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12)

[즉문즉설] 제128회 상사와 괘심한 부하직원 사이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Buddhastudy 2012. 11. 15. 04:29
출처 YouTube

얘기를 들어보면 하나는 부하가 잘못이고 하나는 상사가 잘못인데. 부하가 보름간 연기시켰고 이번엔 상사가 또 보름간 연기시켰고. 부하가 연기시킬 때는 내가 상사한테 문책을 당해야 되고 상사가 연기시킬 때는 내가 또 부하한테 독촉을 받아야 되고. 그래서 중간에 끼어서 굉장히 억울하다. 요점은 이거 같애요. 그런데 중간자가 원래 이런 거요. 그런데 이 사람이 제가 볼 때는 자기 책임을 반기했다. 이래 볼 수 있어요. 자기 책임을 반기했다. 자기 역할을.

 

자기가 쏙 빠져나가고 부하 거를 올려서 상사한테로 책임을 떠넘겼다가. 그다음에 또 상사가 지연을 시키니까 부하한테 책임을 떠넘겨서. “너그 둘이 해라.” 하고 지는 쏙 빠졌단 말이오. 지금 얘기를 들어보면. 이것이 제가 볼 때는 중간 관리자로서의 무책임성에 속한다. 이렇게 봐져요. 그러니까 부하가 문제를 제기했다면 부하하고 상의를 해서 이건 이미 결정된 거야. 그러니 너가 최선을 다해서 해봐라 라고 설득을 하고.

 

본인이 도저히 못 하겠다면 위에다가 적당하게 보고할 게 아니고 그냥 이거 연기하면 안 될까요? 이런 식의 보고가 아니고. 지금 이 사람이 도저히 못 한다고 합니다. 제 부하인데 도저히 못 한다고 하니까. 제가 대신할 수 있는 일도 아니고. 그러니 저희 부서에서 이걸 못하겠습니다. 이렇게 보고를 탁 올려 줘야 된다. 그러니까 이 상사가 어떤 결정을 할 때는 밑에 사람이 의견을 딱 첨부해서 올려줘야 되요.

 

어떻게 할까요?” 이거보다 상사입장에서 윗사람 입장에서 아랫사람 엉터리가 없어요. “어떻게 할까요?” 이게. “저는 이렇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할까요?” 이렇게 올려야 돼. 그래야 그렇게 하라든지. 그렇게 안 된다든지. 답을 간단하게 낼 수가 있다. 이 말이야. 그냥 어떻게 할까요? 이래. 이게 상사의 의견을 듣는 태도가 아니고 무책임한 태도다. 이런 얘기요. 또 반대로 물어보지도 안 하고 지가 이렇게 하겠습니다. 이런 사람도 있어.

 

그것도 자기 권한을 뛰어넘는 거다. 결정권이 자기한테 있는 게 아니라 상사한테 있다. 이런 얘기요. 그러기 때문에 내 부하가 잘못해도 내 위 상사가 볼 때는 누구 잘못이에요? 내 잘못이에요. 그런데 내가 빠지잖아. “이거 내 잘못 아니에요. 얘가 문제에요.” 직결시켜주잖아. 이것은 중간 관리자의 태도가 아닙니다. 내 부하가 잘못한 건 내 책임이에요. 내 윗사람한테 내가 책임져야 된다. 이 말이오.

 

그러니까 이 사람이 내가 보기에 중간 관리자로서의 불분명한 태도 무책임한 태도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일단은 위에다 보고를 할 때 확실히 확인을 해서 할 수 있는지 없는지 이렇게 다 확인을 해 의견을 딱 첨부해서 못하겠습니다”. 라고 의견을 첨부하되. “그래도 해야 된다면 어쩔 수 없지마는 일단 저희들은 못하겠습니다.” 이렇게 올려야 위에서도 이거 아래에서 못 하겠다 한다. 이러면 이게 결정이 빨리 난단 말이오.

 

이거 뭐 어떻게 좀 어렵다는데 할까요? 말까요?” 이래 올라오면 위에서도 그게 순서가 밀린다는 거요. 그럼 어떡하나? ? 딴 데 물어봐야 된단 말이오. 딴 데. 시간 낭비를 하지. 그러니 결정이 안 내려 오는 거요. 두 번째 또 위에서 결정이 안 내려 왔는데. 밑에 사람은 자기가 못한다고 해 놓기는 해 놨지마는 하지 말라고 결론이 안 났잖아. 시간이 자꾸 흐르니까 자기도 조급해요? 안 조급해요? 조급하지.

 

못한다고 하긴 했지만 그럼 하지 마라.” 이리 결론이 났으면 왜 조급하겠어. 그런데 만약에 그래도 하라.” 이리되면 어떻게 돼? 시간은 얼마 안 남았고. 그러니까 자꾸 물어본단 말이오. 그러니까 이럴 때도 부하보고 위에 가서 말하라고 말하면 안 되고. 자기가 위에 가서 윗사람을 만나서 이거 어떻게 합니까? 날짜가 며칠 안 남았는데. 하든지 안 하든지 빨리 결정을 해 줘야 됩니다. 이렇게 얘기를 해서 독촉을 해서 받아서 아랫사람한테 내려보내 줘야 되고.

 

윗사람한테는 아랫사람에 대한 책임을 자기가 져 줘야 되는 거요. 이 사람의 고민은 윗사람한테도 책임을 안 지고, 아랫사람한테도 책임을 안 지는 태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지금 고뇌가 생기는 거다. 내가 볼 때는 아랫사람의 문제도 아니고 윗사람의 문제도 아니라는 거요. 살다 보면 이런 일이 생기는 거요. 그때 내가 책임을 져야 된다. 이 말이오.

 

부하직원은 처음엔 자기가 잊어버리고 못했든. 어쨌든 못했든. 못했다고 얘기를 했잖아. 그죠? 그럼 한 번 생각해 보세요. 못했다고 얘기를 했단 말이오. 그러면 그때 문책을 해야지. 그때. 너 왜 이렇게 했는데 안 했느냐? 이래이래 못했습니다. 이거 네가 잘못한 거야. 그렇지마는 내가 그러면 윗사람하고 상의를 해 보겠다. 이렇게 너 잘못을 분명히 해 놔야 되는데. 그때 적당하게 넘어간 거죠.

 

두 번째 다시 부하직원이 이렇게 얘기하면 불러서 얘기해야지. 전에 얘기하지 않았냐? 이것은 너가 만약에 시행을 했으면 이런 문제 자체도 생기지 않았다. 네가 이걸 미적거리고 시행을 안 해서 결국은 이것을 상부에다가 연기신청을 해서 올렸기 때문에 상부에서 결정이 안 내려와서 이게 자꾸 지연되는 거 아니냐? 그러니까 너 마음이 답답하긴 하지마는 그래도 기다릴 수밖에 없다. 문제의 원인은 너로부터 시작이 됐다.

 

그런데 부하직원 입장에 돌아가서 생각을 해 봐요. 자기가 그때는 못하겠다고 해서 반환은 했지마는. 하지 말라는 얘기만 해주면 이 사람이 다시 와서 문제 제기할 필요가 없지. 못하겠다고 했는데 하지 말라는 답이 안 오잖아. 그러니까 초조할 거 아니야. 시간은 자꾸 흐르고. 그러니까 그 사람 자체의 잘못은 아니에요. 그러니까 부하 직원한테 괘씸하게 생각할 거는 아니라는 거요. 오히려 제가 객관적으로 볼 때는 중간자가 이~ 자기 책임을 분명하게 안 하고 있다. 이 글로 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