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12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_ 동성애 반대하는 어머니의 집착이 힘들어요

저는 동성애자이고 함께하는 사랑하는 여자친구가 있습니다.하지만 어머니는 여자친구에게 저와 만나지 말라고 협박성으로 연락하고 여자친구 부모님에게도 찾아가겠다며 협박합니다. 어머니의 집착이 심해지는 어지러운 이 상황을 어떻게 정리해야 할까요?//   여자친구의 부모 쪽은 어떻습니까? (모르시고 이제 몰라야 합니다. 종교적인 이유에서도 싫어하실 게 너무 크고 조금 상황이 그렇게 흘러가면은 안 돼서) 근데 어떻게 사람이 그렇게 늘 속이고, 숨어서 살 수가 있습니까?그럼 관계를 정리하든지 아니면 오픈을 하고 선전을 할 것까지는 없지만 상황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고 이해를 못 구하면 그러면 관계를 정리하고, 자신들의 삶을 살아야지. 그게 무슨 사람을 죽인 것도 아니고 물건을 훔친 것도 아니고 성추행한 것도 아니고..

[shorts, 법륜스님] 욕망을 대하는 지혜로운 자의 자세

내가 욕망이 일어날 때 즉 내가 아무리 음식이 먹고 싶더라도 거기 독이 들었다.그럼 먹어야 돼요? 안 먹어야 돼요? 안 먹어야 되겠죠. 그거 먹는 건 바보 같은 짓이고  지혜로운 사람은 독이 든 줄 모를 몰랐어.무지로 인해서 먹기는 먹지마는 알면 딱 그 자리에서 멈추게 된다. 왜냐하면 자기를 아끼고 사랑하기 때문에.

[법륜스님의 하루] 괴로운 마음을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요? (2025.02.02.)

환경문제만큼이나 커다란 또 하나의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사람들이 먹고살 만하다 싶으면 목에 힘이 들어간다는 점입니다.  인간성이 나빠지면서 이웃끼리 싸우는 일은 말할 것도 없고 형제간이든 부부간이든 싸우는 일이 점점 늘어만 갑니다.  부모의 유산 문제로 형제간에 다툼하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인간성은 점점 나빠지고 괴로움은 커집니다.  이런 우리의 괴로운 마음을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요? 부부, 형제, 이웃 간의 갈등을 단지 신을 믿고 빈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습니다. 우리 마음속에 있는 욕심을 버려야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기 성질대로 하려는 고집을 버려야 합니다.  이러한 가르침을 주신 분이 바로 부처님입니다. 우리의 괴로움은 탐진치(貪瞋癡) 삼독(三毒)으로부터 ..

[법륜스님의 하루] 상대가 완전히 틀린 경우도 있지 않나요? (2025.02.01.)

정토불교대학 수업에서 상대방이 틀리고 내가 옳은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상대방과 나 둘 중에 한 명이 완전히 틀린 경우도 있지 않나요? 예를 들어, 유럽의 나치 지지자들이나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노약자들이 많이 죽으면 지구환경을 오염시키는 인구가 줄어들어서 균형을 맞추게 되어 좋다는 사람들은 어떻게 봐야 하나요? 그들이 틀리지 않고 단지 다르다고만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생각이 ‘서로 다를 뿐’이라는 불교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것 같아 마음이 힘듭니다. 스님께 현명한 가르침을 구합니다.//  지금 기후 위기가 이렇게 심각한데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 협약에서 탈퇴했잖아요? 또 그린란드나 파나마를 미국이 가지겠다고 하지 않습니까? 그 뿐만 아니라 불법 이민자들을 다..

[shorts, 김홍근 교수] 찾는 그것

지금 이 순간에서 여러분이 깨달을 수가 있어요.깨달을 수 있다는 것은...  저처럼 자기를 찾지 않나요, 여러분? 저만 이상한 사람인가? 여러분도 나름대로 자기를 찾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그죠? 그러니까 찾는 그것이 자기예요.  여기서 깨달아야 돼요.지금까지 내가 나를 찾았다면 매 순간순간 찾던 그것.  계속 나를 찾아왔는데 알고 보면 매 순간순간 나를 찾던 그것이 나였어요.

김홍근_shorts 19:19:35

[Pleia] 내 가치를 인정하고 나를 사랑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나를 조건 없이 사랑하는 방법

나는 왜 내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가치가 있고 어떤 모양으로 있어도스스로를 조건 없이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을 모를까요? 그것은 우리 인류가 수천 년 동안 인간으로서의 나는 ‘가치가 없다’라는 가르침을 받아왔기 때문입니다. 인간이란 무지하고 심지어 죄를 지었기에 태어난다고 여기는 등 인간이 얼마나 부족한가에 집중을 해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간적인 것을 모두 버리고 어떠한 경지에 이르러야 가치가 생기는 듯한 가르침은 지구 곳곳에 있습니다. 이것 이외에도 사회에서 가정에서 누군가가 가치의 기준을 정하고 여기에 이르지 못하면 수치심을 느끼도록 합니다. 그 결과 인간의 가치, 나아가서 나의 가치를 알아보고 인정하는 것이 지구인들에겐 가장 힘든 일 중 하나가 되어 버린 것입니다. 인간으로 태어난 자체가 이미 아무..

마음공부 1 19:17:47

(피올라 정견) 일상에서 깨닫기 #18 - 깨달음을 가로막는 가장 큰 이유, 바로 이것!

지금여기란 말을 시공간적으로 해석하면 전혀 잘못 가는 길입니다.그건 바로 나의 의식이 눈앞에 세상 일체를 보여주며 나타내고 있는 이 자리를 말합니다. 내가 지금 이렇게 세상과 더불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느끼는 바로 이 의식자리입니다.  누구에게나 이 자리가 눈앞에 나타나 벌어져 있고 이 자리와 내 몸은 항상 같이 합니다. 세상은 항상 이 자리 안에 담겨 있고 이 자리가 곧 세상이며 세상이 곧 이 자리입니다. 우리는 3차원 감각, 즉 오온에 빠져서 세상 속에 내가 나타났다 죽어 사라진다, 착각합니다.그러나 세상과 내 몸은 항상 같이 나타나고 사라집니다. 그러니까 세상과 내 몸은 똑같이 서로 분리할 수 없는 한 덩어리의 오감 세계가 만든 감각의 착각이자 환영인 것입니다. 의식하는 자가 있을 때 비로소 의식..

피올라정견 19:16:14

[IAMTHATch] 모든 것의 원인

Look at the bigger picture.-생각을 크게 해보라는 영어 관용구  도울 김용옥은 어떤 강의 중에 우연히 나온 역사의 이야기를 곁들이면서6.25는 1945년 일본 패망부터 시작되었고 동아시아 30년 전쟁은 1975년 월남전을 끝으로 종료되었다고 말합니다.그러면서 마지막에 덧붙인 말로 “역사를 전체적으로 포괄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사실 6.25가 이렇듯 특정 시기를 전후로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사의 세력 판도를 포함한 배경을 아울러야 한다면 조금 더 올라가도 상관없습니다.1945년이 아니라 일본이 패망한 원인을 따져볼 수도 있습니다.더 올라가면 우리가 왜 일본의 식민지로 이런 세력 균형의 최전선이 되어 버렸는지에 대한 100년 전으로 가야 할 겁니다. 이렇듯 원인들을 거슬러 올라..

IAMTHATch 19:13:46

[지식보관소] NASA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블랙홀로 들어갈 때 보게되는 모습을 구현했다.

어제 5월 6일 나사는 슈퍼컴퓨터와 AI를 활용해서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인 이벤트 호라이즌 내부로 들어갈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시뮬레이션 하는 데 성공을 했습니다.   1919년 에딩턴은 상대성이론을 검증하기 위해서 태양이 떠 있음에도 태양 뒤에 있는 별을 관측할 수가 있는 일식이 일어나는 날망원경으로 태양 주변을 관측했고 놀라운 일이 일어납니다. 분명히 태양 뒤에 있어야 하는 별이 태양 옆에서 관측이 된 것이죠.에딩턴의 일식 관측으로 유명한 이 사건은 질량이 있는 물체가 우주의 시공간을 휘어지게 만든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었으며 태양 뒤에 있던 별에서 나온 빛은 태양 때문에 휘어진 시공간으로 이동을 하면서 관측이 된 것입니다. 심지어 이 빛이 휘어진 정도는 상대성이론으로 계산된 값과 정확하게 일치..

[육조단경76] 바로 이러한 때 | 마음공부의 핵심

이 대목이 육조단경에서 아주 중요한 대목 중에 하나예요.유명한 대목이에요.  /선도 생각하지 말고 악도 생각하지 마시오.바로 이러한 때 어떤 것이 명상좌의 본래면목입니까?/ 한자를 보면 불사선 불사악(不思善不思惡) 선도 생각하지 말고 악도 생각하지 마시오.정여마시(正與麽時)바로 이러한 때 나개시(那箇是)어떤 것이 입니까?명상좌본래면목(上座本來面目) 당신의 본래면목입니까? 여기서 사람들이 ‘불사선불사악 정여마시 나개시 명상좌본래면목’이 대목에서 사람들이 좀 이렇게 제 생각에는 제일 중요한 대목을 놓칠 수 있어요.제일 중요한 대목을 놓칠 수 있다.어떤 게 제일 중요한 대목이냐 하면 정여마시 이거예요.정여마시_ 바로 이러한 때 이게 가장 중요한 대목이에요.정여마시_ 이 구절이 반복해서 인용되는 것이 어디냐 하..

지식줌) 언어도 경제도 분리된 인도. 왜 이렇게 달라졌을까?

세계 최대 인구를 가진 국가는 더 이상 중국이 아닙니다.2023년 상반기, 중국에서 인도로 바뀌었고 세계적으로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에도 인도는 향후 압도적 인구수 1위를 지켜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이 거대한 나라 인도의 남과 북에 대해 이야기해 볼 텐데요. 인도의 공식 행정 구역에선 남부의 텔랑가나, 카르나타카, 안드라프라데시, 타밀라두, 케랄라주를 남부 인도로 구분하고 북부를 카시미르, 펀자브, 히마찰 프라데시, 라자스탄, 하리아나 주로 나누지만 그 외에 중앙, 동북부, 동부 서부도 있어 남북을 딱 둘로 나누는 데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행정구역, 언어, 종교, 세대별 인식 등 분류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에 본 영상에선 전통적으로 인도의 남부와 북부의 경계선으로 사용된다고 하는 나르마디강..

(한자) 뭉크의 절규를 닮은 한자의 정체 파헤치기

오늘은 뭉크의 절규를 닮은 한자가 있다고 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입 ‘구(口)’ 자가 들어간 한자 몇 개를 알아볼 건데요. 입 ‘구(口)’자는 글자의 앞에 붙을 수도 있고 글자를 에워쌀 수도 있습니다.이번 시간엔 기초 단계로 쉬운 한자로 구성된 둘러싼 입 ‘구(口)’자를 쓸 겁니다.이렇게 사람 ‘인(人)’을 입 ‘구(口)’에 넣을 건데요. 여기서 입 ‘구(口)’는 울타리, 벽을 뜻하는 뜻이고 사람을 그 속에 넣는 겁니다.그래서 이 한자는 가둘 ‘수(囚)’가 됐습니다. 죄수할 때 ‘수(囚)’예요.  지금 글자도 비슷한 개념인데요. 이번엔 입 ‘구(口)’에 나무 ‘목(木)’을 넣습니다.아까는 사람을 가둔 거였는데, 이건 나무를 묶어 놓은 겁니다.묶어 놨으니, 나무가 힘들겠죠. 그래서 힘들 ‘곤(困)’..

한자공부 19:0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