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법문/월도스님_BTN즉문즉설

월도스님 BTN즉문즉설 4_7. 중2, 사춘기 아들의 교육

Buddhastudy 2017. 7. 12. 19:14


사춘기의 아이들이 방황을 많이 하는데,

그 이유 자체는 뭐냐 하면,

공감의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부모와 자식이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아서 일어난 현상들이 무척 많다고 볼 수가 있죠. 어머니들이 자식을 대하는 경우들을 보면, 이 세상에 안 귀한 자식이 없잖아요. 너무 귀하다보니까 잔소리를 많이 해요? 안 해요? 정말 나는 너무너무 귀해서 잔소리를 한 것인데, 아이는 받아들입니까? 안 받아들입니까? 지긋지긋해요. 그러니까 이것 자체가 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정신이 필요하다. 아이와 공감하기. 그런데 대게 보면, 귀한 자식일수록 공감을 하기 보다는 뭔가는 강요하는 것이 너무 많거든요. 그래서 아이의 이야기에 귀 기울일 수 있도록 해라.

 

그 다음에 사춘기일 때

사춘기이기 때문에 그럴 것이라고 방치하지 마시고,

잘못된 부분이 있을 때는

간결하게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간결하게 지적을 해야 되는데, 꼭 지적을 길게 합니다. 교장선생님한테 훈시 듣는 것도 지겨운 데 엄마아빠가 훈시를 하면 아주 너무 지루해지거든요. 그러니까 반드시 그 사춘기 아이들이 잘못된 것이 있을 때는 지적을 하되, 짧게 지적해라. 그리고 그 아이를 어떻게 해야 돼? 비난하지 마라.

 

대게 우리어머니들이 비난을 하는 게 뭘 비난을 하냐하면, “넌 누구를 닮아서 그러냐?” 이거야. 그리고 누구 뱃속에서 나왔느냐?” 지 뱃속에서 나왔지 남의 뱃속에서 나왔냐. 그리고 누구를 닮았겠어요. 뻔히 본인을 닮았겠죠. 그런데 문제는 뭐냐 하면 비난하기를 좋아합니다. “나는 안 그런데, 네 아빠를 닮아서 그렇다.” “나는 안 그런데 외갓집을 닮아서 그렇다는둥. 그러면 아이 입장에서는 속이 상해요. 그러니까 그 속상한 일로 반항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요? 간결하게 지적하게 공감해 주기.

 

엄마도 옛날엔 그랬어. 아빠도 그랬거든요. 그런데 살아보니까 그게 아니더라. 라고 하는 것으로 간결하게 지적해주고, 공감해주라는 거죠. 그리고 그 자녀분들을 사춘기정도만 되면 아이들이 어머니를 떠나려고 해요. 아버지를 떠나려고 하거든요. 평상시에 부모님 모임에도 잘 따라다녔던 아이들이 중학교정도만 가면 가요? 안 가요? 절대 안 가요. “다녀오세요. 라면 끓여먹을게요.” 하고 안가잖아요. 왜 그럴까요?

 

가서 들어보니까 본인에 해당되는 얘기는 하나도 없어요. 당신들 이야기지. 당신들이 먹고, 당신들이 부딪히고. 아이들은 곁에서 곁들이 정도만 먹고 가는 것은 아이들이 지루 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닙니까? 화재거리가 뭐가 되어야 되지요? 아이가 중심이 되는 모임이 있어야 되는데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은 모임이 연속되다보니까 아이들은 방치될 수밖에 없습니다. 부모 입장에서는 모르는 거예요. 내가 방치를 했는지 안 했는지도 모르고. “. 내가 이렇게 맛있는 것을 제공했는데, 너는 왜 그게 불만이냐?”라고 이야기 하거든요. 세상은 먹는 게 능사가 아니에요. 아이와 눈높이를 함께 하는 게 중요한 부분이거든요.

 

그리고 그 나이가 되면 어머니 아버지로 부터 자꾸 멀어지려고 할 때 뭐가 중요한 겁니까? 스킨십이 필요해요. 스킨십이. 하루 종일 공부하고 온 그 아이를 그냥 알아서 하겠지.”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어머니 가슴으로 안아주면서 얼마나 힘들었니. 많이 힘들지.” 라고 위로하고 격려했을 때 그 아이는 결코 딴 데로 갈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 아이가 있는 가운데, 아이가 듣는 가운데 직접적인 것이 아닌 간접적인 화술을 통해서 아이를 주제로 대화 나눌 수 있는 부부의 대화를 연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아이가 지금 이렇게 하고 있어. “아이가 이렇게 힘들어 하는 것 같아요. 이거 어떻게 하죠?” 라고 한숨을 쉬어서, 부모가 진실한 대화를 하다보면 그 아이는 귀를 열고 듣게 되어 있습니다. 그 대화의 내용이 본인의 내용이라고 생각을 하면 가슴이 뭉클해집니다. 그 아이는 어떤 경우에 문제아로 남고 싶어도, 그 부모가 걱정하는 그 목소리에 결코 딴 곳으로 갈 수 없습니다.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감하기입니다.

그리고 함께 눈높이를 맞추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 겁니다.

 

그리고 그 아이는 저절로 크는 아이가 아니고 부모의 걱정을 통해서 공감하는 아이로 자라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시켜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 다음에 설명하는 부모가 되시기 바랍니다. 그것은 넌 몰라도 돼.”라고 하는 것 보다는 사실은 이만저만해라고 타협할 수 있고, 서로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가 된다면 그 아이는 아이로서 그 가문의 존재감을 인식할 겁니다.

 

그 다음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관심과 사랑입니다. 그리고 어떤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비난하는 언어는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우리의 과거에 우리 부모님들이 보면, 이 언어를 구사하는데 있어서 따뜻한 언어이기보다는 마구잡이 언어를 구사했던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

 

그렇게 하지마시고, 아이도 인격이다. 그리고 그 아이도 반드시 우리 가문에 한 일원이라고 하는 것을 인정해줬을 때 보다 깊이 있는 책임감을 통해서, 보다 성숙한 아이로 사춘기를 잘 극복하지 않겠나, 그런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