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질문하신 거사님처럼 그 선생님이 그렇게 생각할 줄 알면 뭐 하러 종업원 하겠어요? 사장하지. 그러니까 고만큼 되니까 종업원 하는 거요. 그냥 그 사람에게 사장 자리 내 주기 싫으면 그 사람이 고만한 게 좋다. 이렇게 생각하셔야 돼. 나같이 생각하는 사람이 많이 생기면 경쟁이 심해져. 학원 운영이 잘 안 돼. 그만큼 생각하고, 고려하고,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사람은 그 회사에 2, 3년 있다가 배워가지고 더 좋은 아이디어 내서 딴 회사 차립니다. 고맙게 생각하셔야 돼. 내 말 잘 들으셔야 돼.
옛날에 이런 말이 있어. 내 입에 맞는 떡이 없다. 지금 결국은 내가 원하는 대로 안 돼서 생긴 문제인데. 세상은 내가 원하는 대로 안 됩니다. 또 내가 원하는 대로 된다고 해서 반드시 좋다는 보장이 없고, 그 선생님이 그 정도 수준이니까 지금 내 밑에서 일할 거 아니겠어요? 그렇게 생각하셔야 돼. 잘 보살펴 드려야 돼. 그런데 사람들은 능력이 있는 사람을 자꾸 원하는데, 능력이 있는 사람이 많이 들어오면 일시적으로는 잘 되는데, 결국은 그런 회사가 여러 개 생긴다는 결론이 나와요.
그러니까 똑똑한 사람이 있으면 자리를 빨리빨리 주고 물러나고, 어리석은 사람이 있을 때는 잘 깨우치고 이렇게 보살펴주면 돼. 옳다 그르다 이 문제가 원래 질문의 요지인데, 그런데 우리 거사님은 상대편의 인생에 간섭을 하셔. 그러니까 상대편이 어떻게 행동하라는 거까지 다 본인이 만들어서 있어. 어떤 보살님이 이렇게 저한테 하소연을 해. 스님, 시어머니 때문에 못 견디겠어요? 왜? 한집에 살아요? 아니요. 그런데 뭘 그래? 아이고, 따로 사는데요, 가끔 시골에서 한번 올라오시면요, 가만 못 있어요. 어떻게 하는데?
마~ 오시면 가만히 계시면 얼마나 좋겠어요. 밥해 드리면 밥 먹고, 구경시켜주면 구경하고, 이렇게 가만있으면 제가 얼마나 잘 모시겠습니까? 그런데 와서 가만 못 있는 다는 거요. 음식 하는데 일일이 간섭하고, 빨래하는데 간섭하고, 뭐하는데 간섭하고, 뭐하는데 간섭하고. 그래서 내가 그랬어요. 시어머니가 나무토막이가? 나무토막이야, 여기 갖다 놓으면 가만있고 저기 갖다 놓으면 가만있고 그러지. 시어머니가 나무토막이 아니잖아. 살아있는 생물이잖아. 그것도 살아있는 사람이잖아. 내 어른이잖아.
그런데 시어머니가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말하라는 지침을 내가 만들어 놔. 니는 우리 집에 오거든 주는 밥 먹고 가만히 있어라. 니는 구경시켜주면 구경만 하고 가만히 있어라. 이렇게 다 지침을 내려놓고 거기에 자기지침에 안 맞는다고 야단이란 말이오. 물건이 아니란 말이오. 살아있는 거니까. 그것도 사람이고, 어른인데. 자기도 자기 나름대로 생각이 있고 자기 나름대로 견해가 있고, 자기 나름대로 업이 있고, 습관이 있고, 사는 방식이 있을 거 아니오. 시어머니는 와서 어~ 음식 하는 거 보니까 자기가 이제까지 아들한테 했는 거 하고 맛을 보니까 간이 안 맞아.
그러니까 아이고 이렇게 짜게 하면 우리 아들이 안 되는데. 아이고 이거는 볶아야지 데치면 안 되는데. 이건 생 거줘야 되는데? 왜 삶았나? 이렇게 가르쳐주는데 이 며느리가 듣기 싫다고 잔소리라는 거요. 빨래하는 걸 보니까 우리 아들은 어릴 때부터 팬티도 다려 입혔는데, 그런데 이 며느리가 와이셔츠까지 안 다리고 톡톡 털어서 그냥 입히는 거요. 그러니까 아이고, 아이고 안 된다. 다려 입혀라. 다려 입혀라. 이러는 거요. 그런데 어떻게 이게 잔소리에요? 그럴 때 한번 생각을 돌이켜보면 이렇게 생각할 수 있잖아.
내가 남편하고 십 년을 살았는데, 내가 남편한테 잘한다 이거야. 그런데 나보다도 더 잘하는 사람이 이 세상에 딱 한 명 있어. 나는 껴안고 자서 많이 안다 하지만, 더 잘 아는 사람이 하나 있는데, 그거는 남편의 어머니란 말이오. 그건 낳아서 키웠으니까. 내가 아는 거 하고 비교도 안 돼. 그런데 내가 십 년을 아직 살아도 남편에 대해서 아직 다 몰라. 아직도 무슨 남자가 이런 남자가 다 있나? 이해 못 하는 부분이 많은데, 남편을 나보다 더 잘 아는, 만든 여자가 왔어.
그러니 그녀한테 좀 물어보면 어때요? 내가 이게 십년 경험한 거 보다 며칠배우서 더 많이 배울 수도 있잖아. 그죠? 그러니까 그걸 내가 돈을 주고 청해서 가르쳐달라 그래도 그 노하우를 누가 쉽게 가르쳐줘? 나 같으면 절대 안 가르쳐 줘. 그런데 이 시어머니가 촌사람이라 바보같이 돈도 안 받고 묻지도 않는데 자꾸 가르쳐준다고. 이게 문제요. 나 같으면 퍼뜩 노트 갖고 배끼겠다. 어~ 아~ 이게까지 반찬을 해줬더니 젓가락이 잘 안 가는 이유가 이 생 거 먹는 걸 삶았구나. 볶아야 되는데 내가 데쳤구나. 아~ 이게 간이 딱 맞는 줄 알았더니, 맨 주기만 하면 소금을 집어넣더니, 또는 짜다 그러더니, 아~ 이게 어릴 때 이렇구나.
아침에 나갈 때마다 짜증 내 더니 저놈의 영감쟁이 나갈 때마다 뭣 때문에 아침부터 짜증 내나 그랬더니, 와이셔츠 안다린 거보고 그랬구나. 모르고 알 기회가 굉장히 많잖아. 노트 딱 꺼내 가지고 따라다니면서, 뭐라고요? 다시 한 번 얘기해주세요. 이렇게 마음을 가지면, 이 사실은 잔소리가 아니란 말이오. 이걸 뭐라고 그러냐? 참을 것이 없다. 참는데 우리는 시어머니가 잔소리를 하는데 내가 참고, 수행자니까 참고 일해야 된다 하는데, 참는 거는 수행이 아니라고 그랬지. 참을 것이 없어야 된다. 참을 것이 없는 거는 바로 이렇게 배우는 자세를 가지면 참을 것이 없어져. 엄청난 노하우를 공짜로 얻는데.
그런 것처럼 우리가 자기가 정해놓고 니는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해라. 지금 말하는데 대중이 웃는 게 뭐요? 니는 선생이면 니는 어떻게 하고, 어떻게 하고, 어떻게 해야 된다 하는 거를 상대의 행동을 내가 미리 다 정해 놔. 그런데 상대가 내가 아니잖아. 그죠? 그러니까 내가 그런 거를 상대에게 요구하면 내가 화나고 짜증나지. 그러면 선생에게 사장으로서 또는 교장으로서 학교를 잘 운영하려면 선생님도 잘 가르쳐야 되나? 안 가르쳐야 되나? 가르쳐야 되겠죠.
가르쳐야 될 때는 바로 회사의 운영방침에서 얘기를 해야 된단 말이오. 그렇게 마음으로 요구하지 말고. 지금 얘기한 거 그걸 다 상대에게 객관적으로 얘기를 해야 될 거 아니오. 우리는 학생을 어떻게 가르친다. 가르치는 원칙은 뭐다. 그리고 관리는 어떻게 한다. 이렇게 얘기를 해야 된단 말이오. 그런데 우리가 학생을 가르쳐보지만 가르친다고 다 따라 하는 거 아니잖아. 그죠? 그럼 우린 이런다. 가르쳐서 안 하는 거는 그 사람이 안 할 뿐이니까 한 번 더 가르쳐주든지, 안 하면 정식으로 내가 안 되니까 앞으로 두 달 세 달 해보고 안 되면 교체를 해야 되겠다. 그렇게 통보를 하고.
당신 이거 안 하면 그만둬야 됩니다. 이렇게 통보를 하고. 나가면 어때요? 이미 통보를 했다는 거는 나가도 좋다는 얘기 아니오. 그래도 지금 그만둬야 돼. 이 말은 나가면 안 돼서 전화하고 붙들고 그러려면서 왜 그만둬야 돼. 그런 소리를 해? 앞뒤가 안 맞는 소리 아니오. 나가면 속이 시원해야지. 그러면 나가지 말아야 될 사람이면 나가라는 소리를 하지 말아야지. 그러니까 내가 계획성 없이 얘기했다는 거 아니오. 사장이 그래 운영해서 회사 잘 될까 모르겠네.
그렇게 해서 우리가 해보면 사람이 다 그래. 이 선생님들은 애들이 말 안 듣는다. 그러지만은, 교장선생님한테 물어보면 어때요? 선생이 말을 안 들어. 그런데 장학사한테 물어보면 교장이 말을 안 들어. 저기 설악산에서 전국 총장 100명을 모아가 지고 회의를 하는데, 강의시간에 오십 명이 앉아 졸더라는 거요. 다 똑같아. 인생은. 아시겠어요? 그러니까 선생이 그래야 되느냐? 그런 말은 그 말 자체가 올바르지 않아.
그래서 우리가 보통 일을 할 때 쓰는 말 중에 스님이 여러분들 보고 진도가? 그럼 그게 일종의 차별이에요. 또는 나이가 어리다고 그냥 니가 이거 잘못했다. 이래 말해야 되는데. 나이가 어린 게. 이건 일종의 차별이란 말이에요. 그러니까 아~ 선생 이거 잘못됐잖아요. 선생이 그래가지고. 이런 것은 일종의 비난에 해당되는 거요. 그냥 아무개 보살님 이거 잘못됐지 않았어요. 이래 말해야 되는데, 여자가 되가지고. 이렇게 얘기해 봐라. 그건 성차별에 해당돼요. 성차별. 그래서 우리가 어떤 얘기를 할 때 어떻게 하느냐? 이거 굉장히 중요한 거요. 어떤 표현을 할 때.
그래서 우리가 그냥 아~ 아무개 씨 이거 잘못했어요. 이거, 이거 문제 있지 않아요? 이렇게 얘기해야 되는데. 수행자가 돼서. 이건 상대에게 이렇게 울타리를 씌운단 말이오. 수행자라는 간판을 씌워서 사람을 꼼짝 못하게 만들고, 여자라는 울타리를 껍데기를 하나 씌워 놓고는 다 부려 먹으려고 그러고. 선생이라는 울타리를 씌워놓고 걸핏하면 선생이. 이래가지고 사람을 이렇게 옥죈단 말이오.
그러니까 가능하면 그런 이름으로 상대를 이렇게 옭아매면 안 되죠. 그런 아까 얘기한 데로 선생이 돼서. 그렇게 말하면 안 돼요. 그럼 기분이 억수로 나쁘다. 그런데 사람들이 저한테 그냥 아무 스님. 이거 이거 문제 있지 않아요. 이렇게 하는 거 하고, 스님이 돼서. 이렇게 얘기해봐. 나도 기분 나쁘지. 그래서 첫째 아까 얘기한 데로 상대편을 내가 원하는 대로 내가 선생은 요래야 된다. 요래야 된다. 내 머리대로 생각해 놓은 대로 상대가 맞추어지기를 바라는 게 첫째 문제고, 잘잘못이 없다지만은 굳이 잘잘못이 있다면 그게 잘못된 거지 그 사람이 잘못된 게 아니오.
울타리를 쳐놓고 니는 요 안에 들어와야 된다하는, 이게 잘못이 있다면 이게 잘못된 거요. 그 사람이 전화 안 한 게 잘못된 게 아니고, 니는 요런 요런 울타리 안에 들어와야 돼. 하는 이게 잘못된 거란 말이오. 그래서 육조혜능대사의 잘잘못이 있다면 그것은 자기 마음속에 있는 거다. 이렇게 말하는 거요. 밖에 있는 게 아니고. 나의 잘못된 생각이 잘못된 거지. 존재에 잘못된 게 없다. 이 말이오. 지는 제 생각대로 했을 뿐이오. 그 사람은 지 나름대로 물어봐라. 이유가 있지. 바빠서 못했던지. 안 그러면 뭐했던지? 잊어버렸던지. 안 그러면 교장선생이 그래 말해도 자기가 생각할 땐 별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던지.
그런데 우리는 내가 시킨 대로 안 하면 꼭 상대가 내 의견을 반대하는 것처럼 생각하는 데 꼭 반대 안 하고도 왜? 해야 된다고 하면서 깜빡 잊어버리고 못할 때도 있고.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우리는 자기 뜻대로 안 되면 오직, 저게 내 의견에 반대하는구나. 내 말 안 듣는구나. 이렇게 한 가지만 생각한단 말이오. 그런데 상태 편한테 들어보면 그 이유가 안 하는 이유가 한 가지만 있는 게 아니에요. 여러 경우가 있다. 이 말이오. 그러니까 그걸 물어봐야 돼. 왜 안 했는지.
그러니까 할 필요가 없다는 자기 나름대로의 소신이 있어서 안 했을 수도 있고. 그냥 교장선생의 말이 맞기는 맞는데, 어떻게 하다 보니 잊어버릴 수도 있고. 그런 경우를 짚어서 얘기를 했으면 됐는데, 아무튼 내가 몇 번 얘기했는데도 안 했다. 그 한 가지 이유로 그냥 안 하려면 그만둬. 이런 식으로 얘기하니까 상대가 기분 나쁘죠. 그런 것이 잘못이 있다면 그게 잘못이다. 이거요. 그리고 내 생각대로 돼야 된다 하는 이게 인간사 중에 제일 잘못된 거요. 잘못된 게 있다면 그거야 말로 잘못됐어. 자기도 자기 마음대로 안 되는데, 이 세상에 누가 내 맘대로 되겠어. 옛날 말이 얼마나 좋아. 입에 맞는 떡이 없다고. 내 입에 맞는 떡 없다.
제가 미국에 갔을 때 신도님들의 하소연이 이래. 스페니쉬 애들을 종업원으로 데려다 놨는데, 이놈의 새끼들 참~ 머리 나빠요. 그 가르쳐주면 고 딱 하면 되는데, 그걸 몇 번씩 가르쳐줘도 못해요. 그래. 그래서 패니쉬가 세 번 네 번 가르쳐 줘도 못해요. 그래. 그래서 스페니쉬가 세 번 네 번 가르쳐줘도 못하니 종업원 노릇 하지, 한번 딱~ 가르쳐주면 착~ 하면 그게 종업원 며칠 하겠어? 벌써 다 사장 돼 버렸지. 안 그러겠어요? 그러니까 그게 두 번 세 번 가르쳐줘도 못하는 게 나쁜 게 아니오. 두 번 세 번 가르쳐줘도 못하는 머리를 갖고 있고, 놀기 좋아하고, 그러니까 그 한국 사람들이 미국 가서 사장되는데 엄청난 기여를 한단 말이오.
우리 인도 학교가 그래요. 내가 늘 그러지. ‘일 불짜리는 일 불짜리만 일한다.’ 벽에 페인트칠을 하면 바닥 다 버려놓고, 바닥 칠 해라하면 벽에 다 발라 놓고, 그러니까 꼭 세 번 네 번씩 해요. 옆에서 딱 붙어가지고 하나하나 시키지 않으면 그냥 영~ 엉뚱하게 해 놔. 그러니까 이 일 시킨 사람이 막~ 짜증이 나죠. 그런데 첫째는 그 사람은 그런 거 해본 경험이 없어. 나는 경험 있으니까 이렇게 한 번만 가르쳐주면 쭉~ 할 거 같은데, 그 사람은 한 번도 그 일을 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내 생각하고 안 맞는 게 당연한 거고.
두 번째로 우리는 벽에 페인트칠 할 때 바닥에 페인트 떨어진 게 큰 문제이지만, 그 사람이 볼 때는 그게 왜 문제인지를 모르고, 야단을 쳐도 왜 야단을 맞는지 잘 몰라요. 그러면 종이를 깔고 어떻게 한다고 가르쳐줘야 되는데, 으레 알아서 할 거라고 생각한단 말이오. 그러니까 짜증만 내지, 지도를 안 해주는 거요. 그래서 인도사람이 저한테 요청이 뭐냐? 스님. 왜. 다음부턴 한국사람 보낼 때 좀 짜증안내는 사람 좀 보내주세요.
그 사람들이 볼 때는 한국사람은 하나같이 짜증을 낸다는 거요. 스님이 짜증 내는 사람만 골라서 보낸 줄 알아. 그러면 이 한국사람들이 특별히 짜증이 많은 사람들이냐? 그건 아니에요. 그런데 인도사람하고 만나면서 특히 짜증이 많아요. 왜? 한국사람이라면 으레 알아 할 만한 일이 알아서 안 되니까. 마치 나 같으면 알아서 할 일이 남이 알아서 안 되듯이. 한국 사람이면 으레 알아서 할 일이 인도사람은 안 되는 경우가 많단 말이오. 특히 그 동네 사람은. 그건 개가 발 안 씻고 방에 들어온다고 성질 내는 거 하고 똑 같아. 개가 발 씻고 들어오는지 모른단 말이오.
그렇게 자기 뜻대로 되기를 원하면 못살아. 그 사람 그렇게 살면 일찍 죽어. 그래서 옳고 그른 것이 없다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누구의 생각이 절대적으로 옳다. 절대적으로 맞다. 이렇게 없다는 거요. 그냥 사람은 생각이 서로 다르다. 이 말이오. 그 사람은 그 사람입장대로의 관점이 있고, 나는 나대로의 관점이 있다. 그런 측면에서 어떤 것이 옳고 어떤 것이 그르다고 할 수 없다. 그러면 서로 대화를 해서 어떤 게 더 효과적이냐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거요. 내가 옳다는 것을 전제하면 대화가 안 되죠.
어떤 게 바람직할까를 두고 대화를 하면 되는데, 이미 옳은 것이 있어버린 상태 하에서는 대화가 안 되죠. 그래서 제가 늘 예를 들잖아요. 산을 하나 놔 놓고 한 사람은 동산이라 그러고 한 사람은 서산이라 그러면 누가 옳아? 이쪽 사람은 동산이라 그러고 저쪽 사람은 서산이라 그러고 누가 옳으냐? 이거요. 그래서 그 산은 동산도 아니고 서산도 아니다. 이렇게 말하는 거요. 이 사람의 입장에 보면 동쪽에 있고, 저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서쪽에 있는 거요. 그것을 우리가 바르게 알게 되면 사업을 잘 할 거요.
그러니까 누가 동산이다. 그러면 어떻게 생각해야 된다? 아 저 사람 저 동네 사는구나. 전화 할 필요 없잖아요. 이렇게 말할 때, 전화를 할 필요가 있는데 이 자식아, 왜 없다고 그러냐? 이렇게 생각하지 말고, 전화할 필요가 없잖아요. 그럴 때는, 그 사람의 관점과 심리상태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잖아. 그죠? 저 사람은 저런 관점을 갖고 있구나. 그러니 내 관점하고 다르니까 같이 안 살든지, 안 그러면 관점을 조정을 서로 하면 된단 말이오. 내가 잘못했으면 바꾸면 되고, 그 사람이 문제가 있으면 설득을 좀 더 하면 된다.
그런데 이제 세상 사람, 지금처럼 그래 성질을 버럭 냈다가 또 가서 또 사과하고 한잔 먹고, 그래 살아도 돼요. 그래도 괜찮은데 다만 뭐가 좀 문제다? 명이 좀 짧아지고 재정 손실이 좀 오고 그럴 뿐이지. 뭐 오래 사는 게 중요하지 않다면 그래 살아도 괜찮아. 그런데 그게 조금 낭비다 생각하면 조금 자기가 바꿔야 돼.
'법륜스님 > 즉문즉설(정토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즉문즉설_법륜스님***제70편 남편과의 부부관계 (0) | 2012.05.23 |
---|---|
즉문즉설_법륜스님***제69편 참회의 문 (0) | 2012.04.11 |
즉문즉설_법륜스님***제65편 상처를 잘 받습니다. (0) | 2012.03.01 |
즉문즉설_법륜스님***제64편 서암 큰스님의 삶. (0) | 2012.02.10 |
즉문즉설_법륜스님***제63편 내 마음이 발견되어 집니다. (0) | 201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