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법륜스님 3분

[법륜스님의 3분 즉문즉설 제26회] 욕심을 버리면 발전을 할 수 있나요?

Buddhastudy 2025. 4. 2. 19:34

 

 

*욕심에 대한 조언: 좋은 욕심은 자기 발전을 가져오지만,

욕심이 괴로움을 유발한다면 내려놓아야 합니다 [00:06].

욕심을 부리는 이유는 이익을 얻기 위함이지만

손해를 가져온다면 멈춰야 합니다 [00:17].

 

*자유와 책임: 개인의 자유는 존중되지만,

그 행동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면 책임을 져야 합니다 [00:32].

예를 들어, 아침에 늦게 일어나 회사에 지각하는 것은 본인의 선택이지만,

그로 인해 야단을 맞거나 해고될 수 있습니다 [00:42].

 

*선택의 기준: 어떤 행동을 할지 결정할 때는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지 손해가 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01:12].

배가 고플 때는 밥을 먹지만,

너무 많이 먹어 배가 아프다면 그만 먹어야 합니다 [01:33].

 

*감정 표현의 적절성: 감정 표현은 자유지만,

그로 인해 타인이나 자신이 불쾌해진다면 자제해야 합니다 [01:51].

화를 내고 싶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02:03].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자신에게 손해가 된다면 욕심을 부리거나

하고 싶은 일이 있어도 하지 않아야 합니다 [02:12].

반대로, 하기 싫은 일이라도 손해를 피하기 위해 해야 할 수 있습니다 [02:21].

 

 

--

욕심 가져도 괜찮아요.

가지세요.

 

 

돈 욕심은 자기가 발전할 수 있는 건데

무조건 욕심을 놓아야 되나요?//

 

 

아니요. 욕심 가져도 괜찮아요. 가지세요.

그런데 욕심을 부려서 괴롭거든

내려놔라 이 말이지

괴롭거든, 괴롭거든 내려놔라.

 

욕심을 부리는 이유는 뭐예요?

나한테 이익되려고 부려요?

손해되려고 부려요?

이익되려고 부렸는데

괴로우면 손해예요? 이익이예요?

손해니까 내려놓으라는 거예요.

 

자기가 여기서 뭘 짚든, 뭘 하든

그건 자기 자유예요.

 

아침에 6시에 일어나서 밥 먹고 회사 가야 되는데

7시에 일어나가 지각을 했다.

그래서 회사 사장한테 야단 맞았다.

야단 정도 맞는 거는 괜찮다하면

계속 지각하면 되고

잘린다그러면

잘리는 것보다는 어때요?

잘려서 괴로운 것보다는

아침에 일어나기 싫지만 어떻게 하는 게 낫다?

일어나는 게 낫겠다.

그럼 일어나면 되는 거예요.

 

그럴 때 졸리는데 어떻게 일어나요?”

그래도 일어나면 되는 거예요.

일어나기 싫은데 어떻게 일어나요?”

그래도 일어나면 되는 거예요.

그거 무슨 방법이 있는 거 아니에요?

그게 나한테 더 이익이면 일어나는 거예요. 그냥

싫어도 일어나고

일어나고 싶어도 일어나고

괴로워도 일어나고

?

그게 더 이익이니까

 

그러니까 뭐 하고 싶으면 하시라는 거예요.

그런데 그게 자기한테 괴로우면, 손해가 되면 어때요?

하고 싶더라도 관둬야 된다.

그런 뜻이에요.

 

밥을, 배고프면 밥 드세요.

근데 먹고 싶다고 두 그릇 먹어서 배 아프면

그때 , 그만 먹어라이렇게 얘기하는 거예요.

?

배 아프다니까 그만 먹으라는 거지.

두 그릇 먹든, 세 그릇 먹든, 무슨 상관이에요.

 

또 밥을 자꾸 먹고 살쪘다고 자꾸 투덜대니까

그럼, 밥 좀 적게 먹어라이러는 거예요.

왜 먹고 싶은데 적게 먹어야 돼?”

그럼 먹어.

 

그래서 화를 벌럭벌럭 내니까

누가 기분이 나쁘다?

자기가 기분이 나쁘니까

그럼 화내지 마라이렇게 얘기하는 거예요.

내고 싶으면 내요, 그냥.

그래서 자기한테 손해면

화를 내고 싶더라도 어떻게 해야 된다?

안 내야 되고

욕심이 나더라도 안 해야 되고?

하고 싶더라도 안 해야 되고

하기 싫더라도 해야 되고, 그런 거예요.

 

하기 싫은 거 무조건 해야 되나?

하기 싫은 거 안 해도 아무 문제가 없으면

뭐 한다?

안 해요.

 

근데 하기 싫다고 안 해버리면 손해다.

그러면 어때요?

하기 싫어도 해야 되는 거예요.

 

어려운 거 아니에요.

해결이 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