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법문/지안스님_선가귀감

지안스님 특별법문 선가귀감 _ 제1회 한 물건 (42:10)

Buddhastudy 2011. 12. 11. 23:34

  방송 보기: 불교TV

여기에 대해서 과거 큰 스님들, 선사들 사이에 있었던 일화, 에피소드를 하나 소개해요. 육조 스님께서 대중에게 말했다. 육조 혜능선사라고 중국에 선불교를 꽃피운 스님이라고 이렇게 말합니다. 달마스님으로부터 중국의 선종불교가 시작 되가지고 육대조사를 거쳐서 그 법이 죽~ 전해져 내려옵니다. 혜가(慧可2)스님, 승찬(僧璨 3)스님, 도신(道信 4)스님, 홍인(弘仁 5)스님, 다섯 분이 대를 이어 법을 전해 내려왔습니다. 여섯 번째 조사가 혜능스님인데, 여섯 번째 조사스님이라 해서 줄여서 육조스님 이렇게 말해요. 육대의 조사다. 이런 뜻이에요. 이 스님께서 제자들에게 대중들에게 어느 날 이렇게 말을 했다는 겁니다.

 

내게 육조스님 자신에게, 이름 없는 한 물건이 있으니 뭐라고 이름을 붙일 수 없는 물건이 하나 있는데, 여기에 대해서 그대들이 아느냐? 이 말이오. 제자들 보고. 내게 한 물건이 있는데 이걸 너희들이 알겠느냐? 이렇게 말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제자들 가운데 몇 사람이 대답을 했어요. 먼저 신혜선사라는 스님이 계셨는데 육조스님의 제자에요. 육조스님의 제자가 많았습니다만 대표적인 제자가 다섯 명이다 이럽니다. 오대제자라 이래요. 南岳懷讓남악회양 선사가 있었고, 靑源行思청원행사 선사가 있었고, 남양혜충 국사스님이 계셨고, 연간 진각선사라는 스님이 계셨고. 여기 나오는 荷澤하택신회선사라 합니다. 하택신회선사가 제일 먼저 나와서 뭐라고 육조스님께 얘기를 하냐하냐면 부처의 본원이며 신혜의 불성입니다. 부처의 근본자리. 부처의 근원이 되는 것, 한 물건이 바로 부처의 근원이다. 이 말입니다. 부처다. 이런 뜻으로 봐도 됩니다. 그리고 내 불성입니다.

 

그 한 물건이라는 것이 내가 가지고 있는 부처의 성품. 불성입니다. 이렇게 말해요. 이렇게 대답을 했더니, 이 대답이 틀렸다는 거에요. 틀렸다는 거. 말로 설명할 때는 그렇게 말할 수 있는데. 한 물건 앞서 설명 드리지 않았습니까? 불성을 두고 한 거다. 마음을 두고 한 거다. 이게 바로 부처, 그 당체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택신회선사가 말을 했더니 이게 육조의 법을 바로 이어받은 적자가 되지 못하고 서자가 되고 말았다. 이렇게 말을 해요. 이렇게 대답한 것이 육조의 서자가 되고 말았다. 적자. 옛날 가문에서도 종가집이 있고, 적손이 있잖아요. 서자는 옛날 가족제도가운데는 쉽게 말해서 양반집 어른이 말하자면은 본부인 외에도 첩을 거느릴 수가 있었어요.

 

그래서 첩에서 난 자식을 서자라 이렇게 이조시대만 해도 양반제도가 있었거든요. 원래 양반이라는 말이 동반서반에서 나온 말입니다마는. 흔히 상놈 이런 말도 썼잖아요. 비어처럼 쓰인 말이기는 했지만은. 그래서 육조스님의 적자가 되지 못하고 서자가 된 이유가 한 물건에 대해서 대답을 잘 못해서 그랬다. 이런 식에요. 선불교는 대답을 잘못하면 큰일 나요. 대답을 한번 잘못해가지고 다음 생에 축생의 몸을 받았다는 이런 얘기 수없이 나옵니다. 오백생의 여우 몸을 받았느니, 이런 설화도 있거든요. 백장스님에 관한 설화에 그런 얘기가 나옵니다. 그래서 서자가 되었다. 이 한 물건을 부처의 본원이며 신혜의 불성이다. 이렇게 그냥 일반적인 말로 설명하는 것은 한 물건을 적중하지 못한 것이다. 이런 뜻이 있는 말이에요.

 

그래서 됐는데, 이 적손의 남악 회양선사라는 스님이(육조스님의 바로 법을 전해 받은 제자입니다.) 있었는데. 혜안선사가 처음 육조스님 찾아왔을 때의 얘기를 또 하나 소개합니다. 회양선사가 숭산에서 왔을 때 숭산에 있다가 육조스님 찾아 왔다는 얘기입니다. 와서 인사를 드렸더니 육조스님께서 떡~ 이렇게 질문을 좀 이상하게 해요. 뭐라고 물었느냐?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는고? 사람이 와서 인사를 하는데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 참 인사 받는게 참 어떤 면에서 우습지 않습니까? 근래에도 그런 큰 스님들이 계셨어요. 통도사에 경봉큰스님이 계셨는데, 스님들이 찾아가서 가끔 이사를 드리거나, 또 신도들이 와서 처음 온 분들에게 주로 이렇게 물었어요. 인사를 드리면 여기 오는 길이 없었는데, 어떻게 왔느냐?

 

우리 무상사로 말하면은 처음 오신분이 있었을 때, 그 처음 오신 분을 보고, 여기 오는 길이 없었는데 어떻게 왔느냐? 말이 안 되잖아요. 길 많잖아요. 서울시내 전역이 다 이리가고 저리가고 길이 있지 않습니까? 통하는데. 이런 질문을 선문이라 합니다. 선문답 할 때. 이건 일반 상식적으로 이야기하는 거와는 차원이 다른 거에요. 그래서 남악 회양선사가 처음 와서 육조스님에게 인사를 드렸더니 하시는 말씀이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 뭐가 왔노? 이 말이죠.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 이렇게 물었답니다. . 자주 이 얘기는 인용하는 얘기에요. 그랬더니 어리둥절해져버렸어. 남악 회양선사가 영문을 몰라. 인사드렸는데,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 회양선사가 어리둥절해서 대답을 못 했다는 거에요.

 

그래 이제 대답을 못하고 그냥 육조스님 밑에 시중을 들고 지내요. 8년이라는 세월이 지났습니다. 8년이 지난 뒤 어느 날, 처음 왔을 때 육조스님께서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 물은 이 말에 대한 말하자면 답이 생각났다할까? 뭔가 이치를 깨달아서 이런 경우는 참선 수행할 때 화두를 들어서 화두가 타파된 순간이 왔다. 이렇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래 다시 육조스님을 찾아갔어요. 제가 스님을 처음 찾아와 인사를 드렸을 때 스님께서 제게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 이렇게 물었었습니다. 제가 영문을 몰라서 대답을 못하고 그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생각하면서 8년을 스님모시고 지내왔다 이거에요. 오늘에서야 스님물음 그 질문에 답을 내가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말해보라. 이렇게 하지 않았겠습니까? 그랬더니 뭐라고 말하더라도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느냐? 이 질문에 대해서 무어라고 말로 이렇게 저렇게 답을 하더라도 이 말입니다. 말로써 이렇다 저렇다. 답을 하더라도 말로 하는 거는 맞지 않는다는 걸 알았습니다. 말로는 할 수 없는 겁니다. 이 말을 한 거에요. 무어라고 말하더라도 말로 하는 거는 스님질문에 옳은 대답이 되는 게 아닙니다. 이런 뜻이에요. 이렇게 대답을 했더니 이게 맞은 답이오. 이게 맞은 답이 되가지고 이렇게 대답한 것이 육조의 적자가 되었다. 육조스님의 법을 바로 이어받은 제자가 되었다. 이 말입니다. 한 물건이라는 걸 이렇게 참 묘하게 설명하고 있죠. 설명이라기보다 한 물건을 이런 식으로 우리에게 말하고 있습니다.

 

불교는 참선할 때 참자가 있어요. . 참선한다 할 때도 어디에 모임에 가는 걸 참석한다. 이러지 않습니까? 참석. 자리석자. 네 발음이요. 내가 경상도 사람이거든요. 그런데 경상도 발음이 원래 표준말이에요. 왜 그러느냐? 경주가 제일 서울을 오래 했어요. 경주. 신라 천년. 그러니까 이 서울은 이조 때부터 서울이거든. 600년 밖에 안됐어요. 천년된 데를 표준말로 해야지. 600년 갖고 표준말을. 그래서 부처님 당시에도 말을 많이 하는 비구스님 한분이 있었어요. 수다쟁이. 말이 많아. 그러니까 옆에 사람들이 모두 너는 무슨 말이 그리 많으냐? 참 말 많다. 흉을 봐요. 이래서 크게 반성을 해가지고 내가 이거 말을 너무 많이 하니까 대중은 싫어하구나. 말을 하지 말자. 될 수 있으면 묵언을 하자. 그래서 말을 안했어. 침묵을 주로 지켰어요.

 

사람들이 중이 갑자기 벙어리가 됐나? 왜 말을 안 해. 벙어리가 됐나. 또 이렇게 흉을 봐요. 그래서 말을 많이 해도 안 되고, 안 해도 안 되고, 부처님한테 물어봤다던가. ‘부처님! 말을 이해도 흉을 보고, 말을 안 해도 흉을 보고, 적당하니 하면 흉을 안볼까요?’ ‘적당하게 해도 흉을 볼 거야.’ ? 말을 하려면 화끈하게 속 시원하게 하든지, 안하려면 입을 닫든지. 흉을 잡으려하면 이래도 흉이고 저래도 흉이고. 우스개얘기지만 우리 사람 생활에 이런 게 있어요. 한 가정안에 가족들이 모여 사는데 이래도 흉, 저래도 흉. 흉 잘 잡는 사람들이 있어요. 처사님들도 흉 잘 잡는 분 있고, 보살님들도 잘 잡는 분 있고. 불교는 뭐에요? 흉을 안 잡아야 되요. 그냥 얘기로 한마디 했습니다.

 

한 물건이 있다는 말로 선가귀감의 첫 구절이 시작됩니다. 이 한 물건이란 굳이 말로 설명하자면은 우주만유의 본원인 법성, 혹은 불성의 당체. 그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름도 없고, 모양도 없는 것이면서. 쉽게 말해서 내 본래 마음이 그런 것이에요. 마음. 마음이 죽는다. 생각하지 마십시오. 마음은 안 죽는 거에요. 앞서 열반경에서 설해져있는 내용 한번 소개했지 않습니까? 간략히. 그래서 불교는 불생불멸하는 거 이걸 믿는 거에요. 이걸 진여라 합니다. 진여. 그래서 대승의 믿음에 와서는 이 진여부터 믿기 시작하는 겁니다. 진여를 믿고, 이걸 근본을 믿는기라. 이래요. 그러고 나서 불법승삼보를 믿는 겁니다. 진여를 먼저 믿고, 불법승. 우리 흔히 삼보라 하지 않습니까? 이걸 믿는 거에요.

 

그래서 불생불멸하는 한 물건. 이걸 믿는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겁니다. 이름도 없고, 모양도 없는 것이면서 만유를 생성케하는 무한한 능력을 가진 것으로 모든 능동적인 역할, 달리 말하면은 사람이 생각을 일으키죠. 뭐가 생각을 일으킵니까? 생각을 일으키는 것이 한 물건이에요. 한 물건이 없으면 생각을 못합니다. 보지도 못하고 듣지도 못하는 거에요. 그렇지 않아요? 우리가 마음을 쓸 때, 그때그때 마음에 어떤 감정이 언치는 수가 있죠. 예를 들면 슬퍼질 때. 슬퍼지는 게 뭐가 슬퍼지는 거에요. 한 물건이 있기 때문에 슬퍼지는 거에요. 기뻐질 때, 역시 한 물건이 있기 때문에.

 

희로애락이라는 감정이 한 물건에 의해서 생기는 거지, 한 물건이 없으면 슬픈 것도 없고 기쁜 것도 없는 겁니다. 달리 말하면 행복도 없고 불행도 없는 거에요. 한 물건, 한 물건이 있었기 문에 천지가 나온 거고, 한 물건이 있기 때문에 많은 일체중생이 이 세상에 살게 된 것이고, 뿐만 아니라 산에 가면은 나무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식물들도 수없이 많거든요. 한 물건에 의해서 다 나온 거에요. 이게 서양종교식으로 말하면 창조주에요. 창조주. 한 물건. 이걸 불교에서는 특히 선불교에서는 깨닫는다. 이러는 거에요. 이 한 물건을 깨닫는다. 그러면 선에서 말하면 견성한 것이고, 일반적으로 말하며 도를 깨친 것이다. 이렇게 말하는 거에요.

 

사람의 마음을 두고 한 물건이라 일컬은 것이다. 우리 마음. 우리 사람보고도 저 물건이 왜 저러냐? 이런 말 하대요. 하기는. 못마땅한 일을 할 때, 그 물건 참 이상하다. 이런 말하고, 사람보고 물건이라는 말을 경상도 가면 자주 써요. 서울사람 안 쓰나 모르지. 표준말만 쓰니까. 금강경오가해설이라는 글이 있는데요, 한 물건을 일착. 한 덩어리. 이렇게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한 물건. 이걸 찾는 게 불교에요. 선불교는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 마음 찾는다. 이런 말도 하거든요. 선은 달마스님이 중국에 선법을 시작하면서 내건 기치라 할 수 있는, 선의 기치, 선의 종치라 할 수 있는 말이 있어요. 교외별전. 교외별전이라는 말은 교는 부처님경전을 말해요. 부처님 말씀을 수록해 놓은게 경전인데. 교밖으로 특별히 전했다는 거에요.

 

불입문자. 문자를 세우지 아니한다. 이거는 이론이나 논리적인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거에요. 문자를 세우지 아니한다. 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켜서 直指人心직지인심. 성품을 보아 부처가 되게 한다. 견성성불. 교외별전. 불입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이라는 사구, 송이 있는데, 그게 선의 근본 종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래 알려져 있습니다. 불교는 이걸 참한다. 이래요. . 참구한다. 그러니까 생각을 간단히 해서 간단히 이해하고 넘어가는 거는 참 공부가 아니에요. 경전도 참해야 되. 참하면서 공부를 해야 되는 거에요. 염불도 가령 아미타불염불을 할 때 아미타부처님이 어디에 계신가?

 

고려 때 나옹 스님은 이렇게 가르쳤습니다. 그럴 때는 염불하면서 참선하듯이 공부를 한다 해서 염불선. 이런 말을 써요. 그래서 참하는 마음으로 불교를 하는 거다. 결론은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 선가귀감 첫 구절 설명 드리면서 참고 되는 얘기를 몇 가지했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서 마치고, 이제 이 몇 번하려니 모르겠습니다. 열 번 넘어 할 거에요. 그러니까 다음주 목요일에도 올 건데. 그때 가서 많이 오면 계속할거고 안 오면 나도 그만할 거에요. 하하핳. 안녕히 계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