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13)

[즉문즉설] 제221회 며느리가 이혼하고 집을 나갔어요, 손자 어떻게 키워야

Buddhastudy 2012. 12. 30. 04:25

출처 YouTube

 

애기 엄마는 있어요? 애기 엄마는 어디 갔는데? 아 그러니까 갔다. 그래야지 없다. 그러면 어떻게 해? 몇 살에? 4살 때. 으음. 그게 무슨 말이야? 누가 암에 걸렸다고? 보살님이? 살았어요? 아이고. 그런데 애기 엄마는 못 찾아요? 애기 아빠는 왜 못 키워요? . 으음. 그런데 이제 만약에 엄마아빠가 있는데 내가 키우면 그건 내가 바보요. 그건 또 나쁜 짓이오. 좋은 짓이 아니고. 아기는 엄마로부터 사랑받을 권리가 있는데 내가 그걸 뺏었기 때문에 그건 애기한테도 나쁘고 절대로 도움이 되는 거 아니오. 그러니까 앞으로 손자를 절대로 키우면 안 된다.

 

애기는 제 엄마로부터 사랑받고 클 권리가 있어서 태어났는데 그걸 누가 권리를 뺏으면 안 된다. 두 번째 애기를 낳은 엄마도 희생하면서 애기를 키울 의무가 있고 권리가 있고. 그걸 고생 덜어준다고 옆에서 그 권리를 뺏으며 안 된다. 그런 것을 원칙으로 삼아야 된다. 그러니까 이 닭을 키워보면 닭도 병아리를 까면 그 힘없는 닭이 평소에는 사람이 가면 도망을 가는데 새끼가 있으면 도망을 갑니까? 덤빕니까? 덤벼요. 그만큼 보호를 하려고 하는 이게 생명현상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어떤 사람도 애기를 낳으면 목숨을 걸고 애기를 보호해야 된다.

 

그러고 그 권리를 누가 대신해서 병아리 아낀다고 어미 닭으로부터 병아리를 빼가지고 가져오면 안 된다. 이 말이오. 어느 정도 클 때까지 어미 닭의 품속에 있도록 해야 되고, 조금만 크면 어미 닭은 병아리가 지가 알아서 먹을 거 정도로 한 보름이나 지나면 어미 닭이 신경 씁니까? 안 씁니까? 병아리 잡아먹는다고 잡아가도 어미 닭이 신경 써요? 안 써요? 안 써요. 그러니까 우리가 어릴 때는 이렇게 보호해 주는 것, 목숨 걸고 보호해주는 게 생명의 원리고, 그다음에 크면 지 살도록 놔 주는 게 생명의 원리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어릴 때 보호 안 하고 버리는 것이 반생명적이고, 커서 계속 잡고 있는 것도 반생명적이다. 살아있는 목숨을 끊는 것도 반생명적이고, 죽음 목숨을 산소호흡기 달아서 이렇게 붙여놓는 것도 어때요? 그건 살리는 짓이 아니고 뭐다? 반생명적이다. 이런 얘기요. 생명의 원리에 맞게 살아야 되는데, 우리가 지금 반생명적으로 하기 때문에 반드시 부작용이 발생한다. 그런데 부모가 없다. 죽었든 도망을 갔든 어쨌든 부모가 없는 아이라면 내 아이가 아니라도 보살펴야 되요? 안 보살펴야 되요? 보살펴야 되요.

 

그게 또한 사람의 길입니다. 이 할머니는 손녀라고 봐준 게 아니고 보살필 부모가 없어서 어때요? 보살핀 거기 때문에 이건 잘못된 게 아니다. 이 얘기에요. 보살필 사람이 없어서 보살폈기 때문에 잘못된 게 아니다. 그러니까 아이의 엄마가 도망간 게 아니고 내가 아이의 엄마예요. 촌수로 따지면 뭐지마는? 손녀지마는. 실제로는 내가 뭐다? 아이의 엄마다. 이런 얘기요. 그러니까 내가 할머니다 이름은 뭐라고 부르든 그런 생각하지 말고 아이의 엄마로서 이왕지 맡았으면 어떻게 해요? 키워야 되는데 지금 몇 학년이라고?

 

그러니까 고등학교만 졸업하면 정을 끊어야 됩니다. 고등학교만 졸업하면 대학을 가든 못 가든. 그런데 이 집착의 정을 못 끊으면 아이가 크게 잘못됩니다. 그러고 지금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사춘기 때는 전에처럼 할머니 말을 잘 안들을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증상이 나더라도 야단쳐도 안 되고 그냥 지켜봐야 됩니다. 지켜봐야 돼. 그 이유를 엄마가 없어서 저렇다. 아빠가 안 돌봐서 저렇다. 이런 생각 하면 안 돼요. 누가 엄마이기 때문에? 내가 엄마예요. 무슨 말인지 아시겠어요?

 

내가 엄마이기 때문에 엄마가 없는 애라서 저렇다.” 이런 생각을 하지 마라. 내가 그냥 엄마다. “아빠가 없어서이런 말 하지 마라. 내가 그냥 엄마아빠 역할을 하는 거다. 이렇게 딱 생각하고 아이를 내가 아무리 늙어도 앞으로 한 5년은, 그러니까 딱 내 자식 키울 때 같은 마음으로. 그러나 중학교 들어오기 전까지는 보살펴주는 게 중요하지만,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는 사춘기이기 때문에 이거는 조금 제 맘대로 하려는 게 있어요.

 

그런데 그게 사람을 때리거나 죽이거나 도둑질을 하거나 강도 짓을 하거나 성추행을 하거나 폭행을 하거나 거짓말을 하거나 속이거나 그런 게 아니면 어때요? 이 다섯 가지 정도 빼고는 공부를 하든 안 하든 이런 거는 야단칠 일은 아니다. 대화해야 할 일이지. 내버려 두라는 건 아니고 대화를 해야지 야단칠 일은 아니다. 그런데 애가 한번 생각해보세요. 4살인데 부부가 싸우거나 아빠가 사업 실패하거나 해서 엄마가 애를 버리고 가버렸다 하면 이 아이 입장에서는 세상으로부터 버림을 받은 거 아니오. 제 엄마로부터.

 

상처가 될까? 안될까? 되겠죠. . . 상처가 있으니까 그걸 감안하셔야 돼요. 그러니까네, 내가 그것을 대신해서 보살펴주기는 하지마는, 그러나 그것을 감안해야 된다. 그다음에 아빠도 제 사업한다고 돌아다닌다고 지금 역할 제대로 못 하잖아. 그죠? 역시 그것도 상처가 된다. 그러면 학교를 가보면 엄마가 있고 아빠가 있고 이런 걸 다 보지 않습니까? 그죠? 그러니까 이런 거는 항상 말은 안 하지마는, 할머니가 자기를 돌봐주니까 고맙다고 말은 안 하지마 속으로는 항상 어때요?

 

나는 왜 엄마가 없을까? 왜 아빠는 나를 돌보지 않을까? 이런 원망이나 이런 한이 있겠어요? 없겠어요? 있으니까 말이 적고 혼자 있는 시간이 많고 이렇게 되는 거요. 그러니까 그걸 감안하시고 키우면 돼요. 특별한 그런 거 없고. 그래서 항상 내가 할머니다.’ 이 생각하지 말고 오늘부터는 엄마다.’ 이렇게 생각하고. 애하고 대화도 하고, 애가 뭐 하면, 그런 마음가짐으로 이렇게 키우시면 돼요. 그게 어떻게 되겠어요? 애가. 어른도 안 되는데. 그렇게 얘기하지 말고 그냥 두고 이렇게 지켜보시고

 

그러니까네, 이제 늦게 애 하나 얻어가지고 키우는 그런 마음, 그런 말 하지 말고, “나를 엄마라고 불러라.” 이런 말 하면 안 되고. 당연하죠. 누구든지 키우는 자를 애는 엄마라 그래요. . 그래서 그런 마음으로 자식이라고 생각하시고 그냥 키우면 돼요. 그럼 아들한테 기대하고 며느리 찾고 이러지 말고. 고등학교 졸업하면 제 살도록 놔두고. 그러니까 조금 외로워하는 거를 보고 안쓰러워하지 마라. 할머니가 안쓰러워하면 애가 그것이 전이가 돼요.

 

너가 문제가 있다.” 이러면 진짜 애가 문제가 있어지는 거요. 그러니까 항상 할머니가 괜찮다.” 그래야 돼. “아이고 괜찮다.” 이렇게. 안쓰럽게 보면 안 돼. “우리 손녀 잘 큰다.” “아이고, 잘한다. 잘한다.” 자꾸 이래 주면 돼. . 보살이 되셔야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