캥거루, 코알라, 화식조, 오리너구리 등
호주에는 유독 특이한 생물들이 많이 사는 것 같지 않나요?
그 이유는
지도에서 이 선을 넘어가면
전혀 다른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보이지 않는 경계선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아주 아주 놀랍게도
인도네시아 군도의 지도상에서
이렇게 섬들을 가로지르는 선을 하나 그으면
이 선을 기준으로 동쪽과 서쪽 지역에는
극명하게 다른 생물종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장 큰 차이는 포유류에서 나타나는데
이 선의 서쪽에는 주로 태반이 있는 포유류들이 발견되고
섬 반대쪽에는 유대류나 단공류 같은
태반이 없거나 불완전한 형태의 포유류들이 발견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선의 동쪽에 위치한 호주에는
선의 서쪽에 사는 우리가 쉽게 보지 못하는
특이한 포유류들이 굉장히 많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의외로 호주의 드넓은 자연에는
선의 서쪽에서 발견되는
코끼리나 호랑이, 오랑우탕 같은 생물들은 살고 있지 않습니다.
신기하죠?
이 선의 정체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이 선은 월리스라는 과학자에 의해 발견되어
‘월리스 선’이라는 이름이 붙은
가상의 생물 지리학적 경계선입니다.
월리스는 1850년대에 말레이 제도의 여러 섬들을 탐험하며
직접 생물들을 관찰하였는데
그는 탐험 도중 발리 섬에서 롬복 섬으로 건너가다
그만 깜짝 놀라버렸습니다.
발리에서 그리 멀지 않은 바다 건너에 위치한 롬복 섬에서는
발리 섬의 생물들과는 전혀 다른 생물종들이 살고 있었던 것입니다.
마치 이 섬들의 사이에는
생물들이 이동할 수 없는 장벽이 있는 것만 같았죠.
그래서 그는 긴 연구 끝에
발리와 롬복 사이 해협부터
보르네오와 술라웨시 사이 해협을 가로지르는
생물지리학적 경계선인‘ 월리스 선’을 제안하게 됩니다.
월리스는 이러한 현상의 이유는
아주 먼 과거에 월리스 선의 서쪽에 위치한 섬들은
아시아 대륙과 육지로 이어져 있었던 섬들이고
섬 동쪽에 위치한 섬들은
호주 대륙과 이어져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깊은 바다가 흘렀는데
이 깊은 바다에 의해 생물들의 이동이 제한되며
월리스 선의 양쪽에서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의 독자적인 진화가 일어나게 되었고
이 때문에 현재 이 선을 기준으로
아주 극명한 생물종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죠.
이 설명은 아주 합리적이었고
실제로 ‘월리스 선’을 기준으로 나타나는 생물종의 차이도 확실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이 이론은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못했죠.
그 이유는
이 시기에는 과거 빙하기에 있었던
극심한 해수면 변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아직 판구조론도 세상에 나오기 훨씬 이전이어서
먼 과거에 월리스 선 주변의 섬들이
각각 호주와 아시아 대륙과 연결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월리스 선 개념은
월리스가 죽고 난 이후에야, 점차 상세히 이해되기 시작했는데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지구의 여러 판들의 이동과 해수면 변화에 의해
월리스 선의 서쪽 섬들은
과거의 ‘순다 대륙’이라 불리며 아시아 대륙과 연결되어 있었고
선 동쪽의 섬들은
과거 ‘사훌 대륙’이라 불리며
호주와 이어져 있었다는 사실이 설명되었죠.
그리고 월리스의 말대로 이 두 대륙 사이에는
아주 깊은 바다가 흐르고 있어서
새들조차 쉽게 바다를 넘어 서식지를 이동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월리스 선을 기준으로
생물들은 서로 격리되어 독자적인 진화 과정을 거치게 된 것이고
그 결과가 현재까지 이어져서
이렇게 보이지 않는 생물들의 경계선이 형성된 것이죠.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호주에는 우리가 쉽게 볼 수 없는 생물들이 가득한 것입니다.
신기하죠?
이러한 엄청난 사실을 발견한 월리스는
일반인들에겐 그다지 유명하지 않지만
생물학 역사에서는 다윈과 함께
진화론의 공동 발견자로 평가받고 있을 정도로
아주 엄청난 업적을 남긴 과학자입니다.
언젠가 수상한 생선 채널에서
월리스 선에 대한 이야기와
월리스 선 너머에 위치한 호주 대륙의 생물들에 대한 영상을
보여드리고 싶었는데
이번에 좋은 기회가 생겨서
호주를 직접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다음 주부터는
호주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생물들을 직접 만나보고
그에 대한 콘텐츠들을 업로드 해 보려 합니다.
그리고 호주의 독특한 생물들과 월리스 선을 이용한
수상한 생선의 첫 굿즈도 나올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다음 영상들도 기대해 주세요.
이번 영상은 여기까지입니다.
'1분과학·북툰·S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 Science] 캥거루 주머니 속에는 새끼만 있는게 아닙니다 ㄷㄷ (0) | 2024.12.24 |
---|---|
[신박한과학] 최신 뇌과학이 밝혀낸 인간의 숨겨진 능력|익스텐드 마인드 (0) | 2024.12.23 |
[Life Science] 식물은 어떻게 물을 나무 꼭대기까지 빨아올릴까..? 직접 보여드립니다!! (0) | 2024.12.19 |
[지식보관소] 상호확증파괴를 무력화 시킬 새로운 군사무기들이 출현한다 (0) | 2024.12.18 |
[지식보관소] 외계행성들을 발견하기 시작하면서 외계문명에 대한 고정관념이 바뀌고 있다 (0)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