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간단한 타임아웃 방법이지만
이것을 잘못 사용하게 되는 실제적인 예들을 공유해드려 보겠습니다.
잘못 사용한 예들을 많이 보실수록
“이렇게 사용하면 안 되는구나”를 더 잘 이해하시게 되고
역설적으로 타임아웃을 더 잘 사용하실 수 있게 될 거예요.
어떤 엄마는 44개월된 아들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 엄마는 아이를 훈육할 때 가능한 대화로 하려고 노력한다고 하세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행동을 하게 되면
그것에 대해서 아이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말로 설명을 해준다고 합니다.
그런데 아이가 훈육 과정에서
엄마 말에 집중하지 않고 자꾸 다른데 보기도 하고
화제를 돌리거나 다른 얘기를 하려고 하거나
혹은 갑자기 쉬가 마렵다고 하고
나중에 물어보면 결과적으로 엄마가 뭘 물어봤는지 자체를 아이가 모른다고 하는 경우도 많고
자기가 뭘 잘못했는지도 모르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이 아이는 엄마가 훈육하려고 얘기하자고 하면
일단 울기부터 한답니다.
그러면 엄마는 아이가 우는 동안 일단 기다리기도 하고요.
이런 경험을 하고 나니 이 엄마는
아이에게 생각하는 의자를 사용해야겠다고 생각하셨어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행동을 했을 때 다음부터 또 문제행동을 할 경우
생각하는 의자에 앉게 될 거라고 아이에게 말해주었습니다.
이제 이 엄마는 생각하는 의자를 준비했고
아이가 문제행동을 드디어 하게 되자
생각하는 의자에 아이를 3분 동안 앉게 했습니다.
알람을 3분에 맞추어 놓고
알람이 울리면 의자에서 일어나서 엄마에게 오라고 아이에게 말해주었어요.
그런데 문제가 있었는데
이 엄마는 이 다음부터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르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엄마는 아이가 생각하는 의자에 앉으면
정말 자기가 잘못한 것을 실제로 생각을 하는지가 궁금했습니다.
그러나 아이를 실제로 생각하는 의자에 앉혀 놓으면
자기 손을 가지고 놀다가
엄마와 이야기할 때면 전에 했던 것처럼
또 딴소리를 하면서 문제행동을 다시 반복하게 되는데
아이가 자기 잘못을 전혀 반성한 것 같지가 않더래요.
그래서 아이가 의자에 앉은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아이를 생각하는 의자에 또 앉혔답니다.
이런 식으로 아이가 문제행동을 반복할 때마다
수시로 생각하는 의자에 앉게 했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문제행동이 개선되지가 않더래요.
그래서 아이가 문제행동을 할 때마다 생각하는 의자에 아이를 다시 앉혀야 하는지 궁금하고
알람이 울리고 나서 엄마한테 오면
잘못한 거 생각해봤냐고 물어봐야 하는지
아니면 아이 이야기를 들어주어야 하는지도 헷갈린다고 하십니다.
여러분은 이 엄마와 아이의 케이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럼 이 모자의 케이스를 분석해보도록 하죠.
일단 이 엄마의 훈육 방식 중에 확연히 눈에 띄는 잘못된 점이 하나 보입니다.
혹시 그 점이 보이시나요?
그 점이 뭐냐면 이 엄마가 아이에게 훈육할 때 말이 너무 많다는 거예요.
쉽게 말해 이건 잔소리입니다.
아넷 라루의 연구에 의하면
중산층 부모들은 아이와 대화를 하는 것이지
일방적으로 잔소리를 하는 부모들이 아닙니다.
중산층 부모들은
아이를 미래에서 온 성인으로 생각하고
가능한 동등한 입장에서 토론을 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 엄마의 경우엔 아이와 대화를 하는 게 아닙니다.
일방적인 잔소리에 가까운 거예요.
이것에 대한 증거가 뭐냐면
아이가 엄마가 잔소리를 할 때, 물론 이때 이 엄마는 자신이 훈육한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아이 입장에선 이것이 잔소리이므로
기분이 나쁘고 화가 나기도 해서 듣기가 싫은 거예요.
좋은 얘기도 3번 이상 들으면 짜증난다고 하는데
좋은 얘기도 아니고 자기가 잘못했다고 지적하는 엄마 이야기를 계속 반복적으로 들으니 얼마나 싫겠어요?
그래서 이 아이가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뭐냐면
엄마가 잔소리를 그만 하도록
엄마의 주의를 자꾸 다른 곳으로 돌리려고 노력한다는 거예요.
이를 위한 방법으로서 44개월된 아이가
창의적으로 시도한 것이 뭐냐면
엄마가 잔소리할 때 다른 곳을 본다든가
쉬가 마렵다고 해서 그 상황을 일단 모면하려고 하거나
화제를 돌려버리는 방법을 사용한다는 겁니다.
또 이 아이는 고작 44개월밖에 안 되었기 때문에
엄마의 장황한 말을 이해를 못하는 거예요.
자기에게 좋은 이야기도 아니고 자기를 혼내는 이야기인데
그것도 장황해 버리니까 집중하기도 싫고
그래서 실제로 엄마가 하는 이야기의 핵심을 이해를 못하는 겁니다.
그러니 나중에 자기가 뭘 잘못했는지도 모르는 상황이 되는 거죠.
그래서 이런 상황이 당연한 겁니다.
특별할 것이 하나도 없어요.
엄마가 잘못하니까 아이가 저렇게 되는 겁니다.
이 엄마 입장에선 이렇게 시행착오 경험을 했다면
문제의 원인을 수정하고 검증된 올바른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데
생각하는 의자의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아이를 또 다시 생각하는 의자에 반복적으로 앉히는 악수를 또 두게 됩니다.
이런 상황을 보고
상처난데 소금 뿌린다고 하는 거예요.
그래서 상황이 점점 안 좋아지는 겁니다.
부모가 생각하기에 44개월 된 아이가 문제행동을 분명히 했다고 판단이 되면
이때 말을 많이 하실 필요가 없어요.
말을 많이 하시면 오히려 안 되는 상황이에요.
대화를 해야 하는 상황이 아닌 겁니다.
그냥 이 상황에선
아이가 무엇을 잘못했다는 것을 간략하게 알려주고
아이와 합의된 벌을 실행한 다음
상황을 끝내시면 되는 거예요.
이렇게 간단하게 상황을 끝내면 될 것을
자꾸 미주알 고주알 아이에게 안 좋은 소리를 하니까
아이가 자꾸 화제를 돌리려고 하고
나중에 보면 자기가 잘못한 것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상태로 끝나는 겁니다.
생각하는 의자는
생각하는 의자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사실 이건 아이가 자신의 잘못을 생각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에요
타임아웃이란 개념은
아이의 생각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이 근본적으로 아닙니다.
이 점을 우선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어요.
타임아웃은
행동주의 기반의 행동수정 방법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행동주의 심리학에선 인간의 행동만이 연구 대상이에요.
따라서 행동주의 심리학에선 지적인 사고과정은 연구대상이 아니에요
생각하는 의자는
생각이라는 단어가 용어 안에 포함되어 있지만
사실은 아이의 생각을 유도하는 의자가 전혀 아니고
단지 아이의 문제행동을 의자에 앉는 행동을 통해 약화시키는
여러분이 지난 시간에 배웠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의 벌에 해당하는 조작물일 뿐입니다.
물론 생각하는 의자라는 이름처럼
아이가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자신의 잘못을 성찰하면서 반성하는 기회가 되면 좋겠지만
그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44개월 된 아이는 절대로 자신의 잘못을 성찰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뇌과학에 따르면 44개월 만에 아이의 이성적인 뇌가
잘못을 성찰할 만큼 발달하지 못합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세요.
학교도 안 간 아이가 무슨 자기 잘못을 성찰을 해요?
그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에요.
여러분은 본인이 44개월 때 무슨 생각을 하며 살았는지 기억이 나세요?
만 4세도 안 된 시점에 아이가 무슨 생각을 해요.
이 때엔 아이에게 사고력 자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니까요.
만 4세가 안 된 아이들은 생각을 못해요.
뇌가 그만큼 발달을 못했으니까요.
그래서 이 때의 아이들은
이성적인 사람보다는 강아지와 같은 본능적인 동물에 가까운 거예요.
'인생멘토·코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멘토 임작가] 규율의 확립 - 아이 앞에서 부모의 권위를 세우라 6편 (0) | 2022.07.14 |
---|---|
[인생멘토 임작가] 규율의 확립 - 아이 앞에서 부모의 권위를 세우라 5편 (0) | 2022.07.13 |
[인생멘토 임작가] 규율의 확립 - 아이 앞에서 부모의 권위를 세우라 3편 - 생각하는 의자 제대로 사용하는 방법 (1) (0) | 2022.07.06 |
[인생멘토 임작가] 규율의 확립 - 아이 앞에서 부모의 권위를 세우라 2편 (0) | 2022.06.30 |
[인생멘토 임작가] 규율의 확립 - 아이 앞에서 부모의 권위를 세우라 1편 (0) | 202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