

권한이 있는 한 사람이 최종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데요,

그것이 효율적으로 보이기에 조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단독결정 문화는 구성원의 자유와 성취를 박탈하게 되고, 구성원들은 일하는 재미를 잃어버린 채, 일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지 못하게 만듭니다.

 

회의의 시작부터 구성원의 의지를 담아내기 시작하면

논의 과정에서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구성원에 의견을 반영하기 때문에

회의의 결과물인 프로젝트에 대하여 애착과 실행 의지를 갖게 됩니다.

 

회의 결과로 만들어진 프로젝트에 대해

구성원 스스로 수행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선택하게 하고,

실행의 바탕에 리더의지지, 자원의 공급, 제도의 마련과 같은 조직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처럼 구성원들이 내린 결론이 실행되고, 그 결과를 직접 마주할 때, 구성원들은 자부심을 갖게 됩니다.

 

만약 효과를 내지 못하고 실패한다 해도 그 실패를 책망하지 않고, 실패의 원인을 탐색하고 다시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합의에 따른 결정을 내리게 되면, 구성원은 높은 소속감과 주인의식을 가지면서 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순환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조직이 바로 반영조직이죠.

회사가 최고의 성과를 내면서 구성원들 또한 성장하는 방법은 바람직한 조직에 대한 철학을 기본으로 만들어집니다.

 

당신의 조직은 반영조직의 조건인

성취감과 자유를 지킬 수 있는 철학을 제대로 갖추고 있나요?

 

그렇다면 실질적으로

어떻게 회의를 해야 할까요?

 

1. 목적(Purpose)

반영 회의를 진행하기 전에 어떤 목적으로 회의 할 것인지를 확정하는 단계.

 

2. 조성(Acclimatize)

목적에 맞는 참여자, 시간, 장소 도구 선정 및 참여자의 참여 욕구를 자극하는 단계

 

3. 표출(Surface)

표출된 아이디어를 인과, 연관, 절차 등의 구조로 파악하여 정리하는 단계.

 

4. 정렬(Arrange)

참여자 내면의 정보, 지식 등을 꺼내 놓는 단계.

실행될 수 있도록 책임과 기한을 명확하게 하는 단계

 

5. 탐색(Quest)

정렬된 아이디어를 근거로 추가적인 가능성, 인과관계, 합리성 등을 탐색하는 단계

 

6. 평가(Assess)

제기된 아이디어와 대안 중에서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평가기준을 확인 및 적용하는 단계

 

7. 결정(Decide)

평가를 바탕으로 구성원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대안을 최종 선택 하는 단계

 

8. 실행(Execute)

결정된 시행안이 실제로 실행되는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