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24)

[법륜스님의 하루] 한 해를 돌아보는 두 가지 기준. (2023.12.20.)

Buddhastudy 2024. 1. 25. 20:02

 

그래서 여러분이 지난 1년을 되돌아볼 때

어떤 성과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고 아쉬워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추수가 끝나면 뒷마무리를 잘해야 합니다.

또 내년 봄 농사 지을 것도 미리 준비해야 하죠.

겨울을 농한기라고 말하지만,

이 기간에 지난해 농사를 마무리하고

새로 지을 농사를 준비해야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볼 때,

우리는 매우 중요한 한 해를 보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불교의 가장 중요한 가르침을 두 개로 요약한다면

-하나는 색즉시공(色卽是空)이고,

-다른 하나는 공즉시색(空卽是色)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세상을 근시안적으로만 보고 인생을 살기가 쉽습니다.

매일매일 하는 일이나 마주하는 인간관계를 짧게 보면

여러 어려움이 있고 갈등도 있습니다.

그런데 한 10년 후에 되돌아보면

지금 죽고 못 사는 일이 다 별일이 아니죠.

일이 잘돼도 그만 안 돼도 그만,

그와 친해도 그만 갈등을 겪어도 그만,

같이 살아도 그만 헤어져도 그만입니다.

 

지나 놓고 보면 다 별일이 아닙니다.

짧게 보면 매일매일 큰일이 생깁니다.

매일매일 시시각각으로 어려운 일을 겪는데

지나고 보면 별일 아니에요.

큰 눈으로 보고 지구적으로 보면

한 나라가 망하고 흥하는 것이 그렇게 큰일이 아니에요.

 

나라의 측면에서 볼 때는

한 집안이 망하고 흥하는 것은 별일 아닙니다.

큰 틀에서 보면

사람 하나 죽고 사는 것은 아무 일도 아니에요.

자연계에는 수도 없이

새 생명이 나고 죽고 나고 죽고 하지 않습니까?

 

우리가 너무 좁은 눈으로 세상을 보니까

화나고, 짜증 나고, 미워하고, 원망하고, 슬퍼하고, 근심하고 걱정할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 좀 큰 눈으로 보자는 겁니다.

큰 눈으로 보면, 즉 넓게 보고 길게 보면

다 별일 아닙니다.

이게 색이 공한 도리입니다.

색이 공한 도리, 제법이 공한 도리를 알게 되면

괴로울 일이 없습니다.

화날 일도 없고, 짜증 날 일도 없고, 미워할 일도 없고

슬퍼할 일도 없고, 근심 걱정할 일도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괴로움이 없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거지요.

괴로움이 없는 상태가 열반, 니르바나입니다.

 

그런데 인생이란 이런 측면만 있는 게 아닙니다.

다시 공즉시색입니다.

무한한 우주를 보지만

그 무한한 우주도 티끌이 모여서 이루어지고

무한히 긴 시간도 찰나 찰나가 모여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찰나 찰나를 살아갈 뿐입니다.

그런데 이 찰나의 순간이 쌓여서 긴 시간이 되잖아요?

그래서 이 찰나에 깨어 있지 못하면 괴로움이 발생하고

여러 가지 큰 문제가 생기고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그래서 공즉시색입니다.

크게 보면 이래도 되고 저래도 되고, 안 해도 되고 해도 되지만,

이 시간과 이 공간에서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

인연 따라 정해지는 거예요.

 

필리핀 민다나오에 사람이 많이 살든 적게 살든,

거기 이슬람교도가 살든 기독교인이 살든,

전쟁이 나서 죽든 평화롭게 살든,

큰 눈으로 보면 별일 아니에요.

그걸로 너무 분노하거나 괴로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색즉시공의 도리를 알면

내 마음이 여일하게 니르바나의 경지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우리는

나무 한 그루도 함부로 베지 말아야 하고

아이들 공부도 시켜야 하고

신발이 없다면 신발도 신겨야 하고

밥을 못 먹는다면 밥도 줘야 하고

병이 나면 치료해 줘야 하고

전쟁이 나면 막아야 하고

차별 없이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일체가 공()하지만

인연을 따라서는 아주 구체적으로 세세하게

()한 도리도 알아야 합니다.

 

제법이 공()한 도리를 혜안(慧眼)이라고 한다면,

공이 색한 도리를 아는 것이 법안(法眼), 불안(佛眼)이라고 해요.

즉 부처의 눈, 보살의 눈입니다.

 

보살은 중생의 근기와 인연에 따라서 아픔을 치료합니다.

중생이 해달라는 대로 다 해준다는 말이 아니라

인연에 따라 필요한 부분을 충족해 준다는 말입니다.

즉 우리가 어떤 일을 할 때는

세세하게 살펴서 정교하게 일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세부적인 것에 너무 치우치면

번뇌 망상이 일어납니다.

반대로 공함에 너무 치우치면

산속에 들어가서 혼자 살아가야 할지도 모릅니다.

 

하다못해 김치를 담을 때에도 세심하게 일을 해야 합니다.

김치의 간을 어떻게 맞출지

배추를 얼마 동안 소금에 절일지

양념은 어떻게 배합할지 등

세세하게 살펴야 할 부분들이 많습니다.

 

이렇게 세밀한 부분은

사람마다 제각기 다르게 볼 수 있습니다.

제법이 공한 도리와 같이

큰 원리에 보편성이 있다고 본다면,

색한 도리에는 각각의 특수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을 할 때도 꼭 기술이 뛰어나고 지식이 많아야 하는 게 아닙니다.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과 직관력은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일을 할 때는 항상 상황을 먼저 파악해서

앞뒤 순서를 정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일에는 순서가 매우 중요합니다.

 

농사를 지을 때는

거름을 먼저 뿌리고 나서- 밭을 갈고- 씨를 뿌려야 합니다.

밭에 풀을 맬 때도 제때에 맞춰서 풀을 매면 일이 수월합니다.

이렇듯 모든 일에는 다 순서가 있기 마련입니다.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하는 말이 있잖아요.

때를 맞추면 일이 적은데

때를 놓치면 수고로이 일만 많아진다는 뜻입니다.

 

수행의 기본관점도 이와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수행한다고 하면서

제법이 공한 도리를 모르고,

세상의 윤회 속에서 헐떡거리고 사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니면 거꾸로 공이 색 한 도리를 알지 못해서,

허황한 소리를 하는 일종의 수행병에 걸린 사람도 주변에 많이 있습니다.

 

수행자는

감각도 생각도 없이 멍한 상태에 있는 사람이 아니에요.

어떤 일을 하든지 집착하지도 말고 외면하지도 말아야 해요.

일을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서

주어진 조건 속에서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사실 지나 놓고 보면 다 별거 아니에요.

이렇게 하든 저렇게 하든, 지나 놓고 보면 아무 일도 아닙니다.

 

그러나 수행은 별거 아니라는 사실에만 붙들려 있어서는 안 됩니다.

구체적인 현실 또한 항상 잘 살펴야 해요.

그렇다고 현실에 너무 집착해서 근심 걱정에 빠지면,

제법이 공한 도리를 모르는 거예요.

걱정 하나 없이 태평스럽게 이래도 되고 저래도 된다는 생각에 빠지면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어요.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너무 세세한 데 집착해서 번뇌가 많습니다.

도를 닦는 사람들은

너무 공한 도리만 알아서

현실에 맞지 않는 허황한 소리를 합니다.

 

수행자라면 여일함과 세심함

즉 색이 공한 이치와 공이 색한 이치를 둘 다 놓쳐서는 안 됩니다.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아야 합니다.

 

올해가 지나기 전에

나는 어디에 치우치지는 않았는지

자신의 상태를 한번 점검해 보라는 의미에서 이런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럼 남은 한 해를 잘 보내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