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09)

즉문즉설_법륜스님(제20회) 자식의 출가와 부모의 자세

Buddhastudy 2010. 11. 22. 23:00

  방송 보기: BTN

 

부모니까 자식이 출가했다 하면 좀 섭섭하고 가슴 아프지 않는 사람이 없을 거요. 그런데 부처님 당시로 한 번 돌아가 보세요. 부처님 부모님은 자식이 없어서 40이 넘을 때까지 온갖 기도를 했습니다. 그래서 정말 어렵게 어렵게 얻은 아들이었어요. 그런데 그 아들이 태어나자 마자 또 부인이 먼저 돌아가셨어요. 그렇게 귀하게 키운 아들 물론 양모가 들어와서 새어머니가 들어와서 잘 키웠습니다. 그런데 내 아들이기도 하고 이 나라를 이 끌어 가야 할 다음 왕이 되야 할 아들이에요. 그런데 그 아들이 출가한다 하면 늙은 아버지가 어떻겠어요? 또 결혼을 해서 부인이 있었는데 그 부인의 입장에서 어떻겠어요? 또 결혼해서 애기를 낳았는데 그 아이입장에서 어떻겠어요.

 

이렇게 생각하면 출가를 못하죠. 그래서 부처님은 출가하고 싶은 마음, 출가의 원을 내고 10년 이상 출가를 못했어요. 부모의 눈물, 아내의 눈물 이런 것 때문에. 그러나 내가 비록 이 세상에 살면 가족간의 따뜻한 사랑은 있고, 서로의 보살핌은 있고, 맛있는 음식과 따뜻한 잠자리는 있고, 좋은 집은 있을지 몰라도 이 생사윤회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나는 이 생사 윤회에서 벗어나야 되겠다. 나뿐만 아니라 이 세상에서 고통 받는 사람들이 고통 없이 사는 해탈의 길을 내 반드시 찾아야 되겠다. 그래서 부모의 만류와 눈물도 뿌리치고, 아내의 눈물도 뿌리치고, 아이가 잠들었을 때 몰래 집을 떠나갔습니다.

 

이렇게 연락도 안주고. 그때 시종을 돌려보내면서 이렇게 말했죠. 제가 천상의 복락을 구함도 아닙니다. 천상의 복락을 구하기 위해서 가족의 가슴을 아프게 하려는 게 아니다. 참으로 일체중생의 해탈을 위해서, 새로운 길을 찾아서, 저는 떠나갑니다. 누구의 꼬임에 빠져서도 아닙니다. 아버지나 가족에게 불만이 있어서도 아닙니다. 제가 이 도를 성취하면 반드시 돌아오겠습니다. 이게 원이라 그래요. 불평불만이 있어 떠난 게 아니. 부처님은 가장 지혜로운 길을 갔지만 아버지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저 아이가 어리석은 길을 간다. 왕자로 태어나서 이렇게 호사하게 살다가 어떻게 저 산야에서 노숙을 하며 정진을 할 수 있겠느냐. 다른 사람은 다 해도 너는 못한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부모라는 것은 어느 정도냐? 부처님이 되셨어요. 깨달음을 얻고 부처님이 되시고. 제자가 수천 명 수만 명이 됐어요. 큰 나라. 만약에 카필라 성이 한국만 하다면, 당시의 마가다국이나 코살라국은 미국이나 중국 같은 큰 대국입니다. 그 대국의 왕이 부처님 법에 귀의했어요. 그 정도로 유명한 인사가 되셨어요. 그래서 아버지는 자랑스러웠어요. 그런데 아들이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 아들이 왕궁에 돌아와서 식사대접을 하면 받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왕궁에 들어오지를 않아요. 길거리에서 밥을 얻어먹고 있어요. 그 부처님의 제자라고 하는 사람들 보니까 전부 거지들이에요. 얼마나 실망을 했는지 몰라요. 그래서 부처님하고 부처님을 야단치는 그런 장면이 나와요.

 

어떻게 길거리에서 걸식을 할 수 있느냐? 왕족 출신이 말이야. 그러니까 부처님이 이것이 저희 가문의 전통입니다. 했더니. 석가족 가문에 걸식이 어디 있느냐? 이것이 바로 출가 사문의 전통입니다. 부처님은 이미 가문이다 하는것을 떠나 있었어. 그래서 아버지가 그 자기 아들 주위에 있는 사람. 그 사리프트라, 목건련존자. 굉장한 사람인데도 그 껍데기만 보고 너무너무 초라해. 그래서 왕의 명령으로 석가족 젊은이 중에 인물 잘 생기고 똑똑한 거, 많이 뽑아가지고 출가 시켰어요. 그래서 적어도 부처님 옆에 딱 이렇게 있으면 허우대가 멀쩡한 것들이 옆에 좀 있어야 될 거 아니오.

 

그래서 이 가운데 나중에 다 말썽이 생긴 거요. 교단을 분열시키고. 부처님을 헤치려고 하고. 이런 사람들이 다 이 석가족 사문중에서 나왔어요. 이게 부모 심정이오. 이것이 부처님을 돕는 게 아니고, 부처님의 길에 누가 되는 길이다. 부모가 자식을 보고 뭐라 그랬어요? 지혜롭지 못해서 이랬어요. 지금 출가 한 게 지혜롭지 못한 길이라는 거요. 이게 부모심정이오. 지혜롭지 못 한길이 아니라 지혜로운 길이다. 이렇게 말해야 되. 떡 앉아서 참선을 해 보세요. 온갖 망상이 들죠. 잠시 한 시간, 두 시간 해도 망상이 치성한데 열흘이고 100일이고 하면 아주 어릴 때 생각까지 다 떠오릅니다. 그럼 이렇게 오래 명상을 해 보면 제일 가슴에 밑바닥에 맺혀서 떠오르는 게 뭘까요? 부모에 대한 생각입니다.

 

여기서 부모가 자꾸 아들을 생각하면서 울고불고 잡아 당기면 그 아들이 기도나 명상시간에 부모가 늘 번뇌 망상이 되어 떠돌아서 수행에 가장 큰 장애가 됩니다. 마치 돌아가신 분을 계속 울면 영가가 가지 못하고 무주구혼이 되듯이. 그래서 돌아가신 뒤에는 어떤 이유로 돌아갔든 어떻게 해야 됩니까? 안녕히 가십시오. 왕생극락하옵소서. 탁 놔 줘야 됩니다. 그처럼 아들이 출가를 했으면, 아이고 우리 아들 훌륭하다. 참 잘 갔다. 그래서 탁 놔 줘야 되. 혹시 아들이 걱정이 돼서 엄마 나때문에 걱정이 많지?’ ‘아니다 정말 좋은 길을 갔다. 그러니 어미는 걱정하지 말고 부지런히 정진해라. 나도 기도할게.’ 이렇게 해 줘야 아들이 수행이 잘 된다 이거요. ! 놔 줘야 되. 안 그러면 훌륭하게 못됩니다. 그러니까 놔 주시라 이 말이오.

 

그러니까 우리아들 수행 잘 하게 해 주세요. 이렇게 하지 말고. 우리아들이 참 잘 갔다. 그러니까 나도 아들 따라 정진을 해야 되겠다. 이런 마음을 내셔야 됩니다. 그래야 아들이 훌륭한 스님이 될 수가 있다. 그러다가 아들이 그만두고 집에 돌아오면. 지금 같이 하면 왜 또 왔니?’ 또 난리 입니다. 돌아오면, ‘아이고 잘 왔다.’ 기꺼이 받아 주셔야 되. 가거든 잡지 말고, 오거든 막지 마라. 3년 공부하다가 돌아오면 실패한 겁니까? 앞으로 이 세상 잘 살겠습니까? 잘 살겠지. 어떤 사람은 하루도 가서 못해봤는데 3년이나 하고 왔으니까. 5년이나 하고 왔으니까. 그런데 이 때는 또 창피해서 못살겠다. 5년이나 공부해 놓고 팽개치고 오면 어떻게 하냐? 또 이러면 안 되요. 다시 받아서 아이고 그 만큼 했으면 됐다. 나는 하루도 못했는데 너는 3년이나 했구나. 그러니 부처님 법 잊지 말고 정진해라.’ 이렇게 도와 줘야 된다. 그런 마음으로 정진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것으로 마치고 다음 주에 또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