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덕마음공부, DanyeSophia

[현덕마음공부] 지금 괴롭다면 알아야 할 단 한 가지

Buddhastudy 2023. 10. 30. 20:00

 

 

마음의 괴로움은 집착에서 온다.

집착은 나를 실체라고 보기 때문이다.

괴로움을 종식시키려면 그토록 애지중지하는 나에 대한 집착을 놓아야 한다.

그것을 위해서는 나의 실체를 알아야 한다.

연기법은 모든 것이 조건부로 발생하고 소멸한다고 한다.

이에 따라 영원한 것도 원래의 영원한 존재도 없다는 논리적 귀결에 이른다.

그런데 영원하고 싶은 자아의 욕망을 우리는 놓을 수 없고,

그 욕망이 무상과 무아라는 현실에 의해 거부될 때

우리는 좌절과 괴로움을 경험하게 된다.

무상과 무아를 알게 되면

자아에 대한 집착이 끊어져 근본적으로 괴로움을 벗어날 수 있다.

그 무상과 무아는 연기법의 논리적 귀결이다.//

 

 

오늘은 연기법, 부처님의 연기법이 괴로움의 소멸에 도움이 될까?

괴로움, 그러면 현대화로는 스트레스죠.

스트레스는 아주 미약한 스트레스에서부터

우리의 몸과 마음을 갉아먹는 아주 무거운 중한 스트레스까지

그게 괴로움이죠.

 

불교의 기본 교리 중에 연기법이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그 연기법이 실제로 괴로움의 소멸에 도움이 될까? 라고 하는 얘기를

한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처님이 깨달은 분이잖아요.

붓다라고 하는 것 자체가 깨달은 자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계속 제자들이 물어봐요.

또는 다른 사람들이 물어봐요.

당신은 누굽니까? 사람입니까? 신입니까?’ 이렇게 물어봤을 때

붓다는

나는 사람도 아니고. 신도 아니고. 나는 그냥 깨달은 사람이다. 깨달은 자다.’

이렇게 깨달은 자다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그러니까 제3의 정체성을 얘기한 것이죠.

 

그럼, 그 다음 질문이 나오지 않겠습니까?

뭘 깨달았는데요?’ 이렇게 물어보는 것이죠.

 

그래서 부처님의 얘기는 딱 한 마디가 있습니다.

나는 연기법을 깨달았다.’ ‘세상 만물은 연기한다라고 하는 법칙을 깨달았다.

이렇게 되는 것이죠.

오케이, 그럼 연기법이 뭔가 하는 것은 차치하고라도

그 연기법으로 괴로움을 소멸시킬 수 있습니까?’라고 물어본 것이죠.

 

그러면 연기법이 어떻게 괴로움의 소멸로 이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서

우리는 살펴봐야 되겠죠.

 

 

그러기 위해서 첫 번째, 연기법이 뭔가? 하는 것을 간략하게 짚어보고 가야 하겠죠.

그러면 연기법이라고 하는 것은

그때 당시에 인과법이라고 하는 게 있었지 않습니까?

지금도 마찬가지 원인과 결과

시간적으로 원인이 앞서고 결과가 뒤에 서는 것이죠.

 

그래서 인과법 대신에 연기법이라는 말을 사용해서 씁니다.

비슷한 말 같지만 완전히 다른 얘기죠.

구조가 다르다는 얘기입니다.

 

그 인과법은

이것 때문에 저것이 생겼다라고 하는 거잖아요.

근데 연기법은 뭐냐 하면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반드시 있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있으면 반드시 저것이 있다라고 하는 것이죠.

서로 의존하고 있다. 또 서로 대칭 관계에 있다. 서로 짝하여 있다.

이렇게 되는 거죠.

 

그러니까 그게 예를 들면

선과 악은

선 때문에 악이 있다, 악 때문에 선이 있다.

이런 말은 하지 않지 않습니까?

 

선과 악은 서로 대칭이다.

선이 있으면 악이 있고, 악이 있으면 선이 있다

이런 것이죠.

밝음이 있으면 어둠이 있고, 어둠이 있으면 밝음이 있다.

이렇게 얘기하지 않습니까?

 

근데 어둠 때문에 밝음이 있다거나, 밝음 때문에 어둠이 있다거나 라고

인과관계로는 말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대칭을 이루는 것들이 우주의 기본이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가 있겠습니다.

 

이것이 있음으로써 저것이 있다.

이것이 있으면 반드시 저것이 있다.

 

좋은 일이 있다라고 하는 것은

개념적으로 나쁜 일을 전제하지 않고는 이 단어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연기법의 개념은 이렇고

연기법이 그러면 현상에서

우리 앞에 펼쳐지는 삶에서 일어나는 작동의 모습은 이런 것이죠.

모여서 함께 일어난다.

이것 때문에 이것이 일어난다가 아니라

동시에 모여서 함께 일어난다라고 하는 겁니다.

 

그것이 바로 유명한 조건발생, 컨디션

조건이 충족되면은 발생한다, 일어난다

이렇게 표현하는 겁니다.

 

그래서 만물은

이 세상의 모든 현상

기업 활동, 정치 활동, 우리의 건강, 인간관계, 그 물건들,

이 모든 현상

그리고 그 현상 중에 가장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나라는 육체와 정신 활동 관념,

나라는 자아

이런 것들 포함해서 만물은

전부 조건부로 발생하고, 그 조건이 다하면 해체된다.

 

그래서 조건발생, 조건소멸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라고 이야기하는 거죠.

그러니까 연기법이라고 하는 것은

조건발생 조건소멸이라고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인과관계라고 하는 시간적인 것과는 다르다.

이건 오히려 공간적이다.

이렇게 말할 수가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연기법의 논리적 귀결이 2개가 있는데

그 하나가 [무상]하다는 것이죠.

그 영원한 것은 없다.

왜냐하면 조건이 형성되어서 만들어진 것은

조건이 한두 개 빠지기 시작하면 해체될 거 아닙니까?

그러니까 영원할 수가 없겠죠, 조건부니까.

그래서 영원한 것은 없다라고 하는 결론이 하나 나오고요.

 

두 번째 조건부로 만들어졌다가 조건부로 없어지는 이런 것들은

실체가 아니다.

그러니까 그 자체로 영원하고 불변하는 어떤 실제. 어떤 실체

이런 것이 아니다, 라고 이야기를 할 수 있겠죠.

 

그래서 이 영원한 자아라든지 이런 거는 없다.

그게 무아론이잖아요.

 

그러니까 나라고 하는 것을

우리는 죽는다는 건 알지만, 몸은 어쩔 수 없이 죽더라도

영혼은 영원하고 불멸하면서

영원히 존재하는 어떤 실체라고 생각하고 싶잖아요.

그렇게 해서 내세를 위해서 여러 가지 활동도 하고.

 

그런데 우리의 몸이든, 우리의 정신 활동이든

영원하지 않으며

조건부로 발생하고 조건부로 소멸하기 때문에

자아라고 하는

그때 당시에는 아트만이

영원불멸한 영혼 이런 정도로 해석되겠는데

그런 것은 없다 하는

무상과 무아라고 하는 두 가지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그러니까 연기법을 이해하게 되면

무상과 무아라고 하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렇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연기법은

무상과 무아를 우리에게 논리적 귀결로서 알려주고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선뜻 받아들이기가 힘들죠.

 

왜냐하면 인간은 살아있는 생명체고

살아있는 생명체는 잘먹고 잘살기를 원하고

오래 살기를 원하고, 죽지 않기를 원하고, 영원히 살기를 원하지 않습니까?

심지어는 몸은 죽어도

뭔가 영혼이라고 하는 게 있어서 영원히 이어지기를 원하지 않습니까?

 

그런 욕망, 그런 열망이 가득 차 있는 우리가

무상한 것이며, 실체가 없는 것이다라고 스스로 자아를 해체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겠죠.

엄청난 저항감이 듭니다.

그래서 이것 때문에 당연히 인도에서 7세기 이후에

불교가 아예 사라져 버리죠.

 

연기법의 논리적 귀결인

무상과 무아를 받아들이지 못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느냐?

괴로움이 일어나는 겁니다.

 

그러니까 붓다적으로, 불교적으로 말하자면

괴로움이라고 하는 것은 이런 겁니다.

 

우리는 영원하기를 바라지만

무상하며 무아인 실제 진실을 만나는 진실의 순간이 있겠죠.

그래서 이 진실의 순간을 만나서

우리의 생각, 그러니까 영원한 자아, 영원불변하는 영혼

이런 것에 관련된 집착이

그런 욕망을 낳는데

그것이 현실에서 거부가 되잖아요.

 

그럼 우리는 좌절을 하게 되고

그 좌절을 하게 되면 괴로움이 온다, 괴롭다라고 하는 것이죠.

 

그래서 인도말로 괴로움이라고 하는 두카인데

두카의 사전적 의미는

나의 생각과 같지 않다라고 하는 것이 그러니까 뭡니까?

내 생각과 실제는 다르더라.

내 생각이 실제 현실에 부딪혀서 좌절될 때 괴로움이 오더라

이렇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연기법이라고 하는 것은

나의 비실체성

또는 나의 실체는 비어 있다 같은 얘기죠.

이것을 철저하게 알려줌으로써

집착으로부터 벗어나서 괴로움의 소멸이 가능한

이것이 근본 해결책이다.

이렇게 얘기를 하니까

연기법이 괴로움의 소멸에 도움이 된다

이렇게 얘기를 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