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문즉설] 제461회 인과 출처: 불교TV 남편 돌아가시고 또, 아이가 그렇게 방안에 안 나오고 박혀있고. 그러니까 마음이 많이 아프시고 충분히 이해는 갑니다만. 한 번 돌아보세요. 남편하고 사이도 안 좋고, 산사람도 놔놓고 몰래 이사가 버릴 정도였다. 이렇게 말했잖아요? 그 말은 산 사람을 놔 놓고 이사 간다..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5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9회 3. 무아법을 깨닫고 싶습니다. 출처: 불교TV 무아를 깨달아서 원격으로 치유를 하는, 또 신통력도 얻고 싶다. 좋은 말씀이지만, 일단 뭐 이러고 싶으면 본인이 일단 공부가 되어야 되겠죠? 신통력 신통력 그러는데, 진짜 신통력은 밥 먹고 소화시키는 거. 자고나서 피곤 풀리는 거. 이게 최고의 신통력입니다.^^ 배고프면 ..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6.25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9회 2. 늘 분주한 마음 다루기 출처: 불교TV 이분은 좀 아마 마음이 분주하신 거 같아요. 그래서 우리 선가에도 그런 말이 있어요. 心猿意馬심원의마라. 마음은 마치 원숭이와 같이 말과 같다. 이런 뜻이에요. 원숭이 동물에 가보면 가만히 안 있고 계속 왔다 갔다 왔다 갔다 하죠? 이 나무 갔다 저 나무 갔다. 바나나**다...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6.25
[즉문즉설] 제460회 윤회에서 벗어나기 출처 YouTube 사는 게 재미있으면 반복해야 좋잖아. 재미가 없구나. 그럼 어떻게 하고 싶어? 걱정 안 해도 돼. 그렇게 될 거니까. 그런데 죽고 나면 또 태어나고, 죽고 나면 또 태어나고, 죽고 나면 또 태어난다고 누구 얘기했어? 나쁜 짓 안하면 되잖아. 그럼 인간으로 태어나서 좋은 일 많이 ..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4
[즉문즉설] 제459회 걱정 내려놓기 출처 YouTube 그 정도면 좋으네요. 가끔 한 번씩 일어나는 정도면 굉장히 잘 하는 축에 들어가요. 얼마나 자주해요? 가끔 한 번씩 한다며요? 가끔 한 번씩은 괜찮아요. 그 순간에 가끔 미쳐서 그러지. 그럴 때는 그러고 딱 하고 나서 “아이고, 내가 또 미쳤네. 아이고, 내 깜빡 또 미쳤구나.”..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4
[즉문즉설] 제458회 다른 것이 당연하다 출처 YouTube 그러니까 이 세상 사람은 다 똑같지가 않습니다. 그죠? 정치인도 똑같아요? 안 같아요? 목사님도 다 나쁜 것도 아니죠? 그죠? 다 좋은 것도 아니고. 스님들도 마찬가지고. 똑같이 절도 똑같지도 않고. 그러면 똑같지 않는 게 정상일까? 똑같은 게 정상일까? 예. 그러니까 이 모..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4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9회 1. 진정한 하심이 뭔가요? 출처: 불교TV 예. 오늘 주제에 맞게 질문해 주셨어요. 진정한 하심이 뭐냐? 정말. 진정한 하심이 되려면 사실은 내가 없어져야 되요. 그렇죠? 내가 있는 한 치받아 올라오겠죠. 요새 백화점이나 뭐 이런 장사하는 분들도 손님한테 친절하게 하지만, 가끔 좀 너무 무례한 손님이나 이런 사람..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6.24
46. 윤홍식의 즉문즉설 - 영혼백과 아스트랄체, 정신체, 인과체의 관계 출처 : 홍익학당 영혼육은 제가 늘 말씀 많이 드립니다만 제 용호비결이라는 책에 방금 질문하신 내용은 자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참고로요. 그래서 영 그러면 혼하고 대비해야 이해가 잘되시죠. 혼은 知情意지정의 그럽니다. 지정의 그럽니다. 의지. 그래서 지성, 감성, 의지죠. 우리가..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6.23
45. 윤홍식의 견성요결 - 참나와 열반 출처 : 홍익학당 제가 참나라고 그러니까 참나면 에고다 해가지고 아상이다. 이렇게 비판하시는 분도 있고, 열반이 맞다 이런 분도 있는데, 똑같은 말입니다. 열반도 탐진치가 꺼진 우리의 마음이고요, 참나도 오염되어있지 않는 우리의 마음이라는 뜻입니다. 내 마음이라 나라고 하는 거..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6.23
44. 윤홍식의 즉문즉설 - 사주와 명리학 출처 : 홍익학당 사주명리학이라는 게 태어난 연월일시가지고 계산하지 않습니까? 자~ 연월일시가 같다고 업이 같을까요? 그렇죠? 어떻게 같은 시간에 태어났다고 그 업이 전생에 살아 온 업이 같겠습니까? 그러니까 연월일시가지고 그 분의 인생의 한 반수이상 맞추면 잘 맞춘 겁니다. ..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6.23
[즉문즉설] 제457회 욕망 내려놓기 출처 YouTube 자기 얘기요? 남 얘기요? 그러니까 제 얘기 아니면 신경 쓰지 마세요. 그 옆에 술도 못 끊어 저래 힘 드는데, 어떻게 다생겁래로 쌓은 욕망을 쉽게 끊겠어요? 쉬운 일이 아니오. 그러면 아들이요? 아 그럼 욕망이라는 게 뭐요? 으흠. 놔두세요. 그냥. 놔두시라고. 내가 왜 물어보..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3
[즉문즉설] 제456회 알콜중독 극복 출처 YouTube 아니 술은 이 생에서 배운 건데 그것도 안 끊기는데 어떻게 수없는 다생겁래로 지어온 이 업식을 끊을 수 있겠어? 어떤 사람이 낚시하기를 좋아한다 할 때 본인은 병이 아니죠? 그런데 그 물고기가 보면 어때요? 그러면 이 놀음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볼 때는 취미생활인데 딴 ..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3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8회 6. 행복의 비결 출처: 불교TV 자~ 오늘 그래서 지난시간에 이어서 보시. 부자 되는 비결을 공부를 했습니다. 우리가 진짜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게 부자 되는 거예요. 사람들이 행복을 추구하는데, 행복에 가장 중요한 조건이 소유에요. 첫째. 내가 필요한 만큼은 가지고 있어야 행복하다고 느끼지. 어디 ..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6.23
[즉문즉설] 제455회 굿을 강요하는 어머니 출처 YouTube 그럼 본인이 생각하는 바른 도는 어떤 게 바른 도요? 그럼 부처님의 가르침의 요지가 뭐요? 어머니가 자식 잘되라고 한다. 그건 이해는 되요? 어머니 자식 잘되라고 우리 잘되라고 어머니 나름대로 신앙으로 지금 하고 있으니까 그 어머니를 이해하고 그 뜻에 맞춰 주는 게 바..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1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8회 5. 남에게 도움을 주는데도 왜 해가 올까요? 출처: 불교TV 이분은 약간 좀 애매하기는 하지만, 어쨌든 남에게 도움을 주는데, 자기한테 해가 온다 이거에요. 이건 무엇이 문제인가? 좀 구체적으로 질문했으면 더 좋았을 텐데. 그런데 이런 경우는 남을 도와도 이게 지혜롭게 도와야 되요. 아마도 지혜롭게 돕지 못해서 그러지 않을까? ..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6.21
[즉문즉설] 제454회 남동생 뒷바라지 출처 YouTube 그런데 무슨 원망을 그렇게 해요? 뭘 안 해준다고 원망해요? 부모 유산을 누가 받았는데? 둘 다? 그럼 시집을 잘 갔나 보죠? 본인이 괜찮은 거 보면? 그런데 달리 방법이 있겠어요? 그죠? 인생사에. 동생은 자기가 볼 때는 누나가 자기보다 잘 산다. 그러니까 좀 도와 달라 이거 ..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0
[즉문즉설] 제453회 열정과 자신감 회복 출처 YouTube 그 병의 증상이 어떻길래 군에서 면제 시켰어요? 그런데 왜 군대에서는 안 된다고 그래요? 딴 사람은 군대 면제를 받으면 좋아하는데 왜 본인은 그것을 싫어해요? 그러면 헬리콥터 그거 수리하는 게 군대 헬리콥터만 있나? 민간인 헬리콥터도 있잖아요. 그러면 미국에 가든지 ..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0
[즉문즉설] 제452회 귀신에 대한 두려움 극복 출처 YouTube 네. 스님이 하는 말을 믿으시겠어요? 믿을 준비가 됐어요? 자~ 귀신은 없습니다. 이렇게 끝을 맺어야 돼. 귀신은 없다. 그런데 그럼 나한테 보이는 건 뭐냐? 환상이다. 으흠. 환상은 실제 하는 게 아니다. 으흠. 그러니 그런 것이 보이면 아~ 이건 환영일 뿐이다. 이렇게 탁 자신을..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20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8회 4. 장애인들은 어떻게 살아야 됩니까? 출처: 불교TV 요새는 장애인 체험 이런 거 많이 하는데, 사실은 불편하죠. 몸이 불편하다보면 마음도 불편해지고, 거기에 또 이제 마음이 구속되죠. 그러나 역시 장애라는 것도 내가 극복할 수 있다. 이런 마음을 가져야 되요. 극복할 수 있어요. 그러고 몸에 장애보다 더 무서운 게 마음의 ..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6.20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8회 3. 불교TV에 5천원 후원하는 것도 법보시입니까? 출처: 불교TV 그렇죠. 이것도 법보시죠. 여러분들 불교TV에 저거 보내잖아요. 그 보내면 전화로. 보내면 거기서 5천 원씩 송금이 되는 그게 있죠? 그것도 역시 법보시입니다. 왜냐? 그거를 많은 사람들이 보내니까 그걸 받아서 불교TV라는 이런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전 세계로 송출을 할 수..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6.20
[즉문즉설] 제451회 관세음보살님이 역사적인 인물인지 출처: BTN 햄릿이 역사적 인물이오? 역사적 인물이 아니오? 그런데 우리가 그래도 ‘사느냐 죽느냐 이것이 문제로다’ 할 때 섹스피어가 한 말이라 그래요? 햄릿이 한 말이라 그래요? 그럼 햄릿이 우리가 어떤 고민이 있을 때 그 햄릿에 어떤 말을 인용하면서 내가 중얼거릴 때 햄릿이 역사..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19
[즉문즉설] 제450회 나를 발견하라 출처 YouTube 우선 남편이나 부모님으로부터 애들하고 똑 같은 대열에 서서 야단을 맞으니까 애들이 엄마를 무시하고 내가 얘기해 봐야 잔소리 밖에 안 되고 엄마 얘기 잘 안 듣는다. 그럼 내가 말하면 잘 안 듣는다 하면 내가 어떤 말을 할 때 애들한테 교육효과가 있어요? 없어요? 없으면 ..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18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8회 2 법보시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출처: 불교TV 예. 법보시도 어떻게 보면 막연하죠? 법보시, 법보시 하는데 진짜 어떻게 해야 잘해야 되나? 그러데 제가 해보니까요 법보시하는 비결 중에 첫째는 게송을 많이 외우는 게 좋아요. 게송을. 게송은 외우기가 쉽게 되어있어요. 짤막짤막하잖아요. 스토리를 다 외우기는 어렵죠. ..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6.18
[즉문즉설] 제449회 아버지에 대한 참회 출처 YouTube ㅎㅎ흠. 결혼했어요? 어머니하고 같이 살면서 어머니가 사실은 고생 많이 하셨죠? 으음. 고생 많이 한거 이런 게 다 이해는 되는데, 아무튼 어머니가 자기 고생한 얘기 많이 하고 한숨 많이 쉬고, 이렇게 어머니하고 같이 살면 좀 가슴이 답답해요? 안 답답해요? 내가 가슴이 답..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17
[즉문즉설] 제448회 상대를 인정하고 이해하기 출처 YouTube 부인은 부인대로 고민이고, 처녀는 처녀대로 고민이고, 학생은 학생대로 고민이고, 남편은 남편대로 고민이고, 애들 아빠는 애들 아빠대로 고민이고, 이렇게 다 인생은 고민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른들이 생각할 때는 젊을 때가 좋아 보이고, 젊은 애들이 생각할 때는 빨리 어..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17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8회 1. 재보시와 법보시중 어떤 게 더 복덕이 있나요? 출처: 불교TV 네, 아까 말씀드린 금강경의 구절, 그 말씀이시죠? 온 세상을 일곱 가지 보배로 채워서 보시하는 거보다 게송 한마디 전해주는 게 훨씬 더 복덕이 크다. 이런 말이 연거푸 나오는데, 아~ 그게 진짜 그런가? 뭐~ 이런 또 의문이 생길 수 있어요. 제가 질문을 하나 거꾸로 드릴게..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6.17
43. 윤홍식의 즉문즉설 - 참나에는 개체성이 있나요 출처 : 홍익학당 지금 그림 활용하니까 좋으네요. 참나는 어떤가요? 개체성이 있나요? 없나요? 참나엔 없습니다. 여기에는요? 있어요. 참나를 느끼는, 느끼는 거같이 같이 있을 때는 개체성이 있습니다. 자~ 그런데 애매하시죠. 여러분이 사선정 멸진정 진짜 상승멸정이라고 하죠. 멸진정..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6.16
42. 윤홍식의 즉문즉설 - 아집의 속성 출처 : 홍익학당 아집이요. 여러분 아집 모르시지 않죠? 나사랑. 자기애에요. 나를 너무 사랑하는 겁니다. 매사에 중심에 나를 놓고 보는 걸 아집이라고 합니다. 아, 아라는 거에 집착하는 거예요. 사실 여러분 참나도 난데, 참나는 아집이 없어요. 나라고 집착을 안 해요. 우주를 나로 여기..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6.16
41. 윤홍식의 즉문즉설 - 성선설과 성악설 출처 : 홍익학당 선악 나오면 좀 헷갈리시죠? 이것도 한번 이번기회에 정리를 해 보십시오. 자~ 선이니 악이니 하는 건 이원성의 세계죠. 선악은 에고에만 있을 거라는 거 아시겠죠? 선악은 에고한테만 있어요. 이원성의 세계에서. 선은요, 뭔가요? 악은 뭔가요? 초기 불교이래에 모든 종교..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6.16
[즉문즉설] 제447회 어린 아이돌 가수가 좋은데 출처 YouTube 제447회 어린 아이돌 가수가 좋은데 그러니까 여자 가수를 좋아한다는 거야? 남자 가수를 좋아한다는 거야? 남자. 가수만 좋은 거요? 안 그러면 나보다 나이어린 남자애들이 더 좋은 거요? 가수라서 좋은 거요? 남자라서. 가수라서 좋은 거요? 어리기 때문에 좋은 거요? 아니, 그..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