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을 돕고 싶은 마음이 일어도 구설수 되는 게 두려워 움츠러들고
동기가 앞서서 시키지 않는 일에 나서지 마라 합니다
하고 싶어도 참는 게 제가 안전하니까 그렇게 하는 게 맞을까요//
몇 살이에요?
52인 어른이 아기같이 그렇게 생각을 하면 어떻게 해요?
52이면 어른이에요.
옛날 같으면 할머니예요, 할머니. 손자까지 본 사람이다, 이 말이에요.
그러기 때문에 자기가 하고 싶으면 그냥 해버려요.
나쁜 짓이 아니면.
구설수 좀 얻어먹으면 되잖아요.
욕 좀 얻어먹으면.
새 직장에 가면 텃새가 있다고
텃새한테 좀 쫓김을 당해야지.
그걸 왜,
당연한 거 아니오.
자기가 만약에 나이도 52세이고, 집에서는 애들 엄마고, 밖에 직장에서 한다 해도
자기가 머리 깎고 절에 처음 들어오면
20살짜리 먼저 스님 된 사람보다 자기가 밑에 들어가잖아.
그래.
이게 세상사라니까.
군대에 나이가 30이 되어서 가면 20살 짜리가 먼저 들어와 있으면 그 밑에 들어가는 거란 말이오.
어디든지.
그러니까 여기 육군 참모총장하고 뭐하고 이런 사람도
끝나서 국회의원 되어서 국회 가서 초선 위원이 되면
국회에서 자기가 사회에서 아무리 높은 직위를 해도 될까? 안 될까?
제일 하단이란 말이오.
세상이란 것은 어디든 위치가 바뀌면 그렇게 돼.
그러니까 이 새 직장에 왔으면 그걸 조금 감수해야 한다는 거요.
마음에서.
부당한 것을 참고 견디라가 아니라
그런 용도는 문화적으로, 인간사 문화가 그렇다는 거요.
그러니까 그런 거 정도는.
만약에 미국이나 어디 외국에 이민 간다고 하면 약간 차별받는 걸 감수해야 하잖아.
똑같이 하려면 어떻게, 사람이.
늦게 들어와 놓고.
어느 정도는 차별을 감수해야 한다.
그런 마음 자세를 가져야 한다. 첫째.
두 번째는 내가 어린애도 아닌데
좋은 일 같은 거는 눈치를 볼 거 뭐 있어? 그냥 해버리면 되지.
그런데 여기 문제는
자기는 욕을 얻어먹기 싫다는 거요.
친구가 욕 얻어먹기 싫으면 하지 마라.
하고 싶으면 욕을 각오하라는 거요.
나쁜 짓 하고 욕 얻어먹는 거는 이해가 되는데
왜 내가 좋은일 했는데 욕을 하냐?
이것 때문에 자기가 어려운 거요.
스님은 나쁜 짓 하고 욕 얻어먹나?
좋은 일 하고 욕을 얼마나 많이 얻어먹는데.
북한에 굶어 죽는 사람 도와주고도 욕 얻어먹지.
중국에 가서 난민 도와주고도 욕 얻어먹지.
중국이 볼 때는 나쁜 놈이라는 거요, 중국이 볼 때는.
북한에서 불법에서 넘어 온 사람을 왜 도와주느냐?
우리가 볼 때는 불쌍한 사람이지만.
이게 다 다르니까, 견해가.
우리 동네에 요즘 주민들이 다 불편해. 내가 사는 동네가. 왜?
30년 동안 다니던 길인데, 거기 자동차로 길을 막아놨어. 왜?
사유지라는 거요.
알아보면 30년 전 그 전 주인이 이 땅을 동네에 기증해서 도로를 내서 지금 30년간 잘 다녔는데, 이게 부도가 나서 딴 사람이 인수해서
그동안 30년간 아무 말이 없었어.
그런데 무슨 도로 공사한다고 뭘 파니까, 이 사람 입장에서는 사유지니까 보상을 해라.
이렇게 됐는데 관에서 보상을 안 해주니까 길을 막아버린 거요.
주민들은 또 화가 난 거요.
30년 다니던 길을 막았으니까 또 고소를 한 거요.
온 주민이 1명도 안 빠지고 다 동참한 거요.
본인을 만나보니 본인이 할 말이 없는 게 아니라
그런데도 본인은 엄청나게 억울한 거요.
내가 30년이나 이렇게 공짜로 쓰게 해줬으면 고맙다고 해야지.
주민들은 30년 쓰던 길을 왜 막냐? 이렇게 얘기하고,
이 사람은 30년이나 내 땅을 썼으면 고마운 줄 알아야지, 이렇게 생각하고.
이게 다 사람마다 생각이 달라.
그걸 어떻게 해?
그러니까 이게 세상이라는 거요.
세상 자체가 이래요.
인간의 존재가 위대한 게 아니라, 인간이라는 게 원래 이래.
우리가 사는 세상이.
그러니까 그 직장 생활에서 욕 안 얻어먹으려면
가능하면 말 적게 해서 안 드러나면 되고
그다음에 나서서 하고 싶은 게 있으면 욕 좀 얻어먹으면 된다는 거요.
욕심쟁이야.
자기하고 싶은대로 하고 욕은 안 얻어먹고.
그게 잘못, 자기가 순수하고 착한 사람이 아니라 욕심이 많다는 거야.
나서서 하고 욕을 얻어먹고 이래야 돼.
인연을 지었으면 과보를 받아야 하는데
인연은 짓고 싶고 과보는 안 받고 싶고
돈은 빌리고 싶고, 갚기는 싫고, 이런 심보라는 거야.
자기가 착한 사람 아니오.
욕심쟁이지.
그러니까 그 친구 말은 욕 얻어먹을 짓은 하지 마라 이 얘기고.
욕 얻을 먹을 짓을 안 하면 되지.
그런데 자꾸 하고 싶다잖아. 그럼 해라 이 말이야.
그럴 때 하고 칭찬받을 생각하지 말고
욕 얻을 먹을 생각을 하고 하라는 거요.
욕 얻어먹을 생각하고.
아, 내가 직장에서 낯설어 봉사도 하고 뭐 하면 욕 할거다.
욕 얻어먹어도 좋다.
나는 좋은 일이니까 욕 얻어먹어도 좋다, 이렇게 생각하란 말이오.
북한에 식량 도와줄 때 욕할 거라는 각오하고 돕잖아.
그래서 욕을 아무리 해도 난 아무렇지도 않아.
왜?
처음부터 이거는 하면 일부가 욕할 거다, 이걸 아니까.
그러니까 친구 말마따나
욕 얻어먹기 싫으면 뭐 하고?
하고 싶어도 하지 말고
하고 싶으면 애도 아닌데, 나쁜 짓도 아니니까 해라, 이 말이오.
대신에 뭘 얻어먹을 각오를 해라?
욕을 해도 웃으면서 그냥 받으면 되지.
'법륜스님 > 즉문즉설(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륜스님의 세상보기] 대한민국, 새로운 길을 개척할 때 (0) | 2021.01.26 |
---|---|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_직장 상사가 저를 미워합니다 (0) | 2021.01.22 |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제 1671회] 마음은 실체가 없는 본래 공한 것이다는 뜻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0) | 2021.01.19 |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_마음이 힘든데 정신과 상담을 받아야 하나요? (0) | 2021.01.18 |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제 1670회] 남편과 함께 있을 때 가슴이 답답하고 머리가 멍합니다 (0) | 202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