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문즉설] 제801회 법륜스님과 정토회의 이론과 사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출처 YouTube ^^그거 뭐 자기 생각인데 뭘, 나는 나대로 사는 거요. 남이 이렇게 분석하든 저렇게 분석하든 이렇게 평가하든 저렇게 평가하든 관계없이 그냥 살고 있는 거요. 이렇게. 이렇게 물으니 이렇게 대답하고 저렇게 물으니 저렇게 대답하고. 이런 일이 생기니 이런 일하고, 저런 일이..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24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3회 2. 화날 일이 많습니다. 출처: 불교TV 예. 이렇게. 고 뒤에 ‘월호스님 너무 감사하고 불교TV 사랑합니다.’ 이렇게 써놨어요.^^ 고맙습니다. 예. 감사드리고. 아~ 요분은 식당을 하고 있는데 식당을 하다보면 화가 날일이 많죠. 가끔 보면 손님 중에 무례한 손님도 있고, 뭐~ 얼토당토않은 그런 주문하는 사람도 있..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24
[즉문즉설] 제492회 자립 출처 YouTube 네. 내가 어린애같이 남편에게 의지한다고 나쁜 건 아니에요. 의지하려면 확실히 의지하라는 거요. 그러니까 일할 거 있으면 남편한테 의지하고,좋은 거 먹을 거 있으면 지 주인노릇하고 지 찾아먹고, 이렇게 경상도 말로 디비쪼기 때문에 문제란 말이오. 그러니까 어려운 건 ..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23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3회 1. 집중을 하려면 출처: 불교TV 예. 좋은 질문 하셨어요. 희한한 게요, 그 앉아있으면 평상시에 안 나던 생각까지 다 올라와요. 그 어떤 분은요, 앉아 있다가 성질이 나가지고 푸륵푸륵 하고 나가는 사람도 있어요. 왜냐하면 과거에 있었던 열 받았던 일들, 남하고 억울했던 일들 막 떠오르니까 감당이 안 되..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23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2회 8. 본마음은 어떤 것인가요? 출처: 불교TV 그렇죠. 잘 아시네요. 분별심을. 본마음을 알기 위해서는 무심공부에 투철해야 되요. 무심공부에서 무아법에 통달해야 본마음을 알게 되요. 으흠. 그것을 이제 공부에, 아까 말씀드린 하심, 일심, 무심, 발심 공부를 꾸준히 해 나가야 알 수가 있다고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23
[즉문즉설] 제491회 분가 출처 YouTube 잘 했어요. 그냥 사는 게 좋겠네. 그냥 사는 게 좋겠어. 예. 어머님 모시고 그냥 사세요. 예. 양산서 울산까지 출퇴근 하는데 까지 얼마 걸려요?예. 그러면 1시간 일찍 일어나 오면 되잖아. 뭐가 문제요? 뭐가 힘들어? 걸어와요? 차 운전하는데 차가 힘들지 왜 차가 힘들어? 엄마가..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22
[즉문즉설] 제490회 자리이타 출처 YouTube 후자부터 먼저 얘기하면 아이가 공부에 대해서 욕심이 있는 게 아니고 성적에 대해서 욕심이 있는 거요. 성적에 대해서 욕심이 있다 이 말은 노력은 적게 하고 결과는 크게 얻으려고 한다. 그 욕심이다. 이 말이오. 욕심은 버려라. 그러니까 공부에 대한 욕심은 있어도 좋고, 있..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21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2회 7. 집에서 기도할 때 회향은 어떻게 합니까? 출처: 불교TV 예. 기도하고 나면 불보살님께 공양을 올리거나 기도를 하거나 경전을 독송하면 공덕이 생깁니다. 그 공덕을 반드시 회향을 해야 되요. 제가 이렇게 기도한 공덕으로 아까 얘기했죠? 저와 제 가족들이 어려움에서 벗어나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으흠. 내가 예뻐하는 사람은 물..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21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2회 6. 업장과 마음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출처: 불교TV 업장. 업장. 우리가 보통 말하는 업장이 많다. 이런 말과 또 마음의 관계 말씀하셨는데 그 업장이라는 게 결국 마음의 속박을 업장이라고 하는 거예요. 스스로 마음에 속박이 있기 때문에 돈이 좋은 사람은, 가난한 사람은요, 돈에 대한 속박이 있어요. 마음에. 내가 돈이 없어..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21
56. 윤홍식의 즉문즉설 - 空에 대해서 출처 : 홍익학당 이 지금 그림이랑 좀 연결해서 이해해보시면 좋겠죠. 참나는 공이에요. 왜냐? 에고의 세계에서 볼 때 공이에요. 참나가 뭐 없어서 공이 아니라,참나는 실존하죠. 그런데 우리가 아는 현상계. 생각감정오감과 시간과 공간과 나와 남이 갈라진 세계에서 볼 땐 없어요. 참나..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7.21
55. 화엄경 강의 중 발췌 - 무명과 유마경 출처 : 홍익학당 자~ 이렇게 때문에 보십시오. 유마경에 뭐라고 되어있습니까? 유마경을 꼭 한 번 보세요. 제가 나중에 시간이 되면 또 해드릴 만한 경전이 대승사상의 극치를 설명해 주는 건 유마경입니다. 유마경하고 같이 화엄경을 보시면 아주 좋을 겁니다. 그래서 유마경에 뭐라고 되..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7.21
[즉문즉설] 제489회 남이야 어떻든 관여하지 말고 자기를 봐라 출처 YouTube 도를 닦아 나갈 때 제일 첫 번째 해야 될 건 이치를 바르게 알아야 됩니다. 지금 여러분들이 기도하는 거나 이런 걸 볼 때 이치를 잘 모르고 한단 말이오. 이치를 잘 모르고 하니까 이게. 등산을 가면 길을 제대로 알고 가야지 길도 모르면서 지맘대로 산에 오른다고 되는 게 아..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19
[즉문즉설] 제488회 상대를 이해하면 내 마음이 편하다 출처 YouTube 후자부터 먼저 얘기하면 내가 마음을 내면 내가 좋기 때문에 내가 마음을 내는 거요. 내가 상대를 이해하면 내 마음이 편안하고, 내가 상대를 이해하지 못하면 내 마음이 답답하니까 내가 이해하는 마음을 내는 거요. 그 상대를 위해서 내는 거 아니에요. 나 편하자고 내는 거..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18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2회 5. 마음이 너무 아플 때 어떻게 다잡아야 하나요? 출처: 불교TV 이런 경우 살다보면 오게 되죠. 마음이 아프다. 캬~ 마음은 사실 아플 수가 없는 거예요. 몸은 아플 수 있지만 마음은 실체가 없기 때문에. 그런데 우리가 마음이 아프다고 생각 착각하고 있는 거예요. 사실은. 그런데 마음이 아프다고 착각을 하면 실제로 마음이 아파집니다. ..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18
[즉문즉설] 제487회 남에게 분별심을 내는 나를 봐라 출처 YouTube 그런데 자기부터 고쳐야 되요. 지금은 질문하는 사람은 책임을 또 남한테 전가하고 있어. 자기부터 고쳐야 되는 게 질문을 어떻게 해야 되느냐하면, “제가 스님법문을 너무 많이 듣고, 그것을 다 실천도 못하면서 자꾸 이치만 많이 알아가지고 자꾸 저도 모르게 나도 못 하는 ..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17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2회 4. 참선 2년차인데도 망상과 졸음 때문에 힘듭니다. 출처: 불교TV 아유, 이분 아주 솔직한 분이에요. 참선을 처음 하면요, 보통 둘 중에 하나에요. 망상 확 떨거나 망상 확 떨다보면 지치잖아요. 그럼 이제 졸거나.그러다 이제 잠깨면 또 망상 막 또 하다. 또 지치면 또 축 늘어지고. 아주 솔직한 분이에요. 저도 좌선 처음에 할 때 이랬어요. 그..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17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2회 3. 염불, 기도 하는데 마음이 비워지지 않아요. 출처: 불교TV 이게 염불이나 기도는 일심공부에요. 그런데 마음이 안 비워지면 하심공부부터 해야 되요. 하심이 안 되어서 안 비워지는 거예요. 다시 말해서 내가 뭐를 이루고자 하는 욕심만 앞섰지 우리가 어떤 컵이나 그릇에 뭐가 가득 차 있어요. 이미. 그럼 거기다 뭐를 더 채울 수 있..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17
[즉문즉설] 제486회 집착을 놔야 된다는데 집착하고 있다 출처 YouTube 네. 예를 든다면 내가 남편한테 집착을 한다. 또 자식한테 집착을 한다. 그러면 집착을 한다는 건 내 뜻대로 하고 싶다. 이 말이거든요. 내 뜻대로 안되니까 어때요? 내가 화가 나고, 짜증이 나고 짜증이 나고, 스트레스를 받죠. 그러다가 그 집착을 놓으면. 즉 내 뜻대로 하겠다..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16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2회 2. 발원은 꼭 한 가지만 해야 이루어지나요? 출처 YouTube 우리가 발심한다. 발원한다. 그래서 원을 발생시키는 거죠? 한 가지만 해야 이루어지느냐? 이런 질문하셨는데, 그렇지는 않아요. 뭐 몇 가지는 해도 되요. 그러나 확률적으로 볼 때 우리가. 여러분들 확률적으로 볼 때 한 가지에 전념하는 게 이루어질 확률이 많겠어요? 이것도 ..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16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2회 1. 초발심과 4단계의 발심의 차이점 출처: 불교TV 예. 알았습니다. 우리가 처음에 발심을 한다. 그랬을 때 초발심이죠? 내가 불교를 배워야 되겠다. 아니면 내가 마음공부를 해야 되겠다. 내가 선행을 해야 되겠다. 이렇게 처음에 내는 마음을 초발심이라 그래요. 그런데 지금 여기서 제가 말씀드린 것은 마음공부 4단계 마지..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16
[즉문즉설] 제485회 어머니, 감사합니다. 출처 YouTube 우리가 어떤 사건, 사물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어머니가 시킨 심부름을 가다가. 즉 “기름을 사오라.” 하는 그런 심부름을 갔다 오다가 넘어져서 기름을 쏟아버렸어. 그러니까 어떤 아이는 “엄마, 넘어져서 기름 반이나 쏟아버렸어.” 이런 아이도 있고, 또 ..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15
[즉문즉설] 제484회 경계에 걸리지 않기 출처 YouTube 108배 할 때 108배가 쉬요? 어려워요? 108배 할 때 꽤가 좀 나요? 108배 할 때 꽤가 좀 나요? 그럼 일주일마다 한번씩 500배하고 한 달에 한 번씩 천배씩 하고. 물었으니까 시키는 대로 해야지. 어떻게 하라고? 일주일에 한번씩 500배. 한 달에 한 번씩 천배. 그러면 108배하기 싫은 마음..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15
54. 마야, 신의 작용 - 성통공완_윤홍식 출처 : 홍익학당 딴 데서 참나 얘기는 많이 하시는데, 제가 얘기해보면 그 얘기하시면 다들 좀 절에 오래 다니신 분들도 뭐죠? 이 현상계가 그대로 참나다. 이러면 원래 반야심경에 다 쓰여 있는 글인데, 반야심경은 다들 외우시는데, 내용을 잘 모르 시니까요, 깜짝 놀랐죠. 거기에는 무명..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7.14
53. 법공 法空 - 신의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다_윤홍식 출처 : 홍익학당 그래서 보살도를 연구 어떻게든 하세요. 윤회를 싫어하지 마시고, 윤회는 차차하고요, 지금 이 세계. 윤회는 다음 문제는 윤회가 싫은 건 지금 이 세계가 못마땅해서가 아니십니까? 내가 사는 여기가 못마땅해서. 그 마음부터 버려야 된다는 거예요. 그래서 보살은 윤회를.. 윤홍식/윤홍식_즉문즉설 2013.07.14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1회 7. 100일 기도 중 옆 사람이 보기 싫어집니다. 출처: 불교TV 아~ 백일기도를 하니까 옆에 사람들이 점점 보기 싫어진데요. 이 분은. 그런데 요것도 일리가 있는 말씀이에요. 우리가 공부를 안 할 때는 주변에 있는 것들이 제대로 안보여요. 그런데 조금 기도를 하거나 뭐 정진을 하다보면, 오히려 마음이 조금씩 쉬잖아요? 그러면 남의 ..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14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1회 6. 업장을 소멸하려면 참회를 해야 되나요 출처: 불교TV 예. 업장을 소멸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참회죠. 참회. 그래서 우리가 첫 시간에 한 하심형 공부 있죠? 하심형 공부의 참회도 들어가 있었죠? 그래서 우리가 자기 마음을 낮추고 참회를 하고 이러다 보면 자기의 번뇌 업장들이 녹아내리는 것을 체험..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14
[즉문즉설] 제483회 시시비비 내려놓기 출처 YouTube 절을 좀 해. 절을 얼마나 하는지 모르는데. 지금 하루에 절을 얼마씩 해요? 108배. 절을 한 300배쯤 해. 그리고 이렇게 자꾸 나를 세우고, 자기 업식이 자꾸 치성하는 걸 보면, 업식이 올라오는 게 나쁜 거는 아니오. 올라와야 없어지니까. 또 업식이 올라와야 내가 업식이 많구나 ..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12
[즉문즉설] 제482회 예, 알겠습니다. 출처 YouTube 그런데 왜 남편의 그런 행동이 내가 절에 가기 때문에 생겼다. 그렇게 연결을 시켜? 그러면 오늘부터 절에 안 가보면 그렇게 하는지 안하는지 실험을 해보면 되지. 뭐 어려운 일이야. 아니 그러니까 남편이 우선 음주운전해서 죽는 게 좋으나? 그러면 하번 해보면 되잖아. 일주..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12
[즉문즉설] 제481회 내 버릇 고치는 데만 집중한다 출처 YouTube 탁 놓는 방법은 뜨거운 줄 아는 거 밖에 없어. 덜 뜨겁다는 얘기 아니야. 살만 하다는 얘기야. 그러니까 쥐고 있지. 뭐. 그런데 남편이 어떻게 하는데? 그러니까 변함이 없다는 거는 결혼할 때부터 그랬나? 자기가 매일 거울을 쳐다봐요? 자기가 심각할 때 얼굴 표정이 어떤지 아.. 법륜스님/즉문즉설(2013) 2013.07.11
월호스님의 즉문즉설 제11회 5. 집에서 경전을 읽어도 되나요? 출처: 불교TV 절대적으로 집에서 해도 됩니다. 집에서 경전을 읽는데 왜 마가 껴요? 집에서 경전을 읽으면 특히 이런 대승경전들을 읽으면 천신들이 위호를 하게 되요. 있던 마도 사라집니다. 도망을 가요. 부처님 당시에 어떤 아이가 수명이 일주일 밖에 안 남았어요. 그래가지고 부처님.. 스님법문/월호스님_즉문즉설 2013.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