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멘토·코딩교육

[인생멘토 임작가] 완전학습을 위한 학습전략 - 조직화 유의미화 메타인지 예습복습 (2/6)

Buddhastudy 2024. 2. 15. 20:17

 

 

#조직화 전략

 

이렇게 간단히 정의 위주로 중학교 수학 교과과정에서

소인수분해 단원에 대해 학습해 보았는데

이렇게만 학습하게 되면

지금까지 나온 여러가지 개념들의 위계성을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각 개념들이 가지고 있는 연계 정보라는

중요한 학습 지식을 가지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학습한 개념들을

마인드맵을 이용해서

조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소인수분해를 하는 이유는

최대공약수를 구하고

또 최대공약수로부터 최소공배수를 구하기 위해서라는 걸 학습했어요.

 

그리고 새로 학습한 개념들을 나열해 보면

거듭제곱, 소수, 합성수, 소인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라는 개념을

새롭게 학습했습니다.

 

이제 이 개념들을 연관관계에 맞추어서 조직화하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학습개념들을 조직화하는 과정에서

고차원적인 학습이 수행됩니다.

정말 그렇습니다.

한번 해보시면 압니다.

 

그래서 저는 다음과 같이

이 학습내용들에 대해 조직화 작업을 했습니다.

소인수분해는 합성수를 소인수들로 분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수의 곱이 합성수를 이루고

합성수를 소인수로 분해하는 작업을 소인수분해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합성수를 소인수분해 할 때

거듭제곱의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더 간편함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소인수분해를 통해

자연수 2개 이상의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할 수 있고

최대공약수가 구해지면 최소공배수 또한 쉽게 구해지므로

이와 같은 일련의 순서로

지금 학습한 소인수분해 개념을

마인드맵으로 간략하게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모든 개념들이 연결되었으므로

각각의 개념을 기술하는 정의를

간략하게 각각의 개념 위에 적어주고

개념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요점도 간략하게 적어주면

조직화가 완성됩니다.

 

이렇게 개념들에 대한 조직화 작업을 하게 되면

개념들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게 되고

개념들간의 위계에 대해서도 이해가 깊어지면서

교과서에서는 단순하게 나열식으로 설명되었던 학습개념들이

가시적으로 서로 어떤 관계를 이루며 존재하는지가 표현되기 때문에

예컨대 소인수분해라는 개념이

여러가지 관련 부개념들과 어떤 관계를 이루며

중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가 더 정확히 이해됩니다.

 

그리고 이것이 최상위권 학생들의 공부방법이라는 거예요.

소인수분해라는 개념이 잘 이해되고 나면

이 개념이 인수분해와 방정식의 풀이를 위해 사용된다는 개념을

또한 이해하게 되고

이렇게 개념이해가 점점 확장되면서

학습내용의 난이도와 복잡도가 증가한다 하더라도

모든 개념들이 연계되어 이해되기 때문에

오히려 학년이 높아질수록

수학과목에서의 확실한 경쟁력을 보일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조직화 전략의 학습과는 반대로

고등학교 2학년쯤에 학생들 60퍼센트가

수학을 아예 공부하기를 포기하게 되는 것은

수학의 수많은 개념들을 잘 이해하지도 못하고

학습내용들이 조직화도 되지 않아

서로 연계해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공부하는 것이 고통스럽기 때문입니다.

 

이해가 잘 안 되는 학습은 심리적으로 고통스럽습니다.

조직화 전략을 사용하는 것엔 정답은 없습니다만

제가 지금 보여드린 것처럼

개념들 간의 역학관계를

개념들의 정의에 기반해서 정립해주는 학습활동이

조직화 전략에 꼭 들어가야 합니다.

 

이런 학습활동을 통해서

개념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고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 유의미화 전략

 

두 번째 학습전략은 유의미화 전략입니다.

 

유의미하다는 말의 반대말은 무의미하다는 것이죠.

우리의 뇌는 무의미한 정보를 기억하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뇌는 쓰잘데기 없는 정보는 기억하고 싶지 않아 해요.

 

그래서 정보가 우리에게 의미가 있어야 이해도 잘 되고

기억도 오래 남는 법입니다.

우리 뇌에선 스키마에 근거해서

모든 정보를 서로 연결시켜 놓는다고 했잖아요?

 

어떤 새로운 정보가 우리 머릿속에서 기억되려면

우리의 스키마를 거쳐서

다른 정보들과 연결이 잘 되어야 합니다.

 

우리의 스키마는 어떤 새로운 정보가 들어왔을 때

그 정보를 어디에 연결시켜야 되는지를 결정해 주는

판사와 같은 존재입니다.

그래서 스키마는

도서관의 사서와 같다고도 할 수 있어요.

 

학습내용을 연관관계에 따라 조직화하는 것도

정보들을 연결하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조직화 전략도

유의미화 전략의 일부라고 볼 수 있어요.

어떤 정보를 유의미하게 만든다는 말의 과학적인 해석은

그 정보가 다른 정보들과

뇌신경세포인 시냅스를 통해 연결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어떤 것을 이해하고 기억할 때

반드시 장기기억에 이미 존재하는 정보들과 연결하는 작업을 합니다.

 

그래서 뇌과학적으로 해석해 보면

새로운 정보가 기존에 이미 존재하는 정보들과

가능한 많이 연결되는 작업이 되었을 때

이해도 훨씬 잘 되고 기억도 오래 남는 거예요.

 

우리가 어떤 기억을 떠올리려고 할 때

잘 기억이 안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창 시절 친구 이름을 떠올리려고 할 때

기억이 안 나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 친구 얼굴은 분명히 생각나는데

그 친구 이름이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지 않으세요?

 

그럴 때엔 그 친구와 같이 했었던 경험들을 하나씩 차근차근 떠올리게 되면

잘 기억이 나지 않았던 그 친구의 이름이

우리의 장기기억에서 기적처럼 인출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기억들이

뇌의 저장공간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그래서 학습 맥락에서의 유의미화라는 것은

어떤 새로운 개념을 여러분이 배우게 될 때

그 새로운 개념을 여러분이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정보들과 연결시켜 보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가능한 아주 많이 그렇게 연결하면 할수록

그 개념이 훨씬 더 이해가 잘 되고 이해가 깊어집니다.

 

새롭게 들어온 정보가

기존의 정보들과 연결이 되면 될수록

이해가 깊어지고 장기기억으로 저장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유의미화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활동입니다.

 

역으로 말해

어떤 정보가 기존의 정보들과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쉽게 사라지게 된다는 겁니다.

그것은 마치 식물의 곁가지가 줄기에서 뽑히면

금방 시들어 버리는 것과 비슷합니다.

 

교육공학에선 어떤 정보를 유의미하게 만드는 방법으로서

정교화(Elaboration) 방법을 제시합니다.

 

정교하게 한다는 말의 뜻은

자세하게 설명한다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어떤 개념을 자세히 상세하게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면

그 개념에 유의미한 살들을 붙여야 합니다.

 

그래서 정교화의 구체적 방법으론

예시를 든다든가, 그림으로 보여준다든가,

다른 개념과 비교해주는 것 같은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저의 강의를 전부터 계속 들으셨다면 눈치채셨겠지만

저는 어떤 개념을 학생들에게 설명하려고 할 때

그 개념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여러가지 정보들을 예로 들어

설명해 주려고 굉장히 노력합니다.

 

강사 입장에선 그런 적절한 예들을 찾는 게 인지 부하가 많이 걸리는

일이긴 하지만 가능한 적절한 예들을 많이 찾아서 제시해 주려고 합니다.

 

저의 강의를 들으시는 분들이

개념이해가 쉽다고 많이 평가해주시는 이유는

제가 가능한 적절하고 재미있는 예들을 많이 언급하면서

개념을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에게 새로운 개념이

이질적이지 않게 만들어 주는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