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과학·북툰·SOD

[Life Science] 앞으로 더 커지고, 많아집니다.. 곤충 대발생의 충격적인 이유 ㄷㄷ

Buddhastudy 2024. 7. 9. 18:40

 

 

지난 5월에는 동양 하루살이가 폭발적으로 등장하고

6월에는 러브버그라는 곤충이 도심을 가득 채웁니다.

 

그런데 과연

이 곤충들이 끝일까요?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특정 곤충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는 뉴스가 자주 보입니다.

놀랍게도 이러한 곤충의 증가는

현재 지구의 급격한 기후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죠.

 

러브버그의 경우는

우리나라의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며

유충이 성충까지 성장하는 확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대량 발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더 무서운 문제는

이러한 기후변화의 영향이

다른 곤충들에게도 적용되고 있다는 거죠.

 

서식지의 온도와 습도가 올라가면

피해를 받아 수가 줄어드는 곤충들도 있지만

꽤 많은 곤충들이 더 일찍 알에서 깨어나오게 되고

더 빠르게 성장하며, 더 많이 생존해서, 더 많이 번식합니다.

 

그래서 슬프지만 자연스럽게도

변화되는 환경이 잘 맞는 특정 곤충들은

몸집이 더 커지거나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심지어 열대와 아열대 지역의 곤충들이

따뜻해진 우리나라 환경에 적응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무섭죠?

 

예전만 해도 기후변화는

우리와 아무 관련 없는 이야기 같았는데

이제는 우리 삶에 너무나 밀접하게 들어와 있는 것입니다.

 

 

다시 러브버그로 돌아와서

이 수많은 러브버그들의 알들은

모두 어디에 있을까요?

 

우선 러브버그는 어떤 곤충일까요?

얼마 전 코코보라 채널의 코코님과 풋살을 하러 갔는데

주차장에 러브버그가 정말 많았습니다.

그래서 바로 러브버그를 잡아서 실험실로 달려왔습니다.

짜잔~!

 

여전히 짝짓기 중입니다.

러브버그는 암컷이 성체가 되자마자 짝짓기를 시작해서

3~4일 동안 지속적으로 짝짓기를 하다

알을 낳고 죽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대부분의 개체가

짝짓기 중인 거죠.

 

암컷과 수컷이 함께 다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대부분 수컷이 암컷에게 그냥 끌려다닙니다.

나중에는 거의 죽어가며 매달려 있었습니다.

 

이러한 러브버그는 성체 시기가 길지 않기 때문에

짧은 시기 동안만 대량 발생하여 짝짓기를 하고 사라집니다.

 

그렇다면 알은 어디에 있을까요?

우선 암컷을 지켜보다 보니

이렇게 알을 낳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자세히 보면

이렇게 쌀알 같은 알들이 여러 개 이어져 있는 형태입니다.

암컷 한 마리는 수백 개의 알을 낳는데,

러브버그는 흙이나 낙엽이 많이 쌓인 장소에 알을 낳습니다.

 

그래서 연구원들이 올해 4월 북한산 흙 속을 검사해 본 결과

이미 러브버그의 대발생이 예측되었을 정도로

많은 유충들이 발견되었었죠.

 

다행히 러브버그 유충들은

토양의 유기물이나 썩은 낙엽을 먹으며 자라기 때문에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유익한 역할을 해주죠.

 

그리고 러브버그의 날개를 살짝 들어보면

여기 곤봉 같은 특이한 기관이 보이죠.

이것은 뒷날개가 변형되어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평형곤이라는 부위로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들에서 나타나는 기관입니다.

 

파리목에는

파리나 모기 등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해충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지만

다행히 러브버그는 해충이 아닙니다.

오히려 꽃의 꿀을 먹으며 식물의 수분을 돕는 익충에 해당하죠.

 

하지만 혐오스러운 생김새와 많은 개체수로 인해

많은 민원이 들어와서 방역 작업을 실시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역 작업은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파괴해서

또 다른 유해한 생명체가 대량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곤충들에 대한 잦은 방역과 제거는

좀 더 신중히 생각해봐야 할 문제로 여겨지고 있죠.

 

 

요즘 사람들은 조금만 불편하면

우선 제거하려고 드는데

현대의 인간들은 다른 종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점점 잊고 있다

생물학자들의 경고에

좀 더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영상은 여기까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