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멘토·코딩교육

[인생멘토 임작가] 완전학습 이론 이해를 만만하게 만드는 아이디어 | 완전학습의 궁극적 목표

Buddhastudy 2024. 5. 22. 19:28

 

 

 완전학습이 굉장히 어려운 것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그런데 이 설명을 여러분이 들어보시면

이게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님을 이해하실 거예요.

 

이건 나도 해볼만하겠다

시간이 좀 걸리는 것일뿐

내가 못할 것이 아니다라는 걸 깨달으실 겁니다.

이번 강의는 학습울렁증이 있으신 분들이 꼭 들으셨으면 하는 내용입니다.

 

완전학습이란

학습이 온전히 이루어지게 하는 교육 철학이며

학습 전략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완전학습 전략에 따라 학습 목표를 잘 달성해 내면

학습이 온전히 이루어진다는 게

완전학습의 철학이에요.

 

완전학습 이론을 만드신 교육학자 블룸은

학습이 온전히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6가지 학습 목표를 제시하셨어요.

보통 이렇게 삼각형 모양으로

6가지 교육 목표가 설명이 됩니다.

 

어떤 분들은 이것이 삼각형 모양으로 설명이 되니까

이걸 단계로 착각하시더라고요.

완전학습은 단계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래서 기억하고 이해하고 적용하고 분석하고

이런 식으로 공부하는 것이다

이렇게 착각하십니다.

 

그러나 이건 단계를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위로 갈수록 고차원적인 교육 목표가 되는 것뿐이지

단계적으로 차례대로 이것들을 해낸다는 뜻이 아니에요.

고차원적인 학습 활동을 하면 할수록

완전학습에 가까워진다는 것일 뿐입니다.

 

완전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서에요.

따라서 이 삼각형 모델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 목표는

가장 밑에 있는 [기억하기]입니다.

학습 내용을 잘 기억하기 위해서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공부를 하고 이해를 잘하기 위해서 적용도 해보고

분석도 해보고, 평가나 창작 활동도 해보는 겁니다.

 

고차원적인 학습 활동을 수행하면 할수록

이해가 잘 되고

이해가 잘 되니 기억이 잘 된다는 것이죠.

 

그러나 결국은

기억하기 위해서 이 모든 것들을 수행한다는 겁니다.

그냥 무작정 기억하려고 하는 게 어렵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여러 가지 지적 활동들을 하게 된다는 거예요.

 

공부는 궁극적으로 뭔가를 기억하기 위해서 하는 거예요.

학습에 있어서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에

옛날부터 많은 사람들을 암기를 해왔어요.

저차원적이지만 반복적인 암기 활동도

내용을 기억하게끔 만들어 줍니다.

 

영어 단어를 반복해서 외우는 활동이

단어를 기억하게끔 도와줍니다.

따라서 암기도

기억하기라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게 도와주기는 해요

그러나 반복적인 암기 방식의 공부는

기억하기보다 상위 차원의 학습 활동인 이해에 기반해 있지 않기 때문에

의미가 없고, 무의미하고

의미가 없는 정보는 우리 뇌가 쉽게 까먹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영어 단어 암기 활동이

굉장히 어리석고 비효율적인 대표적인 공부 방식이 되는 겁니다.

 

이런 이유로 아직도 암기식 공부 방법을 설파하는 분들을 제가 관찰하게 되면

경악하게 되는 거예요.

영어 단어를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하고

그 단어가 문장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사용되는지를 경험해야 하고

그래야 그 영어 단어가 온전한 의미에서 기억으로 남게 됩니다.

 

단순하게 영단어와 한국어 단어를 일대일로 매칭해서

반복적으로 외우는 공부는

이제는 제발 사라져야 하는 공부 방식입니다.

 

수학 공부를 할 때 우리가 수학 공식 같은 것도 잘 기억해야 좋거든요.

그러면 공식이 왜 그렇게 나왔는지에 대한 원리를

먼저 이해해야 한단 말이에요.

이해를 해야 기억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뇌가 정보를 기억할 때엔

이해해야 잘 기억이 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의미가 있어야 잘 기억이 되고

의미가 있으려면 이해를 해야 합니다.

 

물론 수학 공식도 반복적으로 외우려고 노력하면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식을 의미없는 반복으로 강제로 기억했다면

응용력을 요구하는 고차원적인 수학 문제를 풀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공식을 의미있게 기억하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완전학습은 공식같은 지식을 의미있게 기억하는 학습 방법입니다.

전화번호 같은 정보도

반복적으로 보고 또 보고 외우려고 노력하면

기억이 되긴 됩니다.

그러나 그런 전화번호는 시간이 지나면 쉽게 까먹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에게 의미가 없기 때문이에요.

 

의미가 없는 정보는 우리가 기억하기 어려워요.

전화번호를 기억하려고 할 때엔

본질적으로 우리가 이해하는 과정을 거칠 수 없기 때문에

거기에 의미가 생기기 어렵고

따라서 그것을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우리 뇌는 그런 의미 없는 정보를 기억 속에서 제거해 버리는 겁니다.

 

이런 원리로 전화번호나 자동차 번호판의

의미 없는 숫자들의 나열을

우리가 잘 기억하기 위해서 쓸 수 있는 좋은 방법 하나는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겁니다.

의미가 부여되면 기억하기 쉽기 때문이에요.

 

예컨대 1004라든가 5842라든가 2424라든가 5959라든가

이런 숫자의 나열은

어느 정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기억하기가 쉬운 거예요.

 

이런 이유 때문에

의미를 만들어 내지 못하는 반복적인 암기 방식의 공부는

비효율적인 공부 방식이 되는 것이고요.

 

완전학습을 매우 간단히 일반화해서 설명한다면

그것은 학습 내용을 잘 기억하기 위해서

이해 방식의 학습 활동을 수행한다는 뜻입니다.

결국은 기억하기 위해서라는 겁니다.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학습 내용을

잘 기억하기 위한 학습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완전학습인 거예요.

 

따라서 여러분도 완전학습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결국 잘 기억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학습 전략일 뿐이에요.

 

누구나 오랜 시간 완전학습을 연습하면

기억하실 수 있거든요.

 

 

--실천이 안 되는 이유,

머리로는 정말 아셨습니까?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생기기가 어려운 이유가 뭔지 아시나요?

사람들이 내용을 기억하지 못해서 그렇습니다.

이 단순한 진실을 깨닫지 못해서 그래요.

 

머리로는 안다고 합니다.

그러나 행동으론 그것이 안 된대요.

왜 안 되냐면

머리로도 모르시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학습 이론적인 명확한 해석이에요.

 

머리로 아실려면요

내용을 기억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내용을 기억한다는 건

내용을 내 말로 표현할 수 있다는 의미고요

 

그래서 내용을 기억 못하시면

다시 말해 내용을 내 말로 표현하지 못 하시면

그건 머리로도 모르시는 거예요.

 

머리로도 모르시기 때문에

행동과 말로도 변화가 생기지 않는 겁니다.

자연스러운 법칙이에요.

 

여러분이 기억한다는 것의 중요성을

새롭게 깨닫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