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법륜스님의 하루

[법륜스님의 하루] 불교는 어떻게 현대 문명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을까요? (2025.05.15.)

Buddhastudy 2025. 5. 20. 20:35

 

 

  • 물질주의와 이기심의 극복: 현대 문명은 물질주의와 개인주의적 욕망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는 경쟁과 갈등을 심화시키고 환경 파괴를 초래합니다. 불교는 이러한 이기심을 극복하고 자비심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정신적 가치의 회복: 현대 사회는 물질적 풍요를 누리지만, 정신적인 빈곤과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불교는 명상과 수행을 통해 내면의 평화를 찾고 정신적인 가치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 제시: 불교는 단순하고 검소한 삶을 강조하며, 이는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불교적 가르침은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갈등 해결과 평화 증진: 불교는 자비와 이해를 바탕으로 갈등을 해결하고 평화를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갈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인간 존엄성의 회복: 불교는 모든 존재의 존엄성을 강조하며, 이는 인간 소외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 중심의 가치를 회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불교 운동이라고 할 수 있으려면 몇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첫째, 현대 문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안을 찾으려는

문제의식이 있어야 합니다.

자본주의 문명이라고 할 수 있는 현대 물질문명은

한계에 다다랐습니다.

지속 가능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이 있어야 합니다.

불교 운동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새롭게 시작됩니다.

그래서 이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은

환경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런 문제의식이 불교의 가르침과 결합하면

소비를 줄이고 검소하게 살아가려는 실천을 해 나가게 됩니다.

또한 빈부 격차가 점점 커지는 현대 문명의 한계를 인식한 사람들이

무소유의 가치를 점점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둘째, 새로운 불교 운동이 되려면 평화적이어야 합니다.

혁명을 폭력적으로 한다는 것은 불교적 운동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셋째, 불교의 평등 사상에 입각해서 모든 차별을 부정하고

극복하는 평등 사회를 지향해야 합니다.

 

넷째, 자기 마음의 어리석음을 깨우쳐서

마음의 평화를 가져오는 수행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됩니다.

 

다섯째, 자비 사상에 따라 이웃에 대한 연민을 가지고

함께 살아가려는 자세가 있어야 합니다.

 

이 모든 것은 연기 사상에 다 포함되겠지만,

새로운 불교 운동의 사회적 실천에는 이런 내용들이 담겨 있습니다.

어떤 부분이 더 강조되느냐에 따라 운동의 성격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사회에 대한 비판 없이 자선 활동과 환경 실천을 하며

비정치적으로 활동하는 운동도 있습니다.

반면, 술락 시바락사 박사처럼

사회를 직접적으로 비판하다가 감옥에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틱낫한이나 술락 시바락사처럼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면서도

평화적인 방식으로 변화를 추구하는 운동도 있습니다.

 

또 앞에서 언급한 암베드카르의 운동처럼

좀 더 강한 정치적 운동으로 발전한 경우도 있습니다.

 

성격은 조금씩 다르지만

이 모든 운동은 이러한 내용들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