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마인드·드러내야산다 480

[GMC인터뷰] 성공하지 못하는 혁명의 특징은 무엇인가? - 최진석 철학자

함석헌 선생님이 이렇게 말씀하시잖아요. ‘왜 혁명이 성공하지 못하는가...’ ‘혁명하려는 사람이 혁명되지 않은 채, 혁명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그래요. 우리가 지금 역사 퇴행적인 사건을 다룸에 있어서 그걸 다루는 우리 주체들이, 혹은 시민들이 성숙해 있어야 하죠. 최순실이 청..

[GMC인터뷰] 우리는 미움 받지 않고 살 수 있는가? - 하지현 정신과전문의

거절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가진 특징이 누가 날 미워할까 봐 두렵다는 것이 굉장히 큰데요 “실상은 사회에서 살면서 사람들이 나를 미워하는 건 당여한 겁니다.” 내가 위치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그런데 그게 나를 미워하는 게 아니라 내가 하는 일을 미워한다는 거... 그러니까 내가..

[GMC강연] 시대적 문제를 해결하는 프레임이란? - 최재천 교수

통섭적으로 풀지 않아도 풀릴 문제가 어디있나? 저는 오히려 반문을 하고 싶을 정도예요. 자, 어느덧 우리 사회에서는 이런 일들이 벌어지잖아요. 예전 같으면 그냥 전문가의 의견을 얘기할 수 있는 시절이 있었어요. 이런 예를 하나 들어봅시다. GMO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식품들, 이거 좋..

[GMC인터뷰] '쿨함'은 이 시대의 미덕인가? - 엄기호 사회학자

쿨함을 요구하는 사회, 어떻게 살아야 하나?// 저는 쿨한 사람 한 번도 본적이 없어요. 쿨한 인간일수록 얼마나 찌질한데요. 눈 앞에선 쿨한척하고 뒤에 가서 눈물 콧물 바가지로 흘려요. 제가 좀 전에 말씀드렸던 거리를 두고 배워야 된다고 하는게... 예를 들면 제가 실연을 당했어요. 실..

[GMC강연] 기계는 반드시 인간을 뛰어넘는다 - 김대식 교수

현재 기계들이 1~2년 전부터 딥러닝을 아주 잘하는 것이 몇 개 있습니다. 우선 물체를 알아봅니다. Seeing이 가능하고요, Listenig 듣기도 잘하고, 말도 합니다. 또 글씨도 읽고 글도 쓴다는 거죠. 정보를 조합해서 이해까지 하기 시작했다라는 것인데 문제가 있겠죠? 대부분 선진국, OECD 국가들..

[GMC강연] 비관과 우울에 빠진 사람들에게 - 김영하 작가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은 어떻게 보자면 이야기를 갖고 있긴 갖고 있습니다만, 나쁜 이야기를 갖고 있어요. 과거에 자기가 겪었던 일 중에서 좋지 않은 것만 모아서 지금의 자기를 구성한 어떤 에피소드를 만들어요. 예를 들면 이런 거죠. 옛날에 내가 이런 걸 잘못했고, 이런 걸 실수했고 ..

[GMC인터뷰] 결정장애는 어떻게 극복되는가? - 하지현 정신과전문의

결정장애 증상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말하는 것들이 “저는 구내식당이 차라리 좋아요” “회사에서 유니폼 입는 게 좋아요” “왜냐하면 신경 쓸 일이 없으니까” 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런데 이런 분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건 무엇이냐하면 이게 최선의 선택이 아닐 가능성에 대한 ..

[GMC강연] 청춘의 불안은 시대와 상관없는가? - 장하성 교수

사실은 돌아가고 싶지 않아요. 정말 돌아가고 싶지 않은 게 그 청년 시절에 미래의 막막함, 불확실함 내가 뭐를 해도 그것이 과연 어떤 결과를 낼지 확신이 없는 그런 구조. 그래서 사실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생각은 별로 없어요. 오히려 내가 조금 거 깨달은 한 10년 전으로 돌아가고 ..

[GMC인터뷰] '응팔'같은 공동체 형성은 가능한 일인가? - 엄기호 사회학자

<응답하라 1988> 같은 경우에 굉장히 상징적인 장면이 있습니다. 그게 첫 번째 장면인데, 첫 회때 보면 반찬이 돌고 돌잖아요. 그게 인류학에서는 그걸 선물이라고 그래요. 인류학에서 제일 중요시하는 것 중 하나가 ‘선물론’인데 주고, 받고, 돌려주고예요. 누군가가 뭔가를 주면 나..

[GMC강연] 실패는 더 이상 경쟁에서 오지 않는다 - 김난도 교수

먼저 ‘트랜드 분석이 얼마나 중요한가’ 라는 이야기를 조금 드리고 시작을 했으면 좋겠어요. 요즘 디지털카메라가 대세이지요. 사람들이 다 디지털카메라를 쓰는데요, 그래서 필름 카메라를 쓰는 사람들은 거의 없어졌다고 보면 됩니다. 재작년(2012년)이군요 벌써. 재작년에 코닥이라..

[GMC강연] 대한민국은 왜 복지국가가 되려 하는가? - 최재천 교수

우리나라에 종종 오시는 세계적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2007년인가 우리나라에 오셔서 당시 서강대학교 손병두 총장님과 대담을 하고 난 다음에 ‘IT 다음은 생태학’이란 제목으로 기사가 났어요. 우리나라는 지금 IT 강국으로, IT산업으로 매우 많은 돈을 벌고 있는데 세계적인 미래..

[GMC인터뷰] 우리는 범죄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가? - 이수정 범죄심리학자

범죄는 개인이 막을 수 있는 게 아니에요. 순전히 그 불행한 시간대에 그 불행한 장소에 있었기 때문에 범죄 피해를 당하는 거지 밤중에 화장실 가고 싶으면 남녀공용 화장실이라도 가야 하는 거잖아요. 그런데 운이 나쁘게 평상시에는 공용화장실 가도 피해를 안 당했지만 그날따라 그 ..

[GMC강연] 세상을 바꾸는 힘은 어디서 나오나? - 장하성 교수

미국에서 공부하고 거기서 조수 생활하다 한국에 90년에 돌아와서 보니까 한국 사회가 정말 기울어져 있더라고요. 특히 제가 공부한 경영학, 경제학, 금융 이런 구조에서 보니까 이건 도대체 어떻게 이런 정의롭지 못한 구조가 그대로 방치되고 있지? 그리고 어떻게 이게 당연화 되어 있..

[GMC인터뷰] 지금 시대에 필요한 리더는 누구인가# - 최진석 철학자

제 생각에는 지금 우리나라는 중진국 상위레벨에 도달한 다음에 새로운 비전을 설정하지 못해서 헤매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미래적인 비전을 보여주고 그 비전을 구성원들에게 설득할 능력이 있는 사람 그러니까 우리가 지금까지 했던 이야기만 계속 하거나 그다음에 사회를 보는 과거..

[GMC강연] 인간이 침팬지보다 나은 뜻밖의 요소 - 장대익 교수

그렇다면 인간의 모방 능력과 침팬지, 다른 영장류의 모방 능력은 어떤 면에서 다르냐, 모방을 하는 것 같지만 우리랑 뭐가 다르냐가 중요한 거죠. 그래서 실험을 했습니다. 아주 기가 막힌 실험인데요, 저렇게 박스를 만들어놓고 연구자가 저런 행동을 취합니다. 침팬지가 보고 있죠. 둘 ..

[GMC강연] 미래를 읽으려면 시인처럼 살라 - 김난도 교수

미래를 읽으려면 여러분 모두가 시인이 되셨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제가 우리 트렌드 헌터들, 연구원들한테 꼭 평소에 심심할 때 지하철 같은 곳에서 시집을 읽으라고 권합니다. 시가 뭐가 좋냐면요, 두 가지인데... 나비를 읽은 법이라는 시에요. 나비는 꽃이 쓴 글씨 꽃이 꽃에게 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