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금강경> 일상무상분 제9, 그것을 볼 차례입니다.
원문을 쭉~ 한번 해석해 보겠습니다.
수보리 어의운하오?_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냐?
수다원이 능작시념하되_ 수다원이 능히 이런 생각을 하되
아득 수다원과부아?_ 내가 수다원 과를 얻었다고 하겠느냐?
수보리언 불야세존_ 수보리가 말하되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하이고요_ 왜냐하면
수다원은 명위입류로되_ 수다원은 이름이 류에 든다는 뜻이로되
이무소입이니_ 그러나 들어가는 바가 없으니
불입 색성향 미촉법일세_ 색성향미촉법에 들지 않기 때문에
시명 수다원이니다_ 이름을 수다원이라고 합니다.
수보리 어의운하 사다함 능작시념 아득 사다함과부_ 수보리야 뜻에 어떠하냐? 사다함이 능히 이런 생각을 하되 내가 사다함과를 얻었다고 하겠느냐?
수보리언 부야세존 하이고_ 수보리가 말하되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사다함 명일왕래 이실무왕래 시명사다함_ 사다함은 이름이 한 번 갔다 오는 것이로되, 진실로 갔다 오는 것이 없기 때문에 이름을 사다함이라 합니다.
수보리 어의운하 아나함 능작시념 아득아나함과부아?_ 수보리야 뜻에 어떠하냐? 아나함이 능히 이런 생각을 하되 내가 아나함과를 얻었다고 하겠느냐?
수보리언 부야세존 하이고_ 수보리가 말하되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아나함 명위불래 이실무불래 시고명아나함_ 아나함은 이름이 오지 아니한다는 뜻이로되, 실로 다시 오지 아니함이 없기에 이런 고로 아나함이라고 합니다.
수보리 어의운하 아라한 능작시념 아득아라한도부_ 수보리야, 뜻에 어떠하냐 아라한이 능히 이런 생각을 하되 내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다고 하겠느냐?
수보리언하되 부야세존이시여 하이고_ 수보리가 말하되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실무유법 명아라한이니다_ 진실로 법이 아라한이라고 이름할만한 것이 있음이 없습니다.
세존하_ 세존이시여
약아라한이 작시념하되_ 만약 아라한이 이런 생각을 하되
아득아라한도라 하면_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다고 한다면
즉위착아인중생 수자이니다_ 곧 아인중생수자에 집착함이 됩니다.
세존아 불설아득무쟁삼매인중 최위제일이라 시제일 이욕아라한이라 하시나_ 세존이시여, 부처님이 말씀하시기를 내가 무쟁삼매를 얻은 사람 가운데 가장 제일로 욕망을 여윈 아라한이라고 말씀하셨으나
아부작시념하되 아시이욕아라한이라 하나이다_ 나는 이런 생각을 하되, 내가 욕망을 여읜 아라한이라고 하지 아니합니다.
세존이시여 아약작시념하되_ 내가 만약 이런 생각을 하되
아득아라한도라 하면_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다고 한다면
세존즉불설수보리 시요아란야행자니다_ 세존께서 수보리가 아란나행을 종아하는 사람이라고 말씀하지 아니했을 것입니다.
이수보리 실무소행일세_ 수보리가 진실로 행한 바가 없기 때문에
이명수보리 시요 아란나행_ 수보리가 아란나행을 좋아한다고 말씀 하셨습니다.
이것이 한문을 우리 말로 쭉~ 해석을 해본 겁니다.
무슨 소리인지 아는 말이 가끔 나오는데, 어떡하면 그 경에서 말하는 진실한 뜻을 이해할 수 있을까?
이걸 경학이라고 그럽니다.
경학이라고 하는 것은 경에서 말씀하시는 진실한 뜻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해를 하면 그 진실한 뜻을 자꾸 참구를 하고, 참구를 해서 그 경 뜻이 확실히 보여지면 그걸 경안을 얻었다고 그래요. 경 경, 눈 안.
경설이 있는데_ 경에서 말씀하신 설, 또 경지_ 경에서 말씀하신 뜻이 있단 말이에요.
그래서 그 뜻을 직접 보면, 경안을 얻은 거거든요.
경안을 얻고 나면 자기 지금까지 생각해 온 것 하고, 행동해 온 것 하고, 경을 통해서 얻은 것 하고, 어떤 건 합하는 것도 있고, 어떤 건 합하지 않은 것도 있거든요.
그것을 자꾸 수련을 하면 같아져요. 그걸 수행이라고 그럽니다.
금강경에서 이 주제가 사다함이니 아나함이니 이런 게 아니고요 반야바라밀입니다.
근본주제가. 반야바라밀이죠.
반야로 모든 걸 보는 건데요, 반야로 모든 걸 보면
첫째 뭘 보는가?
제상비상이라, 반야에는 제상이 비상이에요_ 모든 상이 상이 아니에요.
그게 반야입니다.
그리고 무아무법이에요_ 나도 없고 법이 없는 거예요. 무아무법.
중생이 모른다는 게 상이 상인 줄 알고 거기에 메이고, 나에 메이고, 아집이죠.
나와 세계를 구성하는 법에 메이고, 법집이란 말이에요.
이게 중생이 모르는 겁니다.
그리고 모든 중생이 겪는 것은
자업자득이고 자작자수라_ 스스로 업에 의해서 스스로 얻는 것이고 자기가 지어서 자기가 받는다.
항상 이게 딱 척도가 되어야 해요.
제상이 비상이고 무아무법이다.
이게 흔들리면 캄캄한 거예요.
상에 거리고 아에 걸리고 법에 걸리고
그리고 나는 잘했는데 왜 이 모양이냐.
자업자득이나 자작자수를 안 믿고요,
재수가 좋으냐? 운이 좋으냐? 누구 잘 만났냐? 이게 전부 자업자득 자작자수를 안 믿는 겁니다.
그러니까 반야바라밀이 뭔가?
상이 상이 아니다. 제상이 비상이다.
무아무법이다, 나도 없고 법이 없다.
나라는 건 몸에서 나나 그러잖아요.
그리고 몸을 구성한 지수화풍과 수상행식, 그 하나하나가 법인데 그게 없다라는 거에요. 오온이 개공이라는 거죠.
무아무법입니다. 오온개공.
그리고 좋은 일을 당하든 나쁜 일을 당하든 공짜가 절대 없습니다.
전부 고통받고 괴로움에 빠지는 게 전부 자업자득 자작자수 그거 안 믿어서
전부가 밖에서 뭘 구하기 때문에 생기는 거거든요.
그런 관점에서 보면 이런 것도 다 보이게 되요.
그러면 첫 번째가 4가지 성인의 과위를 설명하는 중에 반야부 이전부터 있었던 사과성인이라고 그럽니다. 성인은 사과성인이다.
제1과 결과 과, 수다원과, 제2과 사다함과, 제3과 아나함과, 제4과 아라한과
이게 4과성인이에요.
그럼 제1과 첫 번째 과위, 인과 할 때 인을 닦았으면 과가 생기죠.
그럼 첫 번째 수다원이 뭐냐?
한문에서 수다원은 명위 입류로되, 류에 드는 것이다.
여기서 류는 무리 유와 같은 뜻이에요. 종류 류, 무리에 든다, 이 말인데요
무리는 성인의 무리에 든다, 이런 뜻이죠.
성인의 무리에 드는데 지금까지는 어디 있었느냐? 중생의 무리에 있었죠.
중생의 무리에 있다가 성인의 무리에 들어간다.
또 예류라고 해서 참례한다. 중생의 무리에 있다가 성인의 무리에 참례한다.
그래서 예류라고도 하고 입류라고도 해요.
그럼 어떻게 하면 중생의 무리에서 성인의 무리에 들어가느냐?
본문에 그랬거든요.
불입색성미촉법일세_ 색성향미촉법에 들지 아니하면 성인의 무리에 들어요.
중생이 왜 중생이냐 그러면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하는 이 색성향미촉법에 집착하기 때문에 성인의 무리에 못 들어요.
이 색성향미촉법이 공하다는 거, 이걸 중생은 몰라요.
그래서 색성향미촉법에서 자꾸 뭘 구하려고 그래요.
이런 색성향미촉법이 상인데, 이런 색성향미촉법의 상이 비상이라는 걸 모르고
들리는 것도 따라 가보면 상이 아니에요.
보이는 것도 따라 가보면 상이 아니고
그럼 뭐냐?
꿈과 같다. 꼭두각시와 같다. 몽환이라고 그러죠. 몽환
다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손에 만져지고 하는 것이 몽환과 같은 상이 아닌 건데 중생은 그걸 몰라요.
그리고 유구개고라, 구함이 있는 것은 다 고통이다. 이걸 모르는 거예요.
제상은 비상이요, 유구는 개고라.
뭘 구하든지 마지막엔 고통이에요.
그런데 한참 구할 때는 구하는 결과가 고라는 걸 꿈에도 모릅니다.
그걸 중생이라고 그럽니다.
하여튼 이 세상에서 구하는 어떤 것도 끝내는 고통이에요.
그런데 그거 몰라요.
틀림없다고 저기서 메아리쳐 ㅎㅎ
유구개고에요. 구함이 있는 건 다 고통이에요.
색즉시공이에요. 색이라는 건 다 공이에요.
그래서 제상비상이요, 색즉시공이라, 이것을 철저히 알아서
색성향미촉법에 집착하지 않고, 구하는 행위를 일으키지 아니하면 수다원과가 되는 거예요.
첫 번째 딱 깨달음을 얻어서
“아 색이 공하구나”이것을 깨닫습니다.
두 번째, “구하면 고통이로구나”라는 걸 알아요. 그게 입관입도에요.
그런 관법에 들고 그런 도에 드는 겁니다. 들어갈 입, 볼 관
색이 공함을 보는 그 관법에 들어가요.
또 색이 공한 도에 들어가요, 그게 입도에요.
그렇게 입도를 하고 입관을 하면 그 경지가 색성향미촉법에 들지 않는다. 이거에요.
그렇지 뭐, 다른데 특별히 따로 들어가는 데가 있어서 입류라고 하는 게 아니다.
색성향미촉법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입류라고 한다, 이런 설명이죠.
그러면 확실히 도인 돼요.
색성미촉,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는데 집착하지 않고
구하는 행위를 멈추면, 모든 것은 형상에서 고통이 오고, 구하는 데서 고통이 옵니다.
상에서 벗어나고 구하는 행위를 멈추면 고통은 없습니다.
그 경지를 수다원과라 한다.
두 번째는 사다함인데요,
사다함이라는 것은 본문에 뭐라고 그랬죠?
명위 일왕래 그랬어요. 한번 갔다 온다.
구사론에서는 사다함의 아라한들은 천상에 가서 태어났다가 다시 한번 내려온다. 이렇게 설명해요. 그걸 일왕래라고 그래요.
물론 천상에 갔다 태어나는 것도 되죠. 사상으로. 현상으로 설명하면 그렇게 설명할 수 있어요.
그런데 수도로, 도를 닦는 거로 설명하면 도를 닦을 때 어떤 마음상태를 일왕래라고 그러느냐? 그게 좀 다르거든요.
초기불교는 사상설명이에요.
현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거, 일 사, 윗 상, 현상에서 나타날 수 있는 건 천상에 갔다가 다시 세상으로 내려온다, 이건데요
수도 설명은 수다원과 처음에 입도해서 색이 공함을 알았다 이 말이에요.
또 구하는 것이 고통임을 알았거든요.
그러면 첫 번째 오도, 도를 깨달은 첫 번째 단계인데,
색이 공함을 알고 구하는 것이 고통임을 알았어도
과거에 늘 구하던 습관이 있어서 구하려고 하는 마음이 일어나는 거예요.
눈으로 볼 때 구하려고 하는 마음이 툭 일어나고
귀로 들을 때 구하려는 마음이 툭 일어나고
코로 느낄 때 구하려고 하는 마음이 툭 일어나고요
그러면 도를 깨닫지 못한 사람은 구하려는 마음이 일어났을 때 구하면 되지만
도를 깨달은 사람은 안 구해요. 딱 멈추어 버려요.
그것이 한번 갔다가 온다 이거예요. 온다.
구하는 생각이 일어난다 이 소리예요.
그게 아주 중요한 겁니다.
'스님법문 > 종범스님_법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범스님_ 모든 법이 진실하다 [큰 스님께 듣는 깨달음의 길] (0) | 2021.06.28 |
---|---|
종범스님_ 복(福)은 화살과 같다 [큰 스님께 듣는 깨달음의 길] (0) | 2021.06.21 |
종범스님_ 세계를 깨끗하게 하는 방법 [큰 스님께 듣는 깨달음의 길] (0) | 2021.05.31 |
종범스님_ 무주상보시 [큰 스님께 듣는 깨달음의 길] (0) | 2021.05.24 |
종범스님_ 넓고 맑은 바다에 온갖 그림자가 비치는 것은? [큰 스님께 듣는 깨달음의 길] (0)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