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여튼 여러분
우리 공부에 최종적인 깨달음의 내용은
중도예요.
중도라 할 때
중도는 가장 기본적으로는
본질과 현상의 중도
불교 용어로 쓴다면
본질은 공이고, 현상은 색이니까
색즉시공 공즉시색
그러니까 본질과 현상의 중도
이게 최종적인 진리인데
진리는 다른 말로 하면
실상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이 세계의 최종적인 실상.
그런데 이것을
본질은 깸이고
그리고 현상은 꿈이라고 비유할 수 있어요.
그리고 실제로 그런 느낌이에요.
그러니까 지금 이 순간 보는 것은 본질이에요.
그리고 보이는 것은 현상이에요.
그래서 지금 본질이 현상을 보고 있어요.
그래서 요 둘이 만나서
이 세계가 지금 펼쳐지고 있어서
그래서 깸이 꿈을 경험하는데
이게 꿈이기 때문에
깸의 입장에서는 경험을 하되 경험하는 바가 없다.
이렇게 정리가 되는 게
중도실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각자에게 깸과 꿈이
동시이다.
깸은 지금 의식.
여러분 의식 있어요?
그러니까 이거를 기회 있을 때마다
저는 제 입장에서는 직지
곧장 가르칠 수밖에 없고
기회 있을 때마다
그리고 여러분은 듣다가 듣다가
어느 날 관심을 계속 가지고 있으면서
듣다가 듣다가 어느 날
“이거구나”
확인하고 난 다음에는 그것이 점점점점 분명해지는 것
그러니까 이게 공부라고 할 수 있어요.
/깸과 꿈이 동시이다.
깸은, 깨어 있는 이 의식은
숨어서 보이지 않으므로 ‘은’이라고 하고
꿈은 온통 드러나 있으므로
현상으로 온통 드러나 있으므로
‘현’, 드러날 현이라 한다.
그래서 은현동시이다./
그래서 지금 중도를 은현동시
또 다른 말로 하면
지금 잠깐
은현동시, 이런 말로 표현한다면
은을 다른 말로 하면 쌍차
상대적인 것 양쪽을 모두 막는다 할 때
무엇을 막는가?
현상을.
현상은 항상 상대적이잖아요.
본질은 절대고 현상은 상대예요.
그래서 본질의 입장에서는 쌍으로 막는다.
이 말은 상대적인 현상을 쌍으로 막는다.
그리고 현_ 본질은 항상 쌍으로 긍정한다.
본질에서는 모든 게 상대성으로 드러난다.
그러니까 본질 입장에서는
현상이 상대성이라서
상대를 쌍으로 막아야 본질이 되죠.
그리고 본질 입장에서 다시 현상으로 나올 때는
항상 상대성으로 나와요.
쌍조_ 상대성으로 긍정한다.
쌍차쌍조
이것을 [쌍차]가 되면 [무심]
무심은 마음에 생각이 없는 거죠.
우리 의식에 생각이 없다.
그리고 [쌍조]는 [평상심]
무심이 인연 따라서 평상심으로 드러난다.
그러니까 이런 식으로 쓰기 시작하면
이 칠판 하나를 가득 채우고도 모자라는 거
여러분들 아시죠?
계속 이렇게 되는데
어쨌든 가장 기본적인 보편적인 용어는
본질과 현상.
지금 이 순간에 눈에 보이는 것은 [현상]
보는 것은 [본질]
그러면 [본질은 의식이다.]
의식이 자각되는 게 돈오에요.
의식이 스스로 자각되는 게 돈오.
처음으로 자각되는 거.
이런 대목 오면 항상 궁금해.
여러분이 어느 정도 자기의식을
“아, 이게 의식이구나” 하고 이렇게 스스로
“아, 이게 의식이구나” 할 수 있는지
그게 궁금해요, 항상.
근데 부끄러워 하시니까? 여러분이
물어볼 수도 없고.
비밀이에요. 그죠?ㅎㅎ
그러니까 지금 이렇게 멀쩡하게 깨어서
지금 보고 듣는
우리들의 그냥 살아 있는 이 의식을
한 번 이런 말끝에 알아차리는 것.
이게 이제 하나의 고비예요.
마음공부에서.
알아차리고 그다음에는 뭐예요?
의식을 한번 알아차리는 게 첫 번째.
두 번째는 뭐예요?
의식을 알아차리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생각이에요.
그리고 생각에는 굉장히 우리가 익숙해 있어요. 생각하는데.
그래서 의식을 알아차리고
그다음에는 생각을 컨트롤하는 거
이거 배워야 돼요.
생각 컨트롤하는 거 안 배우면
인생을 불행에서 빠져나올 수 없어요.
한마디로...
하여튼 항상 공부는 두 가지
수보리가 부처님한테 물었을 때 두 가지 물었다, 이거에요..
금강경 1부는 부처님께서 평상심을 보여주셨다.
때가 되어서, 빌어서 공양을 드셨다. 그게 1분
있는 그대로 평상심을 보여준 것
2분은 수부리가 나와서 물었다.
발보리심을 일으킨 선남자선녀인이
마땅히 어디에 그 마음을 둬야 합니까?
본질에.
두 번째는 어떻게 생각을 항복 받습니까?
첫 번째는 깨달음이고
두 번째는 생각의 항복.
지금 은, 현, 쌍차, 쌍조, 무심, 평상심 할 때
수행에서는
여기 무심 하는 방법이
止_ 멈춘다.
그리고 평상심이 말하는 방법은
지관觀_ 지는 정혜라고도 하는데
정은 삼매
지를 선정, 관을 지혜 할 때
정혜지관, 정혜
다 같은 뜻이에요.
혜는 통찰이 일어나는 거고
언제 통찰이 일어나는가? 통찰
선정 삼매, 삼매에 들었을 때 통찰이 일어난다.
부처님께서 깨달았을 때도
선정 중에 계셨었어요.
부처님이 깨달았을 때도
선정 중에 있다가 깨달았어요.
자, 그러면
선정이라고 하는 삼매에 들어가는 방법을...
궁금합니까?
저도 이렇게 여러분하고 함께, 도반들과 함께 공부를 하다 보니까
일종의 우리가 집단 지성이잖아요.
그래서 서로 피드백을 여러분도 저한테 질문하고
저도 여러분한테 답변하고
또 제가 여러분한테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수월하게
여러분이 마음공부하시도록
제가 잘 좀 가이드를 잘 할까
항상 고민하는 거 아세요?
그러니까 저한테 정보가 많이 들어와요.
이런저런 정보들이
그래서 제가 계속 연구를 하는 중인데
삼매 들어가는 방법의 핵심이
이 止를 이해하는 거예요.
멈춘다, 멈출 지자.
진정으로 멈춘다는 게 무슨 뜻인가를 아는 게
이게 가장 중요해요.
그래서 단도직입으로 말씀드릴게요.
止라고 하는 것의 목적은
생각의 힘이 빠지는 거예요.
맞나요? 이해되세요?
멈추지 못하는 이유는
생각이 계속 움직이니까.
자, 생각의 힘을 빼는 가장 좋은 방법은
궁금하세요?
제가 뜸을 너무 드린다. 그죠?
중요하니까.
자, 생각의 힘을 빼는 방법은
여러분 앉아서 참선하잖아요.
생각이 들어오죠.
생각의 힘을 빼는 제일 좋은 방법은
머리 있잖아요.
몸하고 머리 있죠?
보통 “몸에 힘 빼라”는 소리를 많이 듣죠.
맞아요?
몸에 힘을 빼라
생각의 힘을 빼려면
머리의 힘을 빼야 돼.
근데 여기 머리의 힘을 뺀다는 말을
여러분께서 실제로 해서 터득해야 돼요.
몸의 힘은 잘 빼는데
머리의 힘 빼는 것은 미처 생각을 못해
보통 사람들이.
그래서 눈을 감고 앉아서
머리에 힘을 뺀다는 거
머리에 힘을 빼면
생각이 작동을 못 해요.
이게 진짜 비밀 중에 비밀이네.
근데 문제는 이거를 여러분이 직접 해서 터득해야 돼.
그래서 오늘 수업은
원래 오늘 수업은 다음 주로 미루고
오늘은 실참.
“머리에 힘을 뺀다”는 게 무슨 말인가를 여러분이 해 봐서
시행착오 끝에 터득해야 돼요.
이런 말 처음 듣지 않나요?
처음 듣잖아요.
머리에 힘을 뺀다는 게 무슨 말인가?
이걸 실제로 해 봐야 돼.
오늘 제가 목이 아픈 바람에 땡잡은 거예요, 목요반.
오늘 목요반 여러분들은 지금 땡잡은 거예요.
굉장히 비밀이에요.
어디에도 이런 말을 하는 데가 없어.
그러니까 한번 우리가 같이 해보십시다.
눈이 부시니까 이제 불은 끄고 할 거예요.
여러분, 온라인도 같이 동참해 주세요.
그러니까 지금 앉아서 삼선 하되
멈춘다. 멈출 지.
이때 멈추는 비결은
생각이 멈추는 거다.
그 비결은
머리에서 힘을 뺀다.
이걸 해보기
말로는 아무리 해도 소용이 없다, 그죠?
이걸 해보자고요.
하고, 쉬는 시간에 좀 쉬고, 토론도 약간 하고
그리고 오늘은 두 타임에 걸쳐서
한번 집중적으로 실참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목이 아픈 바람에
이거 조금 천천히 공개하려고 했는데
하여튼 목요반, 하여튼 땡잡은 줄 아세요?
같이 한번 해보십시다.
네, 불 꺼주시고.
'김홍근_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조단경66] 본심을 알기 전의 공부는 이익이 없다 | 자기사랑의 힘 (0) | 2024.12.25 |
---|---|
[육조단경65] 안팎이 사라지고 새지 않는다 | 있는 그대로 보게 된다 (0) | 2024.12.19 |
[육조단경64] 현실을 수용하는 힘을 기르자 (0) | 2024.12.18 |
[육조단경63] 중도에 입각한 마음공부의 비결 (0) | 2024.12.12 |
[육조단경62] 말에 속지 마라 | 몸으로 느껴라 (0) | 2024.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