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이 좋아하시는 게의 내장
그런데 개의 내장이 정확히 무엇인지 아시나요?
--
오늘은 홍게를 해부해보겠습니다.
게는 몸과 다리에 마디가 있는 절지동물입니다.
그리고 그중에서도 단단한 갑각을 가지는 갑각류
또 그중에서도 10개의 다리를 가지는 십각류죠.
십각류에는 새우, 가재, 게 등이 속하는데
게는(다른 십각류들과) 유독 다르게 생긴 것 같지 않나요?
사실 게는 반으로 접혀있는 겁니다.
우선 십각류들은
머리와 가슴이 합쳐진 두흉부가 갑각에 둘러싸여 있고
그 밑부분에 배를 가집니다.
그래서 게는 우리가 주로 보는
이 등딱지 부분이 두흉부이고
이렇게 배가 말려 들어가듯이 위치하죠.
그래서 여기를 열어보면 이렇게 펴집니다.
이 끝부분이 항문이죠.
여기 입에서부터 소화관이 쭉 이어져서
항문으로 똥이 배출되는데
장 속에 똥이 남아있는 게들은
여길 눌러주면...
이렇게 똥이 나옵니다.
이번 해부 영상은
새우 해부 영상과 비교하며 보시면 더 재밌을 것 같습니다.
그럼 홍게 해부를 시작하겠습니다.
--
우선 외부를 보면 여기 단단한 머리뿔이 있고
그 옆에는 눈이 있습니다.
게의 눈은
눈자루 끝에 곤충과 같은 겹눈이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눈을 실체현미경으로 확대해보면
이렇게 수많은 낱눈으로 이루어진 걸 확인할 수 있죠.
게의 눈자루에는 근육이 있어서
눈을 갑각 속으로 빠르게 감출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게는 이렇게 5쌍의 다리를 갖는데
첫 번째 다리는 집게다리로
먹이를 사냥하거나 상대를 위협하는데 주로 쓰이죠.
그리고 나머지 4쌍은 걷는 다리인데
꽃게처럼 5번째 다리가
헤엄다리로 변형된 게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입 부분을 보면
여러 부속지들이 움직이는 게 보이죠?
여기 (먹이를 컨트롤하는) 턱다리가 3쌍 있고
여기 안쪽에 턱(입)과 추가 부속지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윗부분에는 더듬이(촉각) 2쌍이 있죠.
갑각류는 이 더듬이로 여러 감각을 느낍니다.
그리고 배를 보면
게의 암수 구분이 가능합니다.
우선 게들은 수컷이 암컷보다 배딱지가 좁습니다.
그 이유는 암컷은 이 배딱지 안에 알을 품기 때문인데
처음 암컷이 혼자 분비하는 알은 난자일 뿐입니다.
그래서 정자와 만나 수정을 해야 하는데
게들은 수정을 위해 이렇게 껴안듯이 짝짓기를 하죠.
수컷의 배 속을 보면
생식을 위한 부속지가 2쌍 있는데
이 다리를 이용해 암컷의 배 쪽으로 정자를 이동시키는 거죠.
암컷의 배를 열어보면
수컷보다 더 많은 부속지가 있습니다.
알을 배 속에 붙이고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부속지죠.
자, 이제 홍게의 내부를 보겠습니다.
갑각에 살짝 흠집을 내고
내부가 손상되지 않게 조심스럽게 잘라서...
안쪽의 막을 잘 분리합니다.
뚜껑을 열면 짜잔!
이것이 게의 내부기관들입니다.
가장 먼저 중간에 보이는 이것이
게의 심장이죠.
살아있는 게에서는
심장 박동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심장 양옆으로 있는 것이
게의 아가미입니다.
아가미 위쪽을 보면 이렇게 부속지가 있는데
이것은 와이퍼처럼 아가미의 불순물들을 제거해주죠.
여기 아가미 밑에도 하나 더 있습니다.
그리고 게의 몸속에는
우리가 게 내장이라고 부르는 것들이 내부를 채우고 있습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자세히 보면 약간 초록빛을 띠는 것과 흰색을 띠는 것이 있습니다.
이렇게 분리해서...
비커에 담은 후 뜨겁게 익혀보면
이것이 우리가 게 내장으로 즐겨 먹던 그 비주얼이죠.
초록빛을 띠는 이것은
간췌장이라는 절지동물의 소화샘입니다.
이 라인을 따라 이렇게 위치하는데
소화관으로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역할을 하죠.
그렇다면 이 하얀 것은 무엇일까요?
이것은 게의 생식소(정소)입니다.
게의 생식소는 간췌장 근처에 위치하죠.
그러니 게 내장을 똥이라고 말하는 분들도 있는데
우리가 주로 먹는 건 똥이 아니라
간췌장과 생식소인 거죠.
물론 여기 장이 지나가는데
이걸 따로 덜어내시는 분은 없으니
똥도 드시긴 합니다.
그리고 여기 윗부분이 게의 위입니다.
위를 잘라보면...
장으로 이어져서 배 쪽으로 쭉 이어집니다.
그래서 여기 안쪽을 보면
복부로 내려가며 항문까지 이어지는 걸 확인할 수 있죠.
그리고 위 속을 열어 보면...
게의 위 속에는 이빨이 있습니다.
게는 이 이빨을 이용해
위 속으로 들어온 먹이를 한 번 더 잘게 부수어 소화를 돕는 거죠.
위를 덜어낸 곳에는 식도 구멍이 보입니다.
여기가 입으로 통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죠.
마지막으로 게의 신경계는 투명해서 관찰하기 어렵지만
식도 윗부분에 뇌가 있고
몸 중간에 신경절이 있어서
이렇게 다리로 신경이 퍼져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홍게 해부는 여기까지입니다.
수상한 것들을 과학으로 밝힌다.
당신이 생명과학을 좋아하는 그 날까지
수상한 생선이었습니다.
'1분과학·북툰·S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툰] 허블우주망원경이 보여준 놀라운 우주! (0) | 2022.03.23 |
---|---|
[Life Science] 당신이 멍게에서 보지 못한 것들 - 멍게 해부 (0) | 2022.03.22 |
[북툰] 인류에게 바이러스 전염병이 계속 찾아오는 이유│인수공통전염병 (0) | 2022.03.17 |
[북툰] 우리 몸의 원소 가치 계산 (0) | 2022.03.16 |
[Life Science] 당신이 가리비에서 보지 못한 것들 - 가리비 해부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