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행복학교를 3년째 진행하고 있습니다.
같은 일을 반복하다 보니 타성에 젖는 경향이 있습니다.
행복학교에 한 명을 입학시키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잘 알고 있습니다.
소중한 인연들이 모인 행복학교를 이런 마음가짐으로 진행해도 되는지 자책이 듭니다.
앞으로도 같은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하게 될 텐데,
제가 어떤 마음으로 진행해야 할까요?//
사람은 누구나 같은 일을 반복하다 보면
매너리즘에 빠지기가 쉽습니다.
누구에게나 다 그런 경향이 있어요.
요즘 매일 법회가 열리니까
삼귀의와 수행문 낭독을 거의 건성으로 하는 경우를 볼 수가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매번 수행문을 읽기는 하지만
일상생활은 수행문과는 정 반대의 마음을 내며 살기가 쉽습니다.
그래서 옛말에 ‘건성으로 백 번 잘하는 것보다
한 번을 정성 기울여 잘하는 편이 낫다.’ 하는 말이 있습니다.
누구나 다 반복이 되면 건성으로 하는 경향이 생기게 되고
그것이 큰 잘못은 아닙니다.
그러나 건성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면,
교육을 받는 사람이 감동을 받지 못합니다.
처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람은 좀 서툴기는 해도
열정이 있어서 감동을 줍니다.
반면 오래 진행한 사람은 매끄럽고 유연하게 진행하지만
건성으로 해서 감동이 적습니다.
서로 이런 장단점이 있습니다.
제가 젊은 시절에 수학 강사를 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동료 강사들 중에는 굉장히 재능 있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강사의 경력을 보고 학생들이 수강 신청을 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많은 학생들이 수강 신청을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꾸 학생들이 떨어져 나갑니다.
갈수록 학생 수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학생 수가 줄어들었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강사 본인은 아는 것도 참 많고
강의도 매끄럽게 진행하지만
정작 학생들이 뭘 모르는지를 강사가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본인은 학교 다닐 때도 공부를 잘했고, 지금도 아는 것이 많습니다.
그러니 학생들이 어떤 부분이 이해하기 어려운지를 잘 모르는 거예요.
그래서 강사 본인은 아는 것이 많은데
학생들의 성적 향상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던 겁니다.
그런데 내세울 경력이 없는 저 같은 사람은 어떨까요?
저는 잘 모르니까 예습하고 연습해서 열심히 학생들을 가르칩니다.
가르치는 기술은 좀 서툴지 몰라도
학생들이 뭘 모르는지를 잘 알아요.
왜냐하면 저도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유명한 강사 쪽으로 몰렸던 학생들이
점점 제가 가르치는 반으로 옮겨 왔습니다.
그래서 항상 정성을 기울여서 해야 하고, 상대의 입장에 서서 해야 합니다.
저는 인생을 살면서 늘 염두에 두는 명심문이
‘지금 출발합니다.’입니다.
지금도 매일 강의를 하지만 똑같은 강의를 하더라도
처음 하듯이 합니다.
똑같은 말을 백 번 해도 처음 하듯이 해야 사람들이 감동을 받습니다.
그런데 보통은 그렇게 잘 안 되죠.
감동이 없으면 결국 학생들도 떨어져 나갈 수밖에 없어요.
처음 진행해 보는 사람은 서툴러서 학생들을 잘 챙기지 못하고,
오랫동안 진행한 사람은 열정이 없어서 학생들이 감동을 못 느낍니다.
그래서 오랫동안 진행한 사람은 익숙하더라도
처음 하듯이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입니다.
나는 여러 번 경험해 온 것이지만 사실 상대방은 처음이잖아요.
인연의 도리로 말하자면, 씨앗은 같은데 심는 밭은 다 다른 것입니다.
같은 씨앗인데 오늘은 이 밭에 심고, 내일은 저 밭에 심고,
다음날은 다른 밭에 심기 때문에
싹이 나는 모습이 다 다릅니다.
그럴 때 농부는 어떤 밭인가를 고려해서 씨앗을 심어야 합니다.
습기가 많은 땅인지 건조한 땅인지, 기름진 땅인지 아닌지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심는다면
제대로 된 농사꾼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농사꾼은 항상 어떤 씨앗인지, 어떤 밭인 지를 확인해서 심어야 합니다.
그것처럼 질문자도 항상
‘처음 하는 일이다.’ 하는 관점에 서야 합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다 귀한 인연입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은 모두 처음 하는 경험입니다.
내가 여러 번 해온 일이라고 건성으로 하면
받아들이는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감동이 적습니다.
교감이 잘 안되고, 녹음기나 비디오를 틀어 놓고
공부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 항상 처음 하듯이 한다는 관점을 가져야 합니다.
'법륜스님 > 법륜스님의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륜스님의 하루] 갈등을 해결하고 평화로 가는 길. (2025.04.08.) (0) | 2025.04.14 |
---|---|
[법륜스님의 하루] 갈등이 생겼을 때 무엇이 문제인지 살펴보는 여섯 가지 기준. (2025.04.07.) (0) | 2025.04.14 |
[법륜스님의 하루] 배우의 꿈과 생계 사이에서, 저는 어떻게 중심을 잡아야 할까요? (2025.4.5.) (0) | 2025.04.09 |
[법륜스님의 하루] 대통령 파면이라는 불행이 되풀이되지 않게 하려면. (2025.04.04.) (0) | 2025.04.09 |
[법륜스님의 하루] 시어머니가 잔소리를 해서 힘들어요. (2025.04.03.)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