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09)

즉문즉설_법륜스님(제66회) 유산한 아이를 위한 기도

Buddhastudy 2011. 1. 25. 23:00

  방송 보기: BTN

 

. 지금 우리나라 4050대 여성의 대부분이 이런 고민들, 이런 번뇌들을 갖고 있을 거요. 그 전에는 소위 다산이다 해서 애기가 생기는 대로 다 낳지 않았습니까? 형제들이 그래서 7~ 8이 보통이었는데. 이제 이 산아제한 하기 시작하면서 과거의 관습과 새로운 사회의 변화 사이에서 적응이 안돼서 강제 유산을 많이 시켰단 말이오. 요즘 젊은 이들은 또 이런 변화된 문화 속에서 유산이라는 그런 것을 통하지 않고도 자연조절을 해 가고 있는데. 그러다 보니까 강제유산을 시킨 분들은 마음속에 늘 그런 죄라 그럴까? 빚이라 그럴까? 그런 걸 안고 살게 된다.

 

그런데 한 번 이런 경우를 가지고 우리 한 번 생각해 보세요. 우리들 자신을 한 번 보자. 남은 고사하고 내 자식이에요. 내 몸 속에 있는 내 자식인데도 일단 몸 속에 있으니까 눈에 보여요? 안보여요? 안보이죠. 소리가 귀에 안 들리죠. 그 마음을 내가 알지 못한다. 그러니까 내 필요, 내가 결혼도 안 했는데 애가 생겼다. 그런데 애가 생기는게 결혼하고 안하고 관계가 있습니까? 없습니까? 없지. 결혼해도 남녀가 한 방에 안 자면 안 생기는 거고, 결혼 안 해도 한 방에 자면 생기는 건데. 결혼이라는 거 하고 관계가 없는 거에요.

 

그런데 우리가 아직 결혼을 안 했는데도 애기가 생겼다든지, 결혼을 했다 하더라도 아직 집을 제대로 마련 안 했는데 애기가 생겼다든지. 아들 낳고 싶은데 딸이라서 안 낳겠다든지. 이런 이유. 이게 다 자기의 이해 아닙니까? 그죠? 그러니까 자신의 어떤 생각과 이해를 중심으로 해서 제 자식도 소위 말하면 없앤다 이거야. 이게 우리 인간이에요. 그러니까 이것은 나 너 할 것 없이 이것이 현재 어리석은 중생의 인간성이에요.

 

그러니 우리가 나를, 우리들을 너무 선한 존재라고 생각하지 마라 이 얘기에요. 자기가 착한 척하는 사람 너무 많잖아. 이 세상에. 위대한 척, 성인인척. 우리인간이 그렇게 위대하거나 성인이 아니에요. 이게 인간의 어쩌면 본성이에요. 그 만큼 인간은 이기주의다. 결혼 했을 때도 그 남편 구하거나 아내 구할 때 보면 사랑이라는 건 포장이고, 하나라도 이익이 되는 걸 가지고 구한단 말이오. 물건 고르는 것보다 더 고르잖아. 선을 10, 20번씩 본다니까. 그러니까 이런 이기심을 갖고 우리가 살아가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첫째, 나를 너무 성스럽게 생각하지 마라. 두 번째, 다른 사람이 이익을 갖고 너무 노는걸 갖고 아니꼬워 하지 마라. 미워하지 마라. 나는 어쩌면 그들 보다 더 하다. 이걸 늘 자각해야 됩니다. 이걸 알면 이기적인 인간끼리 모여 살아도 갈등이 안 생긴다. 내가 이기적이듯이 상대도 이기적이다. 내가 내 중심으로 생각하듯이 상대도 자기 중심으로 생각한다. 이게 인간이다. 이것을 내가 받아들이면 상대가 이익중심으로 하거나, 상대가 자기 중심으로 하는 걸 보고 내가 용인 할 수가 있다 이거야.

 

한 번 이 세상을 돌아보면 이 세상에는 부모가 자식을 낳아 놓고도 제대로 돌보지 못하고 키우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우리나라 안에도 일부 있지만은 외국에 가면 가난한 나라에는 더 많다. 그러니 내가 여기에 대해서 진정으로 참회한다면 그 자기 자식을 돌보지 못할 처지에 놓여 있는 그 부모들의 마음을 생각하고, 부모로부터 돌봄을 받지 못하는 그 아이들을 생각해서 그 아이 하나를, 내가 얼굴도 모르지만은 내 아이처럼 생각해서 내가 후원을 하는 게 필요하다. 이것이 진정한 참회고 소위 죄를 갚는 방법이다 이거야.

 

혼자서 울고, 죄의식을 가지고 이렇게 하는 게 참회가 아니다. 우선 나의 어리석음을, 내가 욕심에 눈이 어두워서 제 자식도 죽이는 그런 우를 범했으니 첫째는 자기 죄를 참회 해야 되고. 두 번째는 그 참회의 적극적인 표시로 돌보지 못하는 아이들을 내가 돌보겠다 하는 마음을 내야 됩니다. 이런 마음을 내는 건 곳 보살심이죠? 적극적인 마음이란 말이오. 이게 원이란 말이오. 내가 한 명을 돌보겠다. 두 명을 돌보겠다. 이 세상에서 배우지 못하고 아픈데 치료 받지 못하고, 영향실조 상태에 있는 아이들을 내가 돌보겠다. 이렇게 마음을 내야 된다.

 

사람들은 북한이 저런 행동을 하니까 북한을 미워해서 거기에 어린애들이 굶어 죽는다. 영양실조라 해도 그 미움에 사로잡혀서 지원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나는 내 죄를 참회하는 마음에서 그 어린아이가 죄가 있는 게 아니죠? 그러니까 나는 이런 환경에서도 그 아이들 영향실조가 걸려있다. 그러면 자비심을 내서 오히려 지원을 한다. 그럴 때 오히려 나에게 더 적극적인 행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그럴 때 호법선신이 돕는 사람이 되고, 도리어 돕는 사람이 되고. 천주교 신자라면 하느님께서 보시기에 기뻐하는 사람이 된다.

 

선한 사마리아 인처럼 비록 기독교 신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그 행위를 보고 보살펴 준다 이런 논리가 된다 이 말이오. 그래서 참회기도를 하시고 그 다음에 발원을 하셔서 돌보지 못한 아이들을 돌보겠다. 내 아이처럼 돌보겠다. 이렇게 원을 세우시고 그렇게 보시를 행하시면 아마 마음속에 그런 죄의식은 없어지고 오히려 기쁨이 생길거다. 재앙이 오기는커녕 오히려 축복이 내릴 수가 있다. 그렇게 기도 하시면 되겠구요. 그 다음에 수행을 할 때는 불상이라든지 성모상이라든지 이런 성상이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그 어떤 사람들은 꼭 있어야 한다. 그러면 상에 집착하는 거고. 있으면 우상숭배다. 없어야 한다. 그것도 상에 집착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수행자는 상에 집착을 하지 않아야 한다. 우리가 어머니를 생각할 때, 그냥 생각하는 것 보다 사진보고 생각하면 생각이 더 잘나죠? 그러니까 우리가 부처님의 형상을 보면서 부처님의 지혜와 자비를 생각하면 도움이 되는 사람은 성상을 모시고 기도를 하면 좋다. 그런데 환경이 적절치 못해서 그런 성상이 없다고 하더라도 내 수행하는 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왜냐하면 우리의 기도는 밖으로부터 뭘 구하는 게 아니라. 나의 어리석음을 참회하고 나의 무지를 깨우치는 공부를 하는 거기 때문에 거기에는 그런 형상이 중요한 게 아니다 이거야. 그래서 내 죄를 내가 깊이 알아차리고 참회하고. 또 불쌍한 사람을 생각해서 자비심을 내고 그들을 돌보겠다고 원을 세우는데 형상이 뭐가 중요하겠습니다. 그러니까 그런 상이 없다고 해서 수행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그러니까 형편이 되면 몇 개 방이 있다면 방하나 정도를 기도 실로 마련해서 정진을 하면 좋고. 형편이 안되면 잠자는 방이든 응접실에서 기도를 해도 좋다. 형편이 되면 불단을 꾸며놓고 기도를 하면 좋고. 형편이 안되면 불단이 없이도 기도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 중요한 건 뭐에요. 마음이다. 그렇게 기도를 하시기 바랍니다. 자 오늘 여기까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