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6회 알아차림과 지혜 (42:43) 방송 보기: 불교TV 우리 마음이 뭘 안다 그랬어요? 바깥의 대상을 안다 그랬잖아요? 색성향미촉법이라고 하는 대상을 아는데, 이 대상을 예를 들어서 이런 잔을 알잖아요. 아~ 여기 잔이 있고, 시계가 있고, 종이가 있고, 이렇게 알잖아요? 그런데 이걸 알고 나서 이 잔이라는 것이 마음에 안 들어. 왜 저..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10.16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6회 알아차림과 지혜 (20:39) 방송 보기: 불교TV 지난 시간에 무명, 그러니까 어리석음하고요, 다섯 가지 장애요소라고 하는 수행을 방해하는 가장 큰 번뇌라고 하는 다섯 가지 장애요소에 대해서 공부를 했는데요. 다섯 가지 장애요소, 그러니까 다시 말하면 일종의 번뇌가 뭔가를 알고 나면, 이 번뇌에 대해서 어떤 식으로 번뇌를 ..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10.16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5회 5장애요소와 무명 (42:38) 방송 보기: 불교TV 그리고 세 번째 요소가 뭐냐 하면, 감각적 욕망. 다시 말하면 탐욕과 성냄이라고 하는 것이 가장 주된 장애요소입니다.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데. 이 두 가지만 일어나지 않아도, 여러분들이 사는데 고통스럽지가 않아요. 그런데 이 두 가지가 가장 우리 삶을 고통스럽게 하고, 또 우리..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10.16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5회 5장애요소와 무명 (19:57) 방송 보기: 불교TV 일주일 동안 잘 지내셨어요? 안부인사를 하는데 왜 박수를 치세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마음의 두 얼굴에 대해서 말씀을 드렸는데요, 그러니까 우리가 마음을 일으킬 때 현명하게 주의력을 주느냐? 또는 어리석은 주의력을 기울이냐에 따라서 우리 마음이 번뇌가 일어날 수도 있고 ..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10.16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4회 마음의 두 얼굴(전도몽상과 삼법인)(41:44) 방송 보기: 불교TV 그러면 이거는 결코 행복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인데도, 우리가 행복이으로 생각하는 것. 그 밑바탕에는 뭐가 숨어 있냐하면 그런 감각적 욕망이라는 것이 행복이라고 보기 때문에 즐긴단 말이에요. 그죠? 그것이 만약에 괴로움이라고 생각하면 그걸 즐기겠어요? 그건 아니라는 거죠. ..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10.09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4회 마음의 두 얼굴(전도몽상과 삼법인)(20:30) 방송 보기: 불교TV 지난번에 마음과 대상이라는 그 주제에 대해서 말씀을 드렸는데요, 그러니까 불교적으로 보면 마음이라고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간다고 하는 삶을 조금 불교적으로 분석을 해 보면, 우리 마음이라고 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어떤 대상을 만나면서 그 대상과 관계를 하는 것이 사실은 ..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10.09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3회 오온(42:33) 방송 보기: 불교TV 그래서 청정도론이라는 수행의 백과사전에 보면 물질과 정신에 대해 어떻게 비유를 했냐 하면 물질은 마치 걸어 다닐 수 있는데 눈이 없는 봉사로 비유를 했습니다. 장님처럼. 그리고 우리 마음은 뭐로 비유를 했냐 하면, 눈은 있는데 다리가 없는 절름발이로 비유를 했어요. 그러면 ..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10.02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3회 오온 (21:37) 방송 보기: 불교TV 지난시간에 사정제 팔정도에 대해서 간단히 말씀을 드렸는데요, 오늘은 팔정도에서 처음에 팔정도에 첫 시작이 정견과 정사유인데 정견이라고 하는 것에 첫 번째가 사성제에 대한 이해고요. 사성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성제를 이해해야 된다고 말씀을 드렸고요. 그 고성제..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10.02
[종범스님] 제14회 나는 불성이다 (44:03) 방송 보기: 불교TV 그런데 뭘 믿느냐? 불성에 대한 믿음인거에요. 나는 불성이다. 이 사대라고 하는 것은 구름과 같이 흘러가는 건데. 이 사대에 집착해서 불성을 모르니 그것이 중생이다. 불성에 대한 믿음이거든요. 그럼 불성을 가지고 있는데 자기가 업을 지어서 자업자득이고, 자작자수다. 이거를 .. 스님법문/종범스님_법문 2011.10.02
[종범스님] 제14회 나는 불성이다 (20:42) 방송 보기: 불교TV 오늘 법문은 나는 불성이다. 나는 불성이다. 이런 제목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조선시대에 서산스님께서 운수단가사라고 하는 의식문을 하나 편집을 하셨는데요. 거기에 무슨 말씀이 있느냐 하면 我有一券經아유일권경. 나에게 한권의 경이 있다. 不因紙墨成불인지묵성이라. 종이.. 스님법문/종범스님_법문 2011.10.02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2회 팔정도란 무엇인가? (42:14) 방송 보기: 불교TV 그거에 대해서 설명을 한 것이 바로 뭐에요? 집성제입니다. 집성제. 고가 일어나는 원인. 왜 그러면 우리 삶에서 이런 고통이 일어나는가? 그 고의 원인이 집성제인데, 여기는 집성제가 뭐라고 돼 있느냐 하면, 뭐라고 돼 있어요? 갈애라 그러죠. 가래. 그러니까 사실은 갈애를 대표적..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09.25
팔정도수행 바로알고 내려놓기_제2회 팔정도란 무엇인가? (19:43) 방송 보기: 불교TV 지난시간에 부처님께서 어떤 식으로 수행을 하셔가지고 깨달음에 이르셨고, 또 그때 깨달은 내용이 뭔가에 대해서 간단히 말씀 드렸는데요, 그때 인도 당시에 기본적으로 수행이라고 성행했던 것들이 대부분 ‘고행’이라고 그랬죠. 자기 몸을 학대하고, 자기를 학대하고, 괴롭게 .. 스님법문/일묵스님_팔정도 2011.09.25
[종범스님] 제13회 나는 누구인가 (42:14) 방송 보기: 불교TV 그 다음에는 나는 불성이다. 불성. 일체중생 실유불성. 일체중생에게 다 불성이 있다 이런 말 하시죠. 불성은 즉시여래다. 불성은 바로 부처님이에요. 그래서 중생에게 다 부처님이 있다는 거에요. 그럼 불성은 뭐냐? 이건 불생불멸 이거보다도 더 깊이 들어가서, 생노병사 여기에서 .. 스님법문/종범스님_법문 2011.09.25
[종범스님] 제13회 나는 누구인가 (19:15) 방송 보기: 불교TV 안녕하십니까? 오늘 법문은 나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 이런 제목으로 말씀드립니다. 옛날에 큰 스님들께서 나에 대한 법문을 많이 하셨습니다.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나하고, 다르게 말씀을 하셨죠. 우리가 보통 나를 부를 때, ‘누구세요?’ 그러면 ‘아무갭니다.’ 그건 명칭 .. 스님법문/종범스님_법문 2011.09.25
[전현수박사의 마음테라피] 제2회 세상의 이치 (42:27) 방송 보기: 불교TV 그건 뭐 저도 이런 걸 알기 전에는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런데 제가 우연한 기회에 86년도에 알게 되었어요. 그때 저한테 든 느낌은 눈이 쩍 열리는 느낌이었어요. 어~ 세상이 이렇게 되구나. 그때부터 저는 뭘 하다가 안 되면 아~ 내가 세상에 맞지 않는 뭘 원했구나. 저를 막 고치기 시..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28
[전현수박사의 마음테라피] 제2회 세상의 이치 (22:49) 방송 보기: 불교TV 그런데 열심히 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열심히 하지 않으면 아무런 결과가 없죠. 그렇지만 열심히 하더라도 안 되는 사람이 있고, 또 열심히 해서 잘 되는 사람이 있거든요. 안 되는 사람은 안 되는 뭘 했기 때문에 안 되는 거고, 잘 되는 사람은 잘 되는 뭘 했기 때문에 잘 되는 ..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28
[전현수박사의 마음테라피] 제1회 마음알기 그리고 다스리기(34:44) 방송 보기: 불교TV 여러분들 가정생활 하다가 여기서 뭐 그런 분은 없겠지만 아~ 옛날에 사귀었던 사람 생각나면 더 보기 싫어지죠. 사실 그렇기 때문에 추억은 고 달콤한 맛은 있지만 부작용이 많습니다. 필요할 때 잠깐 쓰는 게 좋아요. 그래 권장해서 이건 건전한곳이다 분류해서 제가 권장하기는 어..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21
[전현수박사의 마음테라피] 제1회 마음알기 그리고 다스리기(18:30) 방송 보기: 불교TV 마음이 이 세상 만물 중에서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보통 일체유심조다. 그러지 않습니까? 마음이 다 만들은 거다. 또 어떤 스님은 그러시더라고요. 팔만대장경 해인사 지키시는 분은 팔만대장경에 글자가 많은데 그걸 한자로 요약할 수 있데요. 마음심자로. 그리고 불교..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21
[진각종 밀교수행강좌] 제4강 불교의 가르침은 생활속에 있다 (41:36) 방송 보기: 불교TV 그러면 모든 일도 순조롭게 풀리는데. 이제 말씀드린 데로 자연의 어떤 현상이나 나의 현상이나 똑같다는 걸 지금 여러분 아셔야 됩니다. 자연에도 몸이 있고, 언어가 있고, 생각이 있고. 나도 몸이 있고, 언어가 있고, 생각이 있는 거예요. 맞죠. 그리고 이 세상에는 이렇게 생각하면 ..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14
[진각종 밀교수행강좌] 제4강 불교의 가르침은 생활속에 있다 (21:59) 방송 보기: 불교TV 안녕하십니까? 오늘 밀교수행강좌 시간에는 불교는 생활 속에 그 가르침이 있다하는 그런 내용입니다. 우리는 불교를 특별한 어떤 신비로운 또 불가사의한 어떤 것이 있는 것처럼 생각을 하는데. 실지로 부처님의 가르침은 일상생활 속에 그 가르침이 있습니다. 이 지난번에는 우리 ..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14
[진각종 밀교수행강좌] 제3강 수행은 왜 하는가? (42:29) 방송 보기: 불교TV 그래서 진각선종께서는 중생세계는 고통이 있기 때문에 고통에서 벗어나는 게 해탈이니까 우리 인간으로 몸을 받아서 고통은 뭔가? 물론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생노병사를 이야기했고 또 4가지를 이야기해서 근본팔고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거 다 접어 놔두고. 우리 생과 사를 접어..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14
[진각종 밀교수행강좌] 제3강 수행은 왜 하는가? (20:56) 방송 보기: 불교TV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밀교 수행, 강좌시간에 세 번째 시간으로 수행은 왜하는가? 여기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불교는 다른 종교와 달라서 수행이 목적입니다. 그리고 또 수행에서 얻어진 어떤 공덕이 있다면 공덕역시 목적이지요. 그러니까 시작과 마침이 모두가 다 수행으..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14
[진각종 밀교수행강좌] 제2강 삼라만상은 비로자나부처님의 빛이다. (42:25) 방송 보기: 불교TV 옛날에 그 큰스님의 이야기를 한 일 있잖아요. 큰 스님이 금생에 수행을 하면서 수행이 잘못돼서 욕심만 가득가득 갖고 있다가 나중에 죽어서 뭐가 됐냐 하면은 큰 구렁이가 됐어요. 제가 스님이라 그러니까 바깥 스님을 그런 것이 아니라 수행을 잘못하면 그렇다 이 말이에요. 그런..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07
[진각종 밀교수행강좌] 제2강 삼라만상은 비로자나부처님의 빛이다 (18:17)(수정 2017.08.18.금) 방송 보기: 불교TV http://www.btn.co.kr/pro/Program_detail.asp?ls_StSbCode=CATPR_12&PID=P594&DPID=55229 (수정 2017.08.18) 안녕하십니까. 오늘 밀교수행강좌 두 번째 시간입니다. 첫 번째 시간에서 밀교라는 것이 무엇인가? 거기에 대해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오늘 이제 좀 더 구체적으로 이제 우리 몸과 관계되는..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07
[진각종 밀교수행강좌] 제1강 밀교란 무엇인가? (41:59) 방송 보기: 불교TV http://www.btn.co.kr/pro/Program_detail.asp?ls_StSbCode=CATPR_12&PID=P594&DPID=55113 (수정 2017.08.18.금) 그래도 눈에 보여야, 중생은 견물생심이니까. 그렇죠? 물건을 봐야 마음을 일으키니까. 그게 중생이에요. 견물, 물건을 봐야 마음을 일으킨다. 그게 중생심이잖아요. 그러니까 천상 여러..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07
[진각종 밀교수행강좌] 제1강 밀교란 무엇인가? (21:36) (수정 2017.08.18.금) 방송 보기: 불교TV http://www.btn.co.kr/pro/Program_detail.asp?ls_StSbCode=CATPR_12&PID=P594&DPID=55113(수정 2017.08.18.금) 안녕하십니까. 오늘부터 밀교수행에 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흔히들 밀교라 그러면은 모두들 어렵게 생각하고. 또 한편으로 밀교라 그러면은 신비롭게 생각하는 그런 경향이 있습니다 만은 실지로 밀교는 어려운 것도 아니고 신비로운 것도 아닙니다. 밀교는 우리 일상 생활 속에 뭍혀져있는 모든 현상들의 일어나는 상황들이 다 밀교입니다. 그런데 이 종교가 특히 불교가 밀교라 그러면은 우리 일본이나 티벳이나 외국에서 오는 밀교만을 생각을 하다보니까 어려운 것이다. 신비로운 것이다. 이렇게 모두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 스님법문/기타법문 2011.08.07
제2강 ~ 生死般若常共和 방송 보기: 붓다의 메아리 시간도 마찬가지다. 그 다음에는 시간이다. 無量遠劫무량원겁이 卽一念즉일념이다. 一念卽是無量劫일념즉시무량겁이다. 九世十世互相卽구세십세호상즉 仍不雜亂隔別잉불잡란격별성이라. 遠劫원겁이다. 이 말은 오랜 劫겁수. 劫겁이라는 것은 하늘과 땅이 한 번 생겼다 없.. 스님법문/종범스님_법성게 2010.09.25
제3강 ~ 十佛普賢大人境 방송 보기: 붓다의 메아리 어제에 이어서 법성게 공부 계속 합니다. 어제 初發心時便正覺초발심시변정각 生死般若常共和생사열반상공화 거기까지 했습니다. 오늘은 그 밑으로 理事冥然無分別이사명연무분별 十佛普賢大人境십불보현대인경 계속 합니다. 初發心時초발심시에 便正覺변정각을 해서 .. 스님법문/종범스님_법성게 2010.09.25
제3강 ~ 叵息妄想必不得 방송 보기: 붓다의 메아리 能仁海印三昧中능인해인삼매중에서. 能仁능인은 부처님이다. 그런데 부처님은 여러 가지 백천삼매속에서 계시는 분이에요. 천수경에 보면 백천삼매돈은수 이런 말이 있거든요. 백천삼매를 모두 닦아서 이루었다. 이게 백천삼매 돈운수입니다. 그리고 화엄경에도 보면은 해.. 스님법문/종범스님_법성게 2010.09.25
제4강 ~ 舊來不動名爲佛 방송 보기: 붓다의 메아리 無緣善巧무연선교로 捉如意착여의 하면 밑에는 반대입니다. 이건 아주 좋은 뜻을 이야기하는데. 無緣善巧무연선교라. 無緣무연이라고 하는 것은(생각 緣) 생각, 인연이라고 할 때, 이쪽으로도 엉키고 저쪽으로도 엉키고, 이 생각도 하고 저 생각도 하고, 많은 잡념 망상이, .. 스님법문/종범스님_법성게 2010.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