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지그라운드(2018)

실패, 창의력을 기르는 최고의 방법

Buddhastudy 2018. 9. 27. 06:02


창의력이 필요한 시대

어떻게 하면 창의력이 샘솟는 기업문화를 만들 수 있을까?

방법은 간단하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은 문화를 조성한다면

직원들은 새로운 영역을 탐구하고 가지 않은 길을 찾아보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행위를 훨씬 덜 꺼리게 된다.

 

막다른 길에 당도 했을 때,

자신이 제대로 된 길로 왔는지 되돌아가야 할지 고민하면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것만 해도 큰 이득이다.

 

길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선택한 길로 가야 한다.

 

그렇게 해야 전에 보지 못했던 것을 보게 된다.

새롭게 알게 된 것이 쓸모없을 수도 있고, 혼란만 가중시킬 수도 있지만,

최소한 몰랐던 곳을 탐색해봤다는 의미는 있다.

 

잘못된 곳을 헤맸다고 뒤늦게 깨달았어도

올바른 길로 되돌아갈 시간은 여전히 존재한다.

잘못된 곳을 헤매는 동안 경험한 일은 헛된 것이 아니다.

 

당장 업무에 도움이 되지는 않지만, 다른 아이디어를 탐색했다면 기억해뒀다가 나중에 활용할 수도 있다.

시행착오 반복은 과학계에서 오랫동안 유효성을 인정받아 온 문제 해결 방법이다.

 

과학자들은 문제가 있으면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고, 분석해서 결론을 도출한다.

실험은 사실을 탐구해 나가는 과정으로 과학자는 실험을 통해 더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실패한 것처럼 보이는 실험일지라도 모든 실험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실험결과 이전에 연구한 내용이 쓸모없는 것으로 판명 나도 뒤늦게 깨닫는 것보다는 낫다.

새로 발견한 사실을 토대로 문제의 프레임을 다시 쌀 수 있기 때문이다.

 

시행착오 반복은

최대한 빨리 틀려 학습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접근법이다.

 

모든 가능성과 결과를 염두에 두고 치밀하게 계획을 세워 성공확률을 높이는 접근법을 쓰는 경영자도 있지만, 창의적인 제품을 생산하려는 기업에서 모든 문제에 이런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영자는 자기기만의 함정에 빠질 위험이 있다.

 

실패 확률을 낮추는 데 집착하면 과거에 성공한 제품이나 방식을 복제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세밀하고 완벽하게 계획을 세운 뒤에 이를 추진하려는 경영자는

독창적이지 않은 제품을 생산할 확률이 높다.

문제 해결방법을 미리 계획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계획은 물론 중요하다.

성공한 사람들도 많이 계획한다.

하지만 창의적 제품을 만들려면 통제해야할 요소들이 너무 많이 해법을 미리 계획할 수 없다.

접근방식을 오래 고민하고 선뜻 행동에 나서길 주저하는 사람이 오류를 저지를 확률은 빨리 뛰어들어 일하려는 사람과 비슷하다.

 

지나치게 계획하는 사람은

실패 확률을 낮추지 못한다.

실패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뿐이다.

 

더군다나 계획에 시간을 많이 들인다면 효과가 없다고 판명 나더라도 받아들이지 못하고 집착하게 된다.

 

현재에 접근 방식으로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행동은 바로 현재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는 것인데도 이미 지친 두뇌는 또 다른 접근 방식을 쉽사리 생각하지 못한다.

 

창의적인 제품을 만들려는 기업이 실패 확률을 낮추는데 집착하는 것은 오히려 더 큰 실패를 부르기 마련이다.

 

창의력을 기르고 싶다면

수없이 많이 시도하고,

또 시도하는 방법이 가장 빠르다.

 

만약 아직도 어떤 일에 대해 고민만 계속하고 있다면

선택하자.

차라리 빨리 실패해보는 게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