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즉문즉설(2025)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_ 금강경 마음다스리는 방법

Buddhastudy 2025. 2. 13. 20:30

 

 

금강경 공부 중에 단어나 글자로 보지 말고

그 본질을 꿰뚫어 보는 것임을 스님께 배울 때는

머리가 맑아지고 세상이 환해지고 감동으로 느낍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

업식으로 돌아가 버리는 이 마음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치를 모를 때는 법문을 듣고 이치를 알아야 되고

이치는 아는데 그게 실생활에서 실천적으로 안 되는 거는

그거는 방법이 없어.

 

유일한 방법이 한 가지 있는데

그걸 뭐라 그런다?

연습, 계속 연습해야 돼.

 

그러니까 자전거를 어떻게 탄다고

한 번 가르치면

계속 자전거 어떻게 탄다고 가르쳐준다고 되는 게 아니고

자전거를 끌고 계속 넘어지고 자빠지면서 연습을 해야 돼.

 

그럼 넘어지고 자빠지는 게 안 되는 게 아니고

많이 넘어질수록 더 안 되는 게 아니고

많이 넘어질수록 타지는 쪽에 가까워진다, 이런 얘기예요.

 

그러니까 그걸 계속 연습을 해야 되는 거야.

화가 턱 났다가

내가 집착했구나,

왜 집착했지?

내가 또 옳다는 상을 지었구나.”

 

이렇게 또 돌아오고

또 넘어지고

그래 놓고는 금방 또 성질을 내고

또 돌아오고

이렇게 계속

한 번 성질 내는 게, 넘어지는 거하고 같은 거예요.

 

넘어지면 또 일어나고

넘어지면 또 일어나고

넘어지면 또 일어나고

넘어지면 또 일어나고

이렇게 꾸준히 연습을 해야 돼.

 

그러면 연습을 몇 번 하면 됩니까?

100번 해서 안 되면 100 한 번 하고

천 번 해서 안 되면 천 한 번 하고

만 번 해서 안 되면 만 한 번 하고

아니 만 번을 해도 아직도 안 됩니다.”

 

안 그래.

만 번 하면, 만 번 연습을 하면

어떤 문제가 하루에 10번 생겼다.

그러면 처음에는 10번 다 안 됐는데

1만 번쯤 연습하면 10번 중에 한 8번은 돼.

아직도 안 되는 경우가 있지만은

옛날하고 비교하면 많이 좋아졌어.

 

그러니까 100% 돼야 된다.

이렇게 생각하면 안 돼.

100% 되려면

그거는 부처님이 돼야 100% 되지.

우리는 부처님에 가까이 가지

100% 되는 거를 목표로 하면 안 되고

 

옛날보다 뭐 해진다?

좋아져야 된다.

옛날에 하루 10번 화냈다면 앞으로 5번 화내고

옛날에 10번 냈다면 이제 3번 내고

옛날에 10번 냈다면 이제 2번 내고

이렇게 자꾸 줄여가는 게

우리가 살아가는 과정이다.

 

그래서 아직도 스트레스가 조금 있기는 있지마는

거의 없는 거나 다름이 없다.

계속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

 

뾰족한 수가 있는 줄 알고 물었을 텐데

없었어 미안해요.

 

...

 

꾸준히 물러서지 말고 연습하는 거를 뭐라 한다?

정진한다 그래요.

정진한다.

 

정진한다는 말은

애쓰고 노력한다이런 얘기가 아니라

안 되면 또 하고

안 되면 또 하고

안 되면 또 하고

 

그것이 안 된다고

괴롭거나 좌절하거나 절망하거나 물러서는 마음을 내도 안 되고

다 되려고 막 애를 쓰고 그래도 안 되고

그냥 이 길이다하면

그냥 꾸준히

다만 갈 뿐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