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지그라운드(2024)

은혜를 원수로 갚은 배은망덕한 [제갈건] 마지막회

Buddhastudy 2021. 9. 2. 18:59

 

 

 

...

8:53

 

역사적으로 보면

양진하고 왕밀이라는 인물이 있는데

양진이 왕밀이라는 사람을 잘 이렇게 해서

공직을 하나 줘서 앉혀 주는데

 

그것이 고마우니까

나를 이렇게 먹고 살게 해 주는데

요즘으로 치면 공무원 만들어준 게

얼마나 고맙겠냐는 거예요. 왕밀 입장에서는.

 

그러니까 자기 딴에는 자기가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바리바리 비단이니 황금이니 싸 들고

밤에 찾아가더라는 거예요.

 

선생님 너무나 감사합니다.

저를 이렇게 공직에 앉혀 주셔서하고 밤에 찾아가니까

 

이 양진이 하는 소리가

내가 지금 이따위 비단 몇 필 받고

황금 자네한테 받자고 자네를 거기에 앉혀 준 게 아니라

자네가 그 정도의 실력이 있고 하기 때문에

내가 다 그런 것을 감안해서 앉혀 준 거다.

이런 건 필요 없다 갖고 가시게하니까

 

그러면서 왕밀이 양진에게

지금 야밤이라 밤이 깊었기 때문에

이건 선생님과 저만 아는 일이지 제가 뇌물 드리고 한 거 아무도 모릅니다.

우리 둘만 입 다물면 아무도 모르니까

아무도 세상에 알 사람이 없습니다.

이거 받아주십시오 하니까

 

양진이 거기에서 안색을 싹 바꾸더니

이 사람아 뭔 되도 않는 소리냐?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당신 왕밀 니가 알고

양진 내가 알지 않느냐?”

 

사지라는 말이 거기에서 나온다는 거예요.

아무리 못해도 하늘과 땅 너와 나, 넷은 안다는 거예요. 넷은.

 

근데 현대 사회에서 지금 서울 시내 돌아다니면

하루에 CCTV200회 가량이 찍힌다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면서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그런 것은 뭐

사람들이 이제 좀 약간 웃긴 얘기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거예요.

 

그랬을 때 우리가 대학이라고 하는 책을 보면

동양 철학에 입문한다고 그럴 때

보통 대학 내지는 논어로 입문하는 경우가 많다는 거예요.

근데 대학에 보면 신기독 무자기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는 거예요.

 

신기독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하면 홀로 있음을 삼가라는 뜻이라는 거예요.

사람들이 속된 말로 아무도 안 본다고 생각을 하면

예를 들어서 밤에 가족들하고도 굿나잇 하고

방에 들어가서 불 딱 끄면

아무도 안 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별의 별짓을 다 한다는 거예요.

 

속된 말로 트림도 꺾꺽 하고, 방귀도 뿡뿡 뀌고 하는데

그렇게 홀로 있을 때

나 혼자밖에 없는 상황에서 조차도

삼가고 조심하고 하라는 것이 신기독의 정신이거든요.

 

그리고 신기독 무불경 무자기

이렇게 해서 나가는데 그러면서 무자기 이야기를 한다는 거예요.

하늘이 알고 땅이 아는 거?

나 그런 거 안 믿는다.

하늘 땅? 그거는 그냥 자연이지.

하늘 땅이 눈이 달렸어? 귀가 달렸어? 뭔 소리야?

그리고 저놈하고 나, 당사자들끼리만 서로 같은 배 타고

죽을 때까지 함구할 수도 있는 거지

그러면 가능하다는 거예요.

서로 둘 다 발설하지 않을 수 있다는 거예요.

 

근데 무자기라는 것은

스스로 내 스스로 스스로를 속이지 말라고 하는데

이거는 자연적인 진리라는 거예요.

내 스스로를 속일 수는 없다는 거예요.

 

스스로를 속이지 말라.

했을 때는 어떤 그 부끄러움

부끄러움이라는 것은

무자기와 신기독의 정신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좀 들고

 

제가 아마 그러한 정신을 그때

중학교 때 그런 걸 알기 쉽지 않겠지만

조금이라도 그것에 대한 지각이 있었다면

그래서 그때 선생님 한테 받았던 은혜를

그렇게 정말 무뢰배처럼 그런 식으로 갚지는 않지 않았을까 하는

너무나 지금 생각해도 죄스러운 생각이 들고

 

선생님께서 제가 좀 더 시간이 지나서 한 번 꼭 찾아뵙고

큰절 한번 올리고 싶어요. 사실 개인적으로.

큰절 한 번 올리고, 정말 죽을 죄를 지었다고 말씀을 꼭 드리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