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그 미래를 상상하는 법이라는 주제로 시작했던
시크릿 심상화 이야기 세 번째 영상 시작할게요.
여러분 혹시 지난 영상 끝부분 내용 혹시 기억하세요?
만약에 기억이 안 나시면
그냥 다시 한 번만 보고 오세요.
보고 오셔야 이 영상 내용이 확실히 이해 갈 것입니다.
오늘은요.
시크릿에서 말하는
심상화 자체가 가지고 있는 심각한 함정에 대해 한번 알아볼게요.
지난 영상에서 마무리할 때
어떤 목표가 이루어진 상황을 심상할 때
착각이 하나 숨어 있고
그리고 그 착각 때문에 뭐다?
여러분의 심상화 자체가 배신당한다라고 말을 했었습니다.
그게 무슨 소리인지 한번 알아볼 거예요.
그리고 이 사실을 알고 나면
이제 심상화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실행하게 될 것입니다.
첫 번째 알아야 될 것
먼저 알아야 될 것
바로 상징과 본질이라는 것의 관계예요.
보통 우리의 현실은 나타나 있는 그 모습
그대로가 본질적인 정체라고 생각합니다.
즉 현실이 되게 정직하다라고 생각을 하죠.
현실 상황 그대로가 의미이고 가치라고 생각을 하는 거죠.
그래서 어떻게 해요?
원하는 상황
즉 내가 목표로 하는 결과인
‘현실의 상황 그 자체만을 추구’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100억 부자라는 현실이 있다고 칠게요.
그리고 나는 그 현실을 원합니다.
그렇게 되고 싶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해요?
100억을 가진 상태를 심상화합니다.
나는 100억 부자가 되고 싶고
100억 부자가 되기 위해서 100억을 가진 상태를 심상화하는 거죠.
정리됐죠.
이때 이 심상화 진행하고 있는 이 마음은
어디에 집중되어 있습니까?
어디에만 어떻게든 100억을 가진 그 상황 자체에만 몰입되어 있어요.
즉 100억을 가졌다라는 현실
그 자체만을 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때 우리의 마음이
한 가지 사실을 알지 못하고 있어요.
바로 현실이라는 건
2차 가공 상품이라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거예요.
2차예요, 2차.
그렇다면 1차 가공 상품
즉 보다 본질적인 요소는 따로 있겠죠.
현실이라는 건
바로 그 보다 본질적인 무언가
추상적인 의미와 가치의 상징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겁니다.
100억을 가졌다라는 현실 자체는요
2차 가공이에요.
그래서 그것이 품고 있는 숨겨진 가치
그게 1차, 1차 요소예요, 1차적 본질적 요소예요.
그 숨겨진 가치가 없다면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입니다.
100억을 가졌다라는 사실 자체는 의미가 없어요.
그저 그런 하나의 현상일 뿐입니다.
그래서 뭐예요?
현실은 무언가의 상징인 겁니다, 항상.
어떤 가치가 어떤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
이 현실 상황 안에서 인연 관계를 통해 조합이 되고
그 결과 최종적으로 나타난 것이 현실인 거예요.
따라서 현실이 말하고자 하는 것
드러내고자 하는 것은
상황 그 자체가 아닙니다.
여러분 100억을 가졌다라는 그 현실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은
100억을 가졌다라는 사실 자체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럼 무엇을 드러내고자 하는 걸까요?
100억을 가졌다라는 사실이
나에게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를 먼저 알아야겠죠.
어떤 본질적인 가치가
100억을 가졌다라는 현실의 상황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일 뿐입니다.
그럼 100억은 뭐예요?
100억을 가진 그 상황은 뭐예요?
그 가치를 드러내는 수단, 도구일 뿐입니다, 한 방편일 뿐입니다.
100억이라는 숫자가 나에게 있어서
존재적인 자존감, 심리적 안정감 아니면
행위와 선택의 자유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칠게요.
그렇다면 이와 같은 숨어 있는 가치들이 표현되기 위해
선택된 하나의 현실이
100억을 가진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에 100억이라는 부의 규모에
이와 같은 숨어 있는 의미하고 가치가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100억을 가지든 100원밖에 없든
다 똑같을 것입니다.
이 100억이라는 숫자가
나의 자존감을 대변하지 못하고
안정감과 여유로움을 대변하지 못한다면
100억을 소유한 상황 자체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거란 얘기예요.
그런데 이걸 모르죠, 대부분.
시크레이트 할 때
대부분 상황 자체를 이루는 데에만 목을 맵니다.
어떻게든 지금 내 마음이 원하는
하나의 상황을 이루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어요.
그래서 내가 그것을 왜 원하는지
이 수원이 내게 있어 무엇을 상징하는지에는 관심이 없고
그저 지금 이 마음이 격렬하게 원하고 있는 그 상황 자체를
이루는 데에만 빠져 있는 것입니다.
혹자는 이와 같은 상태를
간절함이나 아니면 순수한 집중이라고 말을 하기도 해요.
그런데 그게 함정이라는 얘기예요.
함정일 수 있습니다.
현실은 무엇보다 그 자체로서 정직한 무언가가 아니라
보다 깊은 어떤 본질의 무언가의 상징입니다.
그리고 현실에서 진짜로 실현되는 것은
숨어 있는 의미와 가치 그리고 그것을 소망하고자 하는 의도입니다.
본질이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거예요.
현실 모습 그 자체가 이루어지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만약에 현실이 이렇다면
당신의 시크릿은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 걸까요?
단순히 100억이라는 상황 자체를 지향해야 하나요?
아니죠.
잘 기억하세요. 여러분
시크릿의 목적은
하나의 상황 자체를 이루고자 하는 게 아닙니다.
그 상황을 통해서 드러내고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와 가치가 진짜 목적인 거예요.
이 의미와 가치를 드러내는 무수한 방법 중에 하나가
지금 당신이 원하는 100억을 소유한 상태일 뿐이지
100억을 소유한 상태 자체가
이러한 의미와 같이 이루고자 하는 의도보다 우선하는 것이 아닙니다.
절대로 지금 당신이 상상하고 있는 그 장면이
그 모양 그대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는 뜻이에요.
시크릿 아무리 해도.
왜?
그 모양 그대로 이루어지는 건 아무런 의미가 없다니까요.
그건 그저 껍데기, 쭉정이에요.
만약에 그렇게 받아들여서
시크릿을 하고 있다면 잘못 알고 있는 것입니다.
대부분이 시크릿을 이렇게 알고 있죠.
“내가 원하는 것이
그 모양 그대로 이루어진다.”
또 이와 같은 점 때문에 또 혹하는 것이기도 하고요.
그렇지 않아요.
와전된 것이고 왜곡된 겁니다.
현실이라는 것 자체가 가지는 속성이
항상 어떤 의미와 같이 상징이라는 부분이기 때문에
절대로 숨겨져 있는 의미와 같이
그리고 그것을 원하게 된 의도, 숨은 의도
이런 것들을 다 싸그리 무시해 버리고
아주 그냥 단순하게
내가 지금 원하고 있는 이것
내가 심상화하고 있는 이것
내 입맛에 맞아 떨어지는 이 장면이
실현되는 것은 있을 수가 없는 것이에요.
솔직히 말해서 어지간히 도전해 보신 시크리터 분들은
어느 정도 눈치 채고 있잖아요. 그죠?
뭐를?
시크릿은 내가 원하는 모양 그대로, 그 꼴 그대로
매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요.
어쩌다 한 번씩 이루어질 수는 있어요.
100번에 한 번, 10번에 한 번
그러나 매번 그렇지 않다라는 얘기입니다.
다시 한 번 반복하겠습니다.
시크릿을 통해 이루어지는 진짜 요소는요
이 소망에 투영되어 있는 [의도]와
그 이면에 숨겨져 있는 [의미]와 [가치 표현]입니다.
쉽게 말해서 시크릿을 하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지금 내가 상상하고 있는 장면 그대로가 아니라
그 장면의 선택과 추구 안에 숨은
동기, 의도, 의미, 가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현실은 이 의도, 의미, 가치를 표현하는
수많은 방법 중에 하나였던 거예요.
그뿐이에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어때요?
시크릿을 하는 대부분의 경우
지금 당장 내 마음의 결핍과 조급이 만들어내는 욕망에 휩싸이죠.
그래서 이와 같은 본질적인 부분을 강구합니다.
강구하는 것을 떠나서 못 본 척합니다.
알고 싶지 않습니다.
뭐 그리 복잡해.
굳이 이런 걸 알아서 뭐 해.
그러면서 화를 냅니다.
조금 심하게 말하면 이런 분도 계세요.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서라도
지금 내 입맛에 맞는 현상을 만들어내고 싶죠.
그렇다면 애석하게도
지금 이 마음이
당신이 100억을 원하는 마음속에 숨어 있는 결핍이라는 가치입니다.
그래서 당신의 100억 소원은 이루어지지 않고
결국 결핍을 체험합니다.
혹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다른 방식으로 더 큰 결핍을 체험하게 돼요.
아니면 껍데기만 이루어지게 됩니다.
결국 100억을 소유하게 되었지만
부채가 200억이 돼버린다든가 하는 식으로.
100억을 원하는 이유가 결핍이고
이 100억이 상징하는 것이 또 결핍이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바로 이와 같은 이유로
당신은 오히려 소망에게 배신당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세상의 법칙 입장에서 보면 배신이 아니죠.
그냥 당연한 현상이죠.
영상을 마무리하기 전에
중요한 두 가지의 개념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반드시 가슴속에 새기고 사세요.
여러분이 잊지 마세요.
여러분의 [현실]과 [현상]은 다른 것입니다.
이 두 가지를 구분하셔야 돼요.
현실, 현실은 뭘까요?
현실이라는 것은
보다 깊은 차원의 의미와 같이
그리고 그것을 드러내기로 선택되어져 있는 표면의 상황까지를
모두 어우르는 개념이 현실이에요.
즉 본질이 충실히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 현실입니다.
따라서 본질적 가치와 의도가
모두 투영되어 나타난 지금 이 순간에
실제 열매, 진짜 열매라는 뜻으로
현실이라는 개념이 되는 거예요.
반면에 현상은
의미와 가치보다는
표면적 상황에만 국한된 개념이 현상이에요.
나의 욕망만 투영되어진 욕망덩어리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겉으로 보기에 그럴듯한 표면의 현상이라고 해도
보다 강력한 부정성하고 탐진치가 속에 숨어 있을 수 있습니다.
즉 이런 경우에
당신의 소망 자체가 함정일 수 있습니다.
보다 깊은 의미와 가치를 알아보지 못한 이 경우에는
현실이라고 부를 수가 없어요.
사실 그보다는 ‘지금 나타난 표면적 형상’이라는 의미로
현상이 되는 것입니다.
어떻습니까? 여러분
선택하세요.
현실을 사시겠습니까?
아니면 현상에 빠져 허우적 되겠습니까?
시크릿 시리즈는 계속됩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어떻게 하면
상징과 본질을 일치시켜서 시크릿을 할 수 있는지
그 부분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에서 뵐게요.
'마음공부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이원시크릿] 확실한 '근거, 증거'를 원하는 인간 의식 ㅣ '과거'의 경험에 근거한 당신의 판단이 새로운 미래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0) | 2025.02.03 |
---|---|
[비이원시크릿] 다들 한 번쯤 시크릿,끌어당김에 혹~한적 있잖아요? ㅣ 시크릿의 가르침은 잘못이 없습니다 (0) | 2025.01.21 |
[비이원시크릿] 인생을 세 들어 살 것인가? 건물주로 살 것인가?ㅣ자존감의 본질ㅣ갓생 마인드 (0) | 2025.01.20 |
[비이원시크릿] 세상 속 꿈일까? 꿈 속 세상일까? ㅣ현실과 꿈의 본질과 차이ㅣ인간 의식 구조 (0) | 2025.01.14 |
[비이원시크릿] 생각을 관찰하세요 (0) | 2025.01.13 |