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덕마음공부, DanyeSophia

[현덕마음공부] 심리학자들의 학설과 인생 경험 (결핍, 감수성, 화두, 학문)

Buddhastudy 2021. 11. 2. 18:58

 

 

 

오늘은 이전에 3개의 동영상에서

프로이트와 융과 아들러의 심리학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런데 학자들의 학술과 이 학자들의 초기 인생 경험과

혹시 어떤 관계가 있지 않을까?

영향을 서로 미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프로이트는 잘 알다시피 본능이라는 이드,

특히 성적본능을 위험한 것으로 보고

그것을 에고라고 하는 관리자를 건강하게 발달시켜서

이 세상에 본능을 가지고서도 안전하게 또는 성숙되게 살아가기가 주제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프로이트 자신은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사실로 밝혀진 것은

프로이트는 자신의 처제와 오랫동안 불륜의 관계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00년도 지나서 스위스에서 숙박명부가 실제로 발견됨으로

거의 확인이 된 사실이죠.

 

그래서 프로이트는 평생 성적인 본능에 대해서 스스로도

뭔가 이걸 잘 다스리거나 해결하려고 했던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

융같은 경우는 목사 집안에서 태어났고

프로이트와는 다르게 어머니와 거리감이 좀 있었고, 아버지와 좀 더 친근감을 느꼈던 거 같습니다.

 

어머니가 신경증 같은 것을 앓았고

자신도 어릴 때 그런 조금 정신적인 질환이 있었고

어른들이 많이 걱정했는데, 다행히 정신적인 질환을 잘 극복하고 성장하게 됩니다.

그러나 또한 40대 때, 정신적인 위기를 맞게 되죠.

 

그러니까 융의 이슈는 성욕이 아니고, 정신적인 문제

그리고 목사 집안이라든지 이런 데서 보이는 것처럼

이게 어떻게 보면, 겉으로 보이는 모습과 실제로 그 사람들만이 있을 때

나누는 얘기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융을 아르케 속에 페르소나라는 게 있지 않겠습니까?

가면을 쓴다는 얘기죠.

역할을 연기한다는 얘기죠.

 

융은 자기의 신경증적인 증상과 또 그 집안의 분위기 이런 것들을 가지고

이게 정체성의 문제다, 이게 페르소나를 벗고 진성한 셀프,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 인생의 과제가 아닌가라고 하는

자기 속으로 들어가는 것에 관심이 굉장히 많았다.

이렇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연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아들러는 또 다릅니다.

아들러는 어렸을 때부터 병약했어요.

그리고 실제로 동생은 죽기도 했고.

본인도 의사로부터 살기 어렵다는 얘기도 듣기도 했고

또 학업을 건강 때문에 중단하기도 했고

어쨌든 보통이하였죠.

 

그래서 자연스럽게 아들러에게는

성욕도 아니고 정체성도 아니고, 열등감이 가장 큰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들러는 언젠가는 한번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에 끼어서

제 역할을 하면서 살아가고 싶다라는 생각을 했을지도 모르죠.

 

그래서 열등감과 우월감,

우월감의 성취를 위한 투쟁.

그것이 성숙이고, 그 성숙은 사회에 기여하고 인정받으면서 성취된다.

그래서 아들러는 세상속으로,

이렇게 말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보면 학자들은

학술이라고 하지만, 결국은 자기 이야기를 했던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떤 아이디어나 프레임이나 이론이라고 하는 것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은 아니죠.

 

그러나 이 세 사람은 그것을 잘 승화시키고, 잘 다듬고 해서

보편화시켜서 완성도를 높였다는데 그 가치가 드높다고 하겠습니다.

 

 

삶은, 결국 삶의 경험은

우리들이 어떻게 생각하게 하는가 하는 것의 토대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보면, 그냥 이론으로서가 아니라

그 사람의 삶과 연결된 이론으로서

세 사람의 심리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